Content-Length: 82465 | pFad | https://doi.org/10.21196%2Faprc.47.2.202308.008

R 해방 후 북한의 소련군과 북한 주민의 루소포비아, 1945-1950 "); targetWindow.document.close(); } function fnSaveArticleStatistics(pdfCnt,printCnt){ document.querySelector("#articleLogForm input[name='landingLogBean.pdfCnt']").value = pdfCnt; document.querySelector("#articleLogForm input[name='landingLogBean.printCnt']").value = printCnt; $.ajax({ url: "/kciportal/landing/updateArticleStatistics.kci", async: false, type: "post", data: $("#articleLogForm").serialize(), success: function(data){ }, error:function(request,status,error){ alert("code:"+request.status+"\n"+"message:"+request.responseText+"\n"+"error:"+error); } }); } function fncDown(arti_id, orteFileId) { fnSaveArticleStatistics(1,0); orteDownFrame.location.href="http://rainy.clevelandohioweatherforecast.com//pFad.php?u=http://doi.org/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OrteServHistIFrame.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i_id+"&sereArticleSearchBean.orteFileId="+orteFileId; } function sendSNS(type, url){ var www = ""; var sendUrl = ''; var artiNm = $("#artiNm").val(); if(navigator.userAgent.match(/iPhone/i) || navigator.userAgent.match(/iPod/i) || navigator.userAgent.match(/iPad/i) || navigator.userAgent.match(/Android/i)){ www = "m."; } if(type == 'twitter'){ sendUrl = "http://"+www+"twitter.com/?status="+encodeURIComponent(artiNm)+" \n"+encodeURIComponent(url); }else if(type == 'facebook'){ sendUrl = "http://"+www+"facebook.com/sharer.php?u="+encodeURIComponent(url); } if((typeof sendUrl != "undefined") && sendUrl !=""){ if(document.all){ window.open(sendUrl); }else{ document.location.href=sendUrl; } } } function fncTextDown() { var selectedType = document.querySelector("#exportType").value; var content = document.querySelectorAll("#citationLayer .quote-txt")[selectedType].innerText; var blob = new Blob([content],{type : 'text/plain'}); var downloadLink = document.createElement('a'); downloadLink.download = 'Export_Citation.txt' downloadLink.href = window.URL.createObjectURL(blob); downloadLink.click(); } function funcCitedList (){ var htmlCited = ""; var arti_id = $("#artiId").val(); var citationCnt = $("#kciCitedIdx").val(); var locale = 'ko_KR'; if(citationCnt.lenght > 0 || citationCnt != null){ $.ajax({ url: "/kciportal/landing/articleCitedList.kci", async: false, dataType: "html", type: "post", data: $("#articleDetailForm").serialize(), success: function(data){ $('#citationTable').html(data); }, error:function(request,status,error){ alert("code:"+request.status+"\n"+"message:"+request.responseText+"\n"+"error:"+error); } }); } } function fnArticleCitedListMove(condtion, tagetSelector , listOneSelector){ $(tagetSelector+" "+listOneSelector).hide(); var dataListSize = parseInt(document.querySelector(tagetSelector).getAttribute("data-list-size")); var dataListPageIndex = parseInt(document.querySelector(tagetSelector).getAttribute("data-list-pageIndex")); var dataListRowPerPage = parseInt(document.querySelector(tagetSelector).getAttribute("data-list-rowPerPage")); var dataLastPage = Math.ceil(dataListSize/dataListRowPerPage); if(condtion == 'prev'){ dataListPageIndex = dataListPageIndex - 1 if(dataListPageIndex < 1){ dataListPageIndex = 1; } }else if(condtion == 'next'){ dataListPageIndex = dataListPageIndex + 1 if(dataListPageIndex > dataLastPage){ dataListPageIndex = dataLastPage; } } var list = document.querySelectorAll(tagetSelector+" "+listOneSelector); var startIndex = (dataListPageIndex -1) * dataListRowPerPage var endIndex = startIndex +dataListRowPerPage - 1 if(endIndex > dataListSize-1){ endIndex = dataListSize-1 } var showList = Array.from(list).slice(startIndex,endIndex+1); $(showList).show(); document.querySelector(tagetSelector).setAttribute("data-list-pageIndex",dataListPageIndex); window.scrollTo(0,0); } function fncView(artiId){ if(artiId != "") { window.open("","winPopResiHist","width=1000, height=500, scrollbars=1"); ciSereArtiList.elements["sereArticleSearchBean.artiId"].value = artiId; ciSereArtiList.target = "winPopResiHist"; ciSereArtiList.action = "/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 ciSereArtiList.submit(); } } function gotoTargetPatentIndex(targetRid) { var target = $("#"+targetRid); if(targetRid != "container"){ if(!target.hasClass("slide-open")){ target.closest(".adc-area").find(".adc-onoff-btn").addClass("on") target.addClass("slide-open"); target.show(); } } $("html, body").animate({ scrollTop: "+="+(target.offset().top - $(window).scrollTop() - 100) }, 500); } //키워드 클라우드 dropdown 메뉴 액션 function fncKeywordSearch(gubun, kwd){ var winHandle = window.open("" ,"newPage",""); if(winHandle != null){ if(gubun == 1){ if($("#kwdSrchForm1").length == 0){ var htmlString = "
"; htmlString += ""; htmlString += ""; htmlString += ""; htmlString += ""; htmlString += "
"; $("body").append(htmlString); }else{ $("#kwdSrchForm1 input[name='poSearchBean.keywordList']").val(kwd); } $("#kwdSrchForm1").submit(); }else{ if($("#kwdSrchForm2").length == 0){ var htmlString = "
"; htmlString += ""; htmlString += "
"; $("body").append(htmlString); }else{ $("#kwdSrchForm2 input[name='poLateRelaKwdBean.keyword']").val(kwd); } $("#kwdSrchForm2").submit(); } } if(winHandle != null) winHandle.focus(); } $(function(){ // citation select type $("#citationLayer #exportType").change(function() { var val = parseInt($(this).val()); $("#citationLayer .quote-txt").hide(); $("#citationLayer .quote-txt").eq(val).show(); }); // citation 레이어 닫기 $("#citationLayer .type .close").click(function() { $("#citationLayer").fadeOut(200); }); // ESC 누를 시 논문상세 내 팝업 닫기 $("body").keydown(function(e) { if(e.which==27 || e.keyCode==27) { $(".fullTextPopup").remove(); $("#citationLayer").fadeOut(200); } }); })
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해방 후 북한의 소련군과 북한 주민의 루소포비아, 1945-1950

The Rise of Russophobia Against the Soviet Army in North Korea During the Post-colonial Years, 1945-1950

중소연구
약어 : -
2023 vol.47, no.2, pp.261 - 302
DOI : 10.21196/aprc.47.2.202308.008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연구분야 : 지역학
Copyright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139 회 열람

해방 직후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이 북한 주민들로부터 루소포비아를 유발한 데에는 소련군의 약탈과 부녀자 강간 등 일탈행위뿐만 아니라 소련군의 조직적인 물자반출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문제에 대해 선행연구가 잘 다루지 않거나 또는 파편적으로 다루고 있는 부분은 소련군의 일탈 및 일탈 감소의 원인, 그리고 소련군에 의한 물자반출의 구체적인 상황과 그에 대한 북한 주민의 적극적 대응으로서의 반대시위와 사보타주 행위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해 북한 주민의 회고록, 자서전은 물론 러시아문서보관소자료를 교차검토하고 당시 북한 주둔 소련군의 상황을 소련 국내 경제 사정 및 전후 독일 주둔 소련군의 행태와 비교검토하면서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ussophobia among the residents of North Korea during the immediate post-colonial years. In addition to the deviant behavior of Soviet troops, which included looting and rape, the systematic removal of natural resources, grain, and machinery from North Korea by the Soviet troops significantly impacted the rise of Russophobia among North Koreans. Aspects not fully addressed in existing literature include the reasons for the deviant behavior of the Soviet troops, the subsequent decrease in such behavior, and a detailed analysis of the Soviet troops extracting various goods and resources from North Korea. The paper also delves into the proactive responses of the North Korean people, which included protests and acts of sabotage. This study examines these topics through a careful examination of memoirs and autobiographies of North Koreans, Russian archival materials, and by comparing the situation of Soviet troops in North Korea to the domestic economic situation in the contemporary Soviet Union and the behavior of Soviet troops in Germany during the post-World War II years.

루소포비아, 소련군, 북한, 일탈행위, 물자반출
Russophobia, Soviet Army, North Korea, Military Discipline, Resource Extraction

  • 1. [학술지] 기광서 / 2005 / 8.15 해방에 있어서 소련군의 참전요인과 북한의 인식 변화 / 북한연구학회보 / 9 (1) : 1 ~ 1 kci
  • 2. [단행본] 기광서 / 2018 / 북한 국가의 형성과 소련 / 선인
  • 3. [학술지] 기광서 / 2019 / 해방 후 북한 반소반공운동의 실상 / 동북아연구 / 34 (2) : 137 ~ 2 kci
  • 4. [학술지] 기광서 / 2021 / 해방 후 북한의 반소반공운동: 조선민주당과 북조선 천도교청우당 / 동북아연구 / 36 (1) : 101 ~ 1 kci
  • 5. [단행본] 김국후 / 2008 / 평양의 소련군정 / 한울
  • 6. [단행본] 김귀옥 / 1999 / 월남민의 생활 경험과 정체성: 밑으로부터의 월남민 연구 / 서울대출판부
  • 7. [단행본] 김기협 / 2011 / 해방일기 2 / 너머북스
  • 8. [단행본] 김선호 / 2020 / 조선인민군: 북한 무력의 형성과 유일체제의 기원 / 한양대 출판부
  • 9. [단행본] 김용구 / 2018 / 러시아의 만주 한반도 정책사, 17-19세기 / 푸른역사
  • 10. [단행본] 김재웅 / 2020 / 고백하는 사람들: 자서전과 이력서로 본 북한의 해방과 혁명, 1945-1950 / 푸른역사
  • 11. [단행본] 김학준 / 1987 / 李東華評傳: 한 民主社會主義者의 生涯 / 민음사
  • 12. [단행본] 김학준 / 2008 / 북한의 역사 제2권: 미소냉전과 소련군정 아래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1946년 1월~1948년 9월) / 서울대학교출판부
  • 13. [단행본] 대한민국공보처 / 1950 / 蘇聯軍政의 始末; 北韓分割과 赤化陰謀의 正体 / 대한민국공보처
  • 14. [단행본] 동아일보사 안보․통일문제조사연구소 / 1976 / 北韓對外政策基本資料集1:北韓과 中․蘇紛爭, 北韓과 弟3世界 / 동아일보사 안보통일문제조사연구소
  • 15. [단행본] 메탕, 기 / 2022 / 루소포비아: 러시아 혐오의 국제정치와 서구의 위선 / 가을의아침
  • 16. [단행본] 민경현 / 2022 / 한러관계사:1권 / 한국국제교류재단
  • 17. [단행본] 박병업 / 201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생: 전 노동당 고위간부가 겪은 건국 비화 (증언록1) / 선인
  • 18. [단행본] 박종수 / 2021 / 현대 북러관계의 이해; 후견관계에서 동반관계로의 전환 모색 / 명인문화사
  • 19. [단행본] 박철 / 1949 / 北朝鮮路線批判 / 문화공론사
  • 20. [단행본] 북한연구소 / 1990 / 北韓民主統一運動史. 咸鏡南道篇 / 북한연구소
  • 21. [단행본] 북한연구소 / 1990 / 北韓民主統一運動史. 平安北道篇篇 / 북한연구소
  • 22. [단행본] 북한연구소 / 1990 / 北韓民主統一運動史. 黃海道 / 북한연구소
  • 23. [단행본] 북한연구소 / 1990 / 北韓民主統一運動史. 平安南道篇篇 / 북한연구소
  • 24. [단행본] 북한연구소 / 1990 / 北韓民主統一運動史. 咸鏡北道篇, 京畿道未收復地區篇, 江原道未收復地區篇 / 북한연구소
  • 25. [단행본] 송준서 / 2016 / 한국 슬라브학 30년사: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로 향하다 / 한울
  • 26. [학술지] 신형기 / 2013 / 해방직후의 반공이야기와 대중 / 상허학보 / 37 : 397 ~ kci
  • 27. [단행본] 심헌용 / 2016 / 소련의 대한반도 군사정책(1917-1948) / 국방부 국사편찬연구소
  • 28. [단행본] 안문석 / 2020 / 북한 민중사 / 일조각
  • 29. [단행본] 암스트롱, 찰스 / 2006 / 북조선 탄생 / 서해문집
  • 30. [단행본] 오영진 / 1952 / 蘇軍政下의 北韓: 하나의 증언 / 중앙문화사
  • 31. [학술지] 옥창준 / 2020 / 냉전기 북한의 상상 지리와 ‘평양 선언' / 통일과 평화 / 12 (1) : 5 ~ 1 kci
  • 32. [단행본] 와다 하루끼 / 1983 / 分斷前後의 現代史 / 일월서각
  • 33. [기타] / 1964 / 왜 평양 경제 토론회의 성과를 헐뜯으려 하는가? / 로동신문
  • 34. [단행본] 윤범모 / 2018 / 백년을 그리다: 102살 현역 화가 김병기의 문화예술 비사 / 한겨례출판
  • 35. [단행본] 이연식 / 2012 / 조선을 떠나며: 1945년 패전을 맞은 일본인들의 최후 / 역사비평사
  • 36. [학술지] 임종명 / 2016 / 종전/해방 직후(1945.8~1948.7) 남한 담론 공간과 ‘적색 제국주의 소련’상(相・像) / 韓國史學報 (62) : 171 ~ 62 kci
  • 37. [단행본] 장창종 / 1987 / 나의 蘇聯流刑記 / 중앙교육출판사
  • 38. [학술지] 전현수 / 1996 / 1947년 12월 북한의 화폐개혁 / 역사와현실
  • 39. [학술지] 전현수 / 1999 / 산업의 국유화와 인민경제의 계획화: 공업을 중심으로 / 현대북한연구 / 2 (1)
  • 40. [학술지] 전현수 / 2002 / 해방 직후 북한의 농업 생산과 분배(1945~1948)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31 : 195 ~ kci
  • 41. [단행본] 째르치즈스키, 표도르 / 2018 / 김일성 이전의 북한: 1945년 8월 9일 소련군 참전부터 10월 14일 평양 연설까지 / 한울
  • 42. [학술지] 최우익 / 2022 / 한국 국민의 러시아 인식과 루소포비아 현상 - 연령대별 인식 차이 - / 슬라브硏究 / 38 (4) : 133 ~ 4 kci
  • 43. [단행본] 치스차코프, I.M. / 1989 / 레닌그라드로부터 평양까지:조선해방에 있어 소련장성 11인의 회고록 / 함성
  • 44. [단행본] 커밍스, 브루스 / 1986 / 한국전쟁의 기원 / 일월서각
  • 45. [단행본] 커밍스, 브루스 / 2023 / 한국전쟁의 기원 2-1: 폭포의 굉음 1947-1950 / 글항아리
  • 46. [단행본] 평남민보사 / 1966 / 고당조만식 / 평남민보사
  • 47. [단행본] 한국외국어대학교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 / 1981 / 로동신문에 反映된 蘇聯 / 한국외국어대학교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
  • 48. [학술지] 황민호 / 2008 / 일제하 국내언론의 소련에 대한 인식과 在露韓人문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4) : 271 ~ 54 kci
  • 49. [단행본] 황장엽 / 1999 /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 / 한울
  • 50. [단행본] Naimark, Norman / 1995 /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1945-1949 / Harvard Univ. Press
  • 51. [단행본] Zubkova, Elena / 1998 / Russia After the War: Hopes, Illusions, and Disappointments, 1945-1957 / M. E. Sharpe
  • 52. [기타] / 1946 / Когда нет заботы о людях / Магнитогорский рабочий
  • 53. [기타] / ЦАМО. ф.УСГАСК, оп.102038, д.1
  • 54. [기타] / ЦАМО. ф.УСГАСК, оп.102038, c.2
  • 55. [기타] / ЦАМО. ф.УСГАСК, оп.106546, д.3
  • 56.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 2019 / 러시아국방부 중앙문서보관소(ЦАМО)소장 한국관련 자료목록1-1945년 이전 / 국사편찬위원회
  • 57.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 2020 / 러시아국방부 중앙문서보관소(ЦАМО)소장 한국관련 자료목록2-1946년) / 국사편찬위원회
  • 58. [단행본] 박종효 / 2010 / 러시아연방외무성 대한정책 자료 I / 선인
  • 59. [단행본] / 쉬띄꼬프 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ApplySandwichStrip

pFad - (p)hone/(F)rame/(a)nonymizer/(d)eclutterfier!      Saves Data!


--- a PPN by Garber Painting Akron. With Image Size Reduction included!

Fetched URL: https://doi.org/10.21196%2Faprc.47.2.202308.008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