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Length: 283343 | pFad | 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C%82%AC_(%EC%97%AD%EC%82%AC%EC%84%9C)

원사 (역사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원사 (역사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십사사
이름 저자 권수
사기 전한·사마천 130
한서 후한·반고·배인 100
후한서 유송·범엽·배송지 120
삼국지 서진·진수·배잠 65
진서(晉書) ·방현령·배행검 등 130
송서 ·심약 100
남제서 양·소자현 59
양서 당·요사렴 56
진서(陳書) 당·요사렴 36
위서 북제·위수 114
북제서 당·이백약 50
주서 당·영호덕분 50
수서 당·위징 85
남사 당·이연수 80
북사 당·이연수 100
구당서 후진·유후 200
신당서 ·구양수 225
구오대사 송·설거정 150
신오대사 송·구양수 74
송사 ·토크토 496
요사 원·토크토 등 116
금사 원·토크토 등 135
원사 ·송렴 210
명사 ·장정옥 332
신원사* 중화민국·커샤오민 257
청사고* 중화민국·자오얼쑨 536
v  d  e  h

원사》(元史)는 중국 원나라 왕조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이다. 편찬자는 송렴, 고계 등이며, 본기 47권, 표 8권, 지 58권, 열전 97권, 합계 210권으로 구성된 기전체 역사서이다. 편찬 연대는 명나라 1369년(홍무3년)이며, 이 역사에 수록된 연대는 몽골제국 칭기스칸 당시의 1206년부터 순제 토곤 테무르가 통치한 1367년까지를 다루고 있다. 이른바 명나라의 건국자이자 한족인 주원장의 입맛에 맞춰져서 야비(野鄙)한 면이 많으며 중국의 정사집(正史集)인 24사 중에서 가장 평판이 나쁘다. 20세기가 되어 《신원사》가 편찬되었다. 원사는 몽골을 상당히 나쁘게 보았으나 옳다고만 할 수 없다.

개요

[편집]

황제 즉위 전년에 원나라화북으로부터 쫓아버린 홍무제홍무2년 2월에 소를 내어 송렴을 주간으로 《원사》의 편찬에 착수케 했다. 반년 후인 8월에 일단 중단을 했다가 다음 해 2월에 다시 시작을 해서 8월에 완성을 보았다. 편찬에 종사한 송렴, 고계 등은 모두 당대의 뛰어난 문인이었지만, 《원사》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 원인으로서 첫째, 명나라가 성립하자마자 바로 편찬을 시작했던 것을 들 수 있다. 보통, 정사의 편찬에는 자의적인 의도가 섞이지 않도록 100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시작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으로 여겨졌다. 둘째, 시작부터 완성까지 1년 반이라고 하는 굉장히 짧은 시기에서 완성했던 것을 들 수 있다. 그 다음의 정사인 《명사》가 94년이라는 역대 최장 시간을 들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홍무제가 이렇게까지 편찬을 서두른 것은 한족의 왕조를 부흥시키고, 한족의 눈에는 미개한 왕조로 비쳤던 원을 한시라도 빨리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하고 자신들의 정당성을 과시하고 싶었던 것이라고 추측된다.

원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1. 2 단계에 걸쳐서 편찬을 했지만, 시대별 접점을 맞추지 않았다. 열전 31권에 원말의 인물이 기술되고 있지만, 그 다음의 32권으로 몽골제국 시대의 야율초재가 기술되고 있다. 또, 한 명의 인물에게 복수의 열전을 만들기도 했다. 또, 몽골족 등의 이름의 한자 표기도 통일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열전의 8권의 스부타이와 9권의 설불대는 모두 몽골의 장군 스브타이이다.
  2. 현창비문(顕彰碑文) 등, 도저히 객관적이라고 하기 어려운 사료를 그대로 베껴서 사용하거나 펴낼 때 역사서로서의 체계에 맞도록 문체를 고치는 노력조차 하지 않았다. 다만, 사료의 원형인 까닭에 다른 의미로의 사료적 가치는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내용

[편집]

본기(本紀)

[편집]
### 제목 인물 시기(음력) 비고
권1 본기1 태조(太祖) 칭기즈 칸(成吉思汗) 1202년 ~ 1228년
(임술년(壬戌年) ~ 툴루이(拖雷) 감국 원년)
권2 본기2 태종(太宗)
정종(定宗)
우구데이 칸(窩闊台可汗)
귀위크 칸(貴由可汗)
1229년 ~ 1250년
(우구데이 칸(窩闊台汗) 원년 ~ 오굴 카미시(斡兀立 海迷失) 섭정 2년)
권3 본기3 헌종(憲宗) 몽케 칸(夢哥可汗) 1248년 ~ 1259년 7월
(귀위크 칸(貴由可汗) 3년 ~ 몽케 칸(夢哥汗) 9년)
권4 본기4 세조(世祖) 1 세첸 칸(薛禪可汗) 1251년 6월 ~ 1261년 12월
(몽케 칸(夢哥汗) 원년 ~ 중통(中統) 2년)
권5 본기5 세조(世祖) 2 1262년 1월 ~ 1264년 12월
(중통(中統) 3년 ~ 지원(至元) 원년)
권6 본기6 세조(世祖) 3 1265년 1월 ~ 1269년 12월
(지원(至元) 원년 ~ 지원(至元) 6년)
권7 본기7 세조(世祖) 4 1270년 1월 ~ 1272년 12월
(지원(至元) 7년 ~ 지원(至元) 9년)
권8 본기8 세조(世祖) 5 1273년 1월 ~ 1275년 12월
(지원(至元) 10년 ~ 지원(至元) 12년)
권9 본기9 세조(世祖) 6 1276년 1월 ~ 1277년 12월
(지원(至元) 13년 ~ 지원(至元) 14년)
권10 본기10 세조(世祖) 7 1278년 1월 ~ 1279년 12월
(지원(至元) 15년 ~ 지원(至元) 16년)
권11 본기11 세조(世祖) 8 1280년 1월 ~ 1281년 12월
(지원(至元) 17년 ~ 지원(至元) 18년)
권12 본기12 세조(世祖) 9 1282년 1월 ~ 1283년 12월
(지원(至元) 19년 ~ 지원(至元) 20년)
권13 본기13 세조(世祖) 10 1284년 1월 ~ 1285년 12월
(지원(至元) 21년 ~ 지원(至元) 22년)
권14 본기14 세조(世祖) 11 1286년 1월 ~ 1287년 12월
(지원(至元) 23년 ~ 지원(至元) 24년)
권15 본기15 세조(世祖) 12 1288년 1월 ~ 1289년 12월
(지원(至元) 25년 ~ 지원(至元) 26년)
권16 본기16 세조(世祖) 13 1290년 1월 ~ 1291년 12월
(지원(至元) 27년 ~ 지원(至元) 28년)
권17 본기17 세조(世祖) 14 1292년 1월 ~ 1294년 1월
(지원(至元) 29년 ~ 지원(至元) 31년)
권18 본기18 성종(成宗) 1 올제이투 칸(完澤篤可汗) 1294년 1월 ~ 1295년 12월
(지원(至元) 31년 ~ 원정(元貞) 원년)
권19 본기19 성종(成宗) 2 1296년 1월 ~ 1298년 12월
(원정(元貞) 2년 ~ 대덕(大德) 2년)
권20 본기20 성종(成宗) 3 1299년 1월 ~ 1302년 12월
(대덕(大德) 3년 ~ 대덕(大德) 6년)
권21 본기21 성종(成宗) 4 1303년 1월 ~ 1307년 1월
(대덕(大德) 7년 ~ 대덕(大德) 13년)
권22 본기22 무종(武宗) 1 쿨룩 칸(曲律可汗) 1300년 8월 ~ 1308년 12월
(대덕(大德) 4년 ~ 지대(至大) 원년)
권23 본기23 무종(武宗) 2 1309년 1월 ~ 1311년 1월
(지대(至大) 2년 ~ 지대(至大) 4년)
권24 본기24 인종(仁宗) 1 부얀투 칸(普顔篤可汗) 1305년 10월 ~ 1313년 12월
(대덕(大德) 9년 ~ 황경(皇慶) 2년)
권25 본기25 인종(仁宗) 2 1314년 1월 ~ 1316년 12월
(연우(延祐) 원년 ~ 연우(延祐) 3년)
권26 본기26 인종(仁宗) 3 1317년 1월 ~ 1320년 1월
(연우(延祐) 4년 ~ 연우(延祐) 7년)
권27 본기27 영종(英宗) 1 게겐 칸(格堅可汗) 1316년 12월 ~ 1321년 12월
(연우(延祐) 3년 ~ 지치(至治) 원년)
권28 본기28 영종(英宗) 2 1322년 1월 ~ 1323년 8월
(지치(至治) 2년 ~ 지치(至治) 3년)
권29 본기29 태정제(泰定帝) 1 예손테무르 칸(也孫鐵木兒可汗) 1323년 3월 ~ 1325년 12월
(지치(至治) 3년 ~ 태정(泰定) 2년)
권30 본기30 태정제(泰定帝) 2 1326년 1월 ~ 1328년 9월
(태정(泰定) 3년 ~ 천순(天順) 원년)
권31 본기31 명종(明宗) 쿠툭투 칸(忽都篤可汗) 1320년 1월 ~ 1329년 8월
(연우(延祐) 7년 ~ 천력(天曆) 2년)
권32 본기32 문종(文宗) 1 자아야투 칸(札牙篤可汗) 1328년 3월 ~ 1328년 12월
(치화(致和) 원년 ~ 천력(天曆) 원년)
권33 본기33 문종(文宗) 2 1329년 1월 ~ 1329년 12월
(천력(天曆) 2년)
권34 본기34 문종(文宗) 3 1330년 1월 ~ 1330년 12월
(천력(天曆) 3년 ~ 지순(至順) 원년)
권35 본기35 문종(文宗) 4 1331년 1월 ~ 1331년 12월
(지순(至順) 2년)
권36 본기36 문종(文宗) 5 1332년 1월 ~ 1332년 8월
(지순(至順) 3년)
권37 본기37 영종(寧宗) 린친발 칸(懿璘質班可汗) 1332년 8월 ~ 1332년 11월
(지순(至順) 3년)
권38 본기38 순제(順帝) 1 우카가투 칸(烏哈噶圖可汗) 1332년 8월 ~ 1335년 윤 12월
(지순(至順) 3년 ~ 지원(至元) 원년)
권39 본기39 순제(順帝) 2 1336년 1월 ~ 1338년 12월
(지원(至元) 2년 ~ 지원(至元) 4년)
권40 본기40 순제(順帝) 3 1339년 1월 ~ 1342년 12월
(지원(至元) 5년 ~ 지정(至正) 2년)
권41 본기41 순제(順帝) 4 1343년 1월 ~ 1348년 12월
(지정(至正) 3년 ~ 지정(至正) 8년)
권42 본기42 순제(順帝) 5 1349년 1월 ~ 1352년 12월
(지정(至正) 9년 ~ 지정(至正) 12년)
권43 본기43 순제(順帝) 6 1353년 1월 ~ 1354년 12월
(지정(至正) 13년 ~ 지정(至正) 14년)
권44 본기44 순제(順帝) 7 1355년 1월 ~ 1356년 12월
(지정(至正) 15년 ~ 지정(至正) 16년)
권45 본기45 순제(順帝) 8 1357년 1월 ~ 1360년 12월
(지정(至正) 17년 ~ 지정(至正) 20년)
권46 본기46 순제(順帝) 9 1361년 1월 ~ 1365년 12월
(지정(至正) 21년 ~ 지정(至正) 25년)
권47 본기47 순제(順帝) 10 1366년 1월 ~ 1368년 8월
(지정(至正) 26년 ~ 지정(至正) 28년)

지(志)

[편집]
### 제목 목록 비고
권48 지1 천문(天文) 1
권49 지2 천문(天文) 2
권50 지3上 오행(五行) 1
권51 지3下 오행(五行) 2
권52 지4 역(曆) 1
권53 지5 역(曆) 2
권54 지6 역(曆) 3
권55 지7 역(曆) 4
권56 지8 역(曆) 5
권57 지9 역(曆) 6
권58 지10 지리(地理) 1
권59 지11 지리(地理) 2
권60 지12 지리(地理) 3
권61 지13 지리(地理) 4
권62 지14 지리(地理) 5
권63 지15 지리(地理) 6
권64 지16 하거(河渠) 1
권65 지17上 하거(河渠) 2
권66 지17下 하거(河渠) 3
권67 지18 예악(禮樂) 1
권68 지19 예악(禮樂) 2
권69 지20 예악(禮樂) 3
권70 지21 예악(禮樂) 4
권71 지22 예악(禮樂) 5
권72 지23 제사(祭祀) 1
권73 지24 제사(祭祀) 2
권74 지25 제사(祭祀) 3
권75 지26 제사(祭祀) 4
권76 지27上 제사(祭祀) 5
권77 지27下 제사(祭祀) 6
권78 지28 예복(輿服) 1
권79 지29 예복(輿服) 2
권80 지30 예복(輿服) 3
권81 지31 선거(選擧) 1
권52 지32 선거(選擧) 2
권83 지33 선거(選擧) 3
권84 지34 선거(選擧) 4
권85 지35 백관(百官) 1
권86 지36 백관(百官) 2
권87 지37 백관(百官) 3
권88 지38 백관(百官) 4
권89 지39 백관(百官) 5
권90 지40 백관(百官) 6
권91 지41上 백관(百官) 7
권92 지41下 백관(百官) 8
권93 지42 식화(食貨) 1
권94 지43 식화(食貨) 2
권95 지44 식화(食貨) 3
권96 지45上 식화(食貨) 4
권97 지45下 식화(食貨) 5
권98 지46 병(兵) 1
권99 지47 병(兵) 2
권100 지48 병(兵) 3
권101 지49 병(兵) 4
권102 지50 형법(刑法) 1
권103 지51 형법(刑法) 2
권104 지52 형법(刑法) 3
권105 지53 형법(刑法) 4

표(表)

[편집]
### 제목 비고
권106 표1 후비표(后妃表)
권107 표2 종실세계표(宗室世系表)
권108 표3 제왕표(諸王表)
권109 표4 제공주표(諸公主表)
권110 표5上 삼공표(三公表) 1
권111 표5下 삼공표(三公表) 2
권112 표6上 재상연표(宰相年表) 1
권113 표6下 재상연표(宰相年表) 2

열전(列傳)

[편집]
열전
### 부제 목록 비고
권114 열전1 후비(后妃) 1 광헌익성황후 홍길랄씨(光獻翼聖皇后 弘吉剌氏), 소자황후 내마진씨(昭慈皇后 乃馬眞氏), 흠숙황후 알올립씨(欽淑皇后 斡兀立氏), 정절황후 홍길랄씨(貞節皇后 弘吉剌氏), 소예순성황후 홍길랄씨(昭睿順聖皇后 弘吉剌氏), 남필황후 홍길랄씨(南必皇后 弘吉剌氏), 정자정의황후 홍길랄씨(貞慈靜懿皇后 弘吉剌氏), 복로한황후 백악오씨(卜魯罕皇后 伯岳吾氏), 선자혜성황후 홍길랄씨(宣慈惠聖皇后 弘吉剌氏), 속가실리황후 홍길랄씨(速哥失里皇后 弘吉剌氏), 장의자성황후 홍길랄씨(莊懿慈聖皇后 弘吉剌氏), 장정의성황후 역계렬씨(莊靜懿聖皇后 亦啓烈氏), 팔불한황후 홍길랄씨(八不罕皇后 弘吉剌氏), 정유휘성황후 한록로씨(貞裕徽聖皇后 罕祿魯氏), 팔불사황후 내마진씨(八不沙皇后 乃馬眞氏), 복답실리황후 홍길랄씨(卜答失里皇后 弘吉剌氏), 답리야특미실황후 홍길랄씨(答里也忒迷失皇后 弘吉剌氏), 답납실리황후 흠찰씨(答納失里皇后 欽察氏), 백안홀도황후 홍길랄씨(伯顏忽都皇后 弘吉剌氏), 완자홀도황후 기씨(完者忽都皇后 奇氏)
권115 열전2 <추존황제(追尊皇帝)>
예종(睿宗), 유종(裕宗), 현종(顯宗), 순종(順宗)
권116 열전3 후비(后妃) 2 현의장성황후 겁렬씨(顯懿莊聖皇后 怯烈氏), 휘인유성황후 홍길랄씨(徽仁裕聖皇后 弘吉剌氏), 선의숙성황후 홍길랄씨(宣懿淑聖皇后 弘吉剌氏), 소헌원성황후 홍길랄씨(昭獻元聖皇后 弘吉剌氏)
권117 열전4 별리고태(別里古台), 출적(朮赤), 월왕 독랄(越王 禿剌), 초왕 아홀도(楚王 牙忽都), 위순왕 관철보화(威順王 寬徹普化), 회왕 첩목아불화(淮王 帖木兒不花)
권118 열전5 특설선(特薛禪), 패독(孛禿), 아랄올사척길물리(阿剌兀思剔吉忽里)
권119 열전6 목화려(木華黎), 박로출(博魯朮), 박이홀(博爾忽)
권120 열전7 당올찰한(唐兀察罕), 찰팔아화자(札八兒火者), 출적태(朮赤台), 진해(鎭海), 초내태(肖乃台), 오야이(吾也而), 갈사맥리(曷思麥里)
권121 열전8 속불태(速不台)[1], 안축이(按竺邇), 외답아(畏答兒), 박라환(博羅歡), 초사(抄思)
권122 열전9 파이출아이특적근(巴而朮阿而忒的斤), 철매적(鐵邁赤), 안찰아(按扎兒), 설불태(雪不台)[1], 암목해(唵木海), 석리검부(昔里鈐部), 삭직돌로화(槊直腯魯華), 석화길사(昔兒吉思), 합산납(哈散納)
권123 열전10 포지아(布智兒), 소렬태초올아(召烈台抄兀兒), 활활불화(闊闊不花), 배연팔도로(拜延八都魯), 아출로(阿朮魯), 소고아(紹古兒), 아랄와이사(阿剌瓦而思), 초아(抄兒), 야포감복(也蒲甘卜), 조아가반(趙阿哥潘), 순지해(純只海), 점철발도아(苫徹拔都兒), 겁겁리(怯怯里), 탑부이화(塔不已兒), 직탈아(直脫兒), 월리마사(月里麻思), 날고랄(捏古剌), 아아사란(阿兒思蘭), 합팔아독(哈八兒禿), 애모(艾貌)
권124 열전11 탑본(塔本), 합랄역합적북로(哈剌亦哈赤北魯), 탑탑통아(塔塔統阿), 악린첩목이(岳璘帖穆爾), 이정(李楨), 겁렬속가(怯烈速哥), 망가살아(忙哥撒兒), 맹속아(孟速思)
권125 열전12 새전적섬사정(賽典赤贍思丁), 포로해아(布魯海牙), 고지요(高智耀), 철가(鐵哥)
권126 열전13 안동(安童), 염희헌(廉希憲)
권127 열전14 팔린백안(八鄰伯顔)
권128 열전15 아출(阿朮), 아리해아(阿里海牙), 상위(相威), 토토합(土土哈)
권129 열전16 내아팔적(來阿八赤), 뉴린(紐璘), 아랄한(阿剌罕), 아탑해(阿塔海), 사도(唆都), 이항(李恒)
권130 열전17 연지길태철리(燕只吉台徹里), 불홀목(不忽木), 토별연완택(土別燕完澤), 아로혼살리(阿魯渾薩理)
권131 열전18 속가(速哥), 낭가알(囊加歹), 망올태(忙兀台), 오로적(奧魯赤), 완자도(完者都)[2], 백첩목아(伯帖木兒), 회도(懷都), 역흑미실(亦黑迷失), 배강(拜降)
권132 열전19 항홀사(杭忽思), 보로합답(步魯合答), 옥와실(玉哇失), 철올대맥리(徹兀臺麥里), 탐마적(探馬赤), 아속발도아(阿速拔都兒), 앙길아(昻吉兒), 합랄태(哈剌䚟), 사전(沙全), 첩목아불화(帖木兒不花)
권133 열전20 찰랄아탑출(札剌兒塔出), 배연(拜延), 야한적근(也罕的斤), 엽선내(葉仙鼐), 탈력세관(脫力世官), 홀랄출(忽剌出), 중희(重喜), 단지아(旦只兒), 탈환(脫歡), 완자도발도(完者都拔都)[2], 실리백(失里伯), 패란해(孛蘭奚), 겁렬(怯烈), 암백(暗伯), 야속태아(也速䚟兒), 석도아(昔都兒)
권134 열전21 살길사(撒吉思), 월합내(月合乃), 석반(昔班), 철련(鐵連), 애설(愛薛), 활활(闊闊), 독홀로(禿忽魯), 당인조(唐仁祖), 타아적(朶兒赤), 백악오화상(伯牙吾和尙), 유용(劉容), 가로납답사(迦魯納答思), 활리길사(闊里吉思), 소운석탈홀련(小雲石脫忽憐), 알라사(斡羅思), 타라태(朶羅台), 야선불화(也先不花)
권135 열전22 철가출(鐵哥朮), 탑출(塔出), 탑리적(塔里赤), 탑해첩목아(塔海帖木兒), 구아길(口兒吉), 홀도(忽都), 패아속(孛兒速), 월거련적해아(月擧連赤海牙), 아답적(阿答赤), 명안(明安), 홀림실(忽林失), 실랄발도아(失剌拔都兒), 아속철리(阿速徹里), 갈랄(曷剌), 걸태(乞台), 탈인납(脫因納), 내만화상(乃蠻和尙)
권136 열전23 합랄합손(哈剌哈孫), 아사불화(阿沙不花), 찰랄역아배주(扎剌亦兒拜住)
권137 열전24 백찰한(白察罕), 곡추(曲樞), 아례해아(阿禮海牙), 혁혁저아이정(奕赫抵雅爾丁), 탈렬해아(脫烈海牙)
권138 열전25 강리탈탈(康里脫脫), 연철목아(燕鐵木兒), 멸아걸백안(蔑兒乞伯顔), 마찰아태(馬札兒台), 멸아걸탈탈(蔑兒乞脫脫)
권139 열전26 내만태(乃蠻台), 찰랄역아타아지(扎剌亦兒朶兒只), 타이직반(朶爾直班), 아로도(阿魯圖), 뉴적해(紐的該)
권140 열전27 별아겁불화(別兒怯不花), 태평(太平), 철목아탑식(鐵木兒塔識), 달식첩목이(達識帖睦邇)
권141 열전28 태불화(太不花), 찰합첩목아(察罕帖木兒)
권142 열전29 답실팔도로(答失八都魯), 경동(慶童), 야속(也速), 철리첩목아(徹里帖木兒), 납린(納麟)
권143 열전30 마조상(馬祖常), 노노(巙巙), 자당(自當), 아영(阿榮), 소운석해애(小雲石海涯), 태불화(泰不華), 여궐(余闕)
권144 열전31 답리마(答里麻), 월로첩목아(月魯帖木兒), 복안철목아(卜顔鐵木兒), 성길(星吉), 복수(福壽), 도동(道童)
권145 열전32 역련진반(亦憐眞班), 염혜산해아(廉惠山海牙), 월로불화(月魯不花), 달례마식리(達禮麻識理)
권146 열전33 야율초재(耶律楚材), 점합중산(粘合重山), 양유중(楊惟中)
권147 열전34 장유(張柔), 사천예(史天倪), 사천상(史天祥)
권148 열전35 동준(董俊), 엄실(嚴實)
권149 열전36 야율유가(耶律留哥), 유백림(劉伯林), 곽보옥(郭寶玉), 석천응(石天應), 이랄날아(移剌揑兒), 야율독화(耶律禿花), 왕순(王珣)
권150 열전37 석말야선(石抹也先)[3], 하백상(何伯祥), 이수현(李守賢), 야율아해(耶律阿海), 하실(何實), 학화상발도(郝和尙拔都), 조진(趙瑨), 석말명안(石抹明安), 장영(張榮), 유형안(劉亨安)
권151 열전38 설탑랄해(薛塔剌海), 고뇨아(高鬧兒), 왕의(王義), 왕옥(王玉), 조적(趙迪), 저순(邸順), 왕선(王善), 두풍(杜豊), 석말패질아(石抹孛迭兒), 가탑랄혼(賈塔剌渾), 오돈세영(奧敦世英), 전웅(田雄), 장발도(張拔都), 장영(張榮), 조천석(趙天錫)
권152 열전39 장진형(張晉亨), 왕진(王珍), 양걸지가(楊傑只哥), 유통(劉通), 악존(岳存), 장자량(張子良), 당경(唐慶), 제영현(齊榮顯), 석천록(石天祿), 석말아신(石抹阿辛)[3], 유빈(劉斌), 조유(趙柔)
권153 열전40 유민(劉敏), 왕즙(王檝), 왕수도(王守道), 고선(高宣), 왕옥여(王玉汝), 초덕유(焦德裕), 석천린(石天麟), 이방서(李邦瑞), 양환(楊奐), 가거정(賈居貞)
권154 열전41 홍복원(洪福源), 정정(鄭鼎), 이진(李進), 석말안지(石抹按只), 알지리(謁只里), 정온(鄭溫)
권155 열전42 왕세현(汪世顯), 사천택(史天澤)
권156 열전43 동문병(董文炳), 장홍범(張弘範)
권157 열전44 유병충(劉秉忠), 장문겸(張文謙), 학경(郝經)
권158 열전45 요추(姚樞), 허형(許衡), 두묵(竇默)
권159 열전46 송자정(宋子貞), 상정(商挺), 조양필(趙良弼), 조벽(趙璧)
권160 열전47 왕반(王磐), 왕악(王鶚), 고명(高鳴), 이야(李冶), 이창(李昶), 유숙(劉肅), 왕사렴(王思廉), 이겸(李謙), 서세륭(徐世隆), 맹기(孟祺), 염복(閻復)
권161 열전48 양대연(楊大淵), 유정(劉整)
권162 열전49 이홀란길(李忽蘭吉), 이정(李庭), 사필(史弼), 고흥(高興), 유국걸(劉國傑)
권163 열전50 이덕휘(李德輝), 장웅비(張雄飛), 장덕휘(張德輝), 마형(馬亨), 정사렴(程思廉), 오고손택(烏古孫澤), 조병(趙炳)
권164 열전51 양공의(楊恭懿), 왕순(王恂), 곽수경(郭守敬), 양환(楊桓), 양과(楊果), 왕구(王構), 위초(魏初), 초양직(焦養直), 맹반린(孟攀麟), 상야(尙野), 이지소(李之紹)
권165 열전52 장희(張禧), 가문비(賈文備), 해성(解誠), 관여덕(管如德), 조갑랄(趙匣剌), 주전(周全), 공원(孔元), 주국보(朱國寶), 장립(張立), 제병절(齊秉節), 장만가노(張萬家奴), 곽앙(郭昻), 기공직(綦公直), 양새인불화(楊賽因不花), 선비중길(鮮卑仲吉), 완안석주(完顔石柱)
권166 열전53 왕준(王綧), 수세창(隋世昌), 나벽(羅璧), 유은(劉恩), 석고산(石高山), 공언휘(鞏彦暉), 채진(蔡珍), 장태형(張泰亨), 하지(賀祉),맹덕자의(孟德子義), 정의(鄭義), 장영실(張榮實), 석말구구(石抹狗狗), 초정(楚鼎), 번즙(樊楫), 장균(張均), 신저일(信苴日), 왕석랄(王昔剌), 조굉위(趙宏偉)
권167 열전54 장입도(張立道), 장정진(張庭珍), 장혜(張惠), 유호례(劉好禮), 왕국창(王國昌), 강욱(姜彧), 장초(張礎), 여섬질(呂掞𡌳), 담자영(譚資榮), 왕운(王惲)
권168 열전55 진우(陳祐), 유선(劉宣), 하영조(何榮祖), 진사제(陳思濟), 진장경(秦長卿), 조여구(趙與□), 요천복(姚天福), 허국정(許國禎)
권169 열전56 하인걸(賀仁傑), 가석랄(賈昔剌), 유합랄팔도로(劉哈剌八都魯), 석말명리(石抹明里), 사중온(謝仲溫), 고휴(高觿), 장구사(張九思), 왕백승(王伯勝)
권170 열전57 상문(尙文), 신도치원(申屠致遠), 뇌응(雷膺), 호지휼(胡祗遹), 왕이용(王利用), 창사문(暢師文), 장소(張炤), 원유(袁裕), 장방(張昉), 학빈(郝彬), 고원(高源), 양식(楊湜), 오정(吳鼎), 양덕규(梁德珪)
권171 열전58 유인(劉因), 오징(吳澄)
권172 열전59 정거부(程鉅夫), 조맹부(趙孟頫), 등문원(鄧文原), 원각(袁桷), 조원용(曹元用), 제이겸(齊履謙)
권173 열전60 최빈(崔斌), 최욱(崔彧), 엽리(葉李), 연공남(燕公楠), 마소(馬紹)
권174 열전61 요수(姚燧), 곽관(郭貫), 협곡지기(夾谷之奇), 유갱(劉賡), 야율유상(耶律有尙), 학천정(郝天挺), 장공손(張孔孫)
권175 열전62 장규(張珪), 이맹(李孟), 장양호(張養浩), 경엄(敬儼)
권176 열전63 조백계(曹伯啓), 이원례(李元禮), 왕수(王壽), 왕의(王倚), 유정(劉正), 사양(謝讓), 한약우(韓若愚), 조사로(趙師魯), 유덕온(劉德溫), 울지덕성(尉遲德誠), 진기종(秦起宗)
권177 열전64 장사명(張思明), 오원규(吳元珪), 장승(張昇), 장몽해(臧夢解), 진호(陳顥)
권178 열전65 양증(梁曾), 유민중(劉敏中), 왕약(王約), 왕결(王結), 송도(宋衜), 장백순(張伯淳)
권179 열전66 하승(賀勝), 양타아지(楊朶兒只), 소배주(蕭拜住)
권180 열전67 야율희량(耶律希亮), 조세연(趙世延), 공사회(孔思晦)
권181 열전68 원명선(元明善), 우집(虞集), 게혜사(揭傒斯), 황진(黃溍)
권182 열전69 장기암(張起巖), 구양현(歐陽玄), 허유임(許有壬), 송본(宋本), 사단(謝端)
권183 열전70 왕수성(王守誠), 왕사성(王思誠), 이호문(李好文), 패출로충(孛朮魯翀), 이동(李泂), 소천작(蘇天爵)
권184 열전71 왕도중(王都中), 왕극경(王克敬), 임속가(任速哥), 진사겸(陳思謙), 한원선(韓元善), 최경(崔敬)
권185 열전72 여사성(呂思誠), 왕택민(汪澤民), 간문전(干文傳), 한용(韓鏞), 이직(李稷), 개묘(蓋苗)
권186 열전73 장정(張楨), 귀양(歸暘), 진조인(陳祖仁), 성준(成遵), 조감(曹鑑), 장저(張翥)
권187 열전74 오고론양정(烏古孫良楨), 가로(賈魯), 녹노증(逯魯曾), 공사태(貢師泰), 주백기(周伯琦), 오당(吳當)
권188 열전75 동단소(董摶霄), 유합랄불화(劉哈剌不花), 왕영(王英), 석말의손(石抹宜孫)
권189 열전76 유학(儒學) 1 조복(趙復), 김이상(金履祥), 허겸(許謙), 진력(陳櫟), 호일계(胡一桂), 황택(黃澤), 동서(同恕), 안희(安熙)
권190 열전77 유학(儒學) 2 호장유(胡長儒), 웅붕래(熊朋來), 대표원(戴表元), 모응룡(牟應龍), 진부(陳孚), 동박(董朴), 양재(楊載), 유선(劉詵), 한성(韓性), 오사도(吳師道), 육문규(陸文圭), 주인영(周仁榮), 진려(陳旅), 이효광(李孝光), 우문공량(宇文公諒), 합랄로백안(哈剌魯伯顔), 섬사(贍思)
권191 열전78 양리(良吏) 1 담징(譚澄), 허유정(許維禎), 허즙(許楫), 전자(田滋), 복천장(卜天璋)
권192 열전79 양리(良吏) 2 야율백견(耶律伯堅), 단직(段直), 암도랄(諳都剌), 양경행(楊景行), 임흥조(林興祖), 관음노(觀音奴), 주자강(周自强), 백경량(白景亮), 왕간(王艮), 노기(盧琦), 추백안(鄒伯顔), 유병직(劉秉直), 허의부(許義夫)
권193 열전80 충의(忠義) 1 이백온(李伯溫), 석규(石珪), 유합랄발도(攸哈剌拔都), 임지(任志), 야율특(耶律忒), 백팔(伯八), 합랄보화(合剌普華), 유천부(劉天孚), 소경무(蕭景茂)
권194 열전81 충의(忠義) 2 장환(張桓), 이보(李黼), 이제(李齊), 저불화(褚不華), 곽가(郭嘉), 희동(喜同), 한인(韓因), 변침(卞琛), 교이(喬彝), 안유(顔瑜), 왕사원(王士元), 양박(楊樸), 조련(趙璉), 손휘(孫撝), 석보(石普), 성소(盛昭), 양승(楊乘), 납속랄정(納速剌丁)
권195 열전82 충의(忠義) 3 백안불화적근(伯顔不花的斤), 번집경(樊執敬), 전보암살리(全普庵撒里), 주당(周鏜), 섭병(聶炳), 유경손(劉耕孫), 유술조(兪述祖), 계완택(桂完澤), 축려(丑閭), 패라첩목아(孛羅帖木兒), 팽정견(彭庭堅), 왕백안(王伯顔), 유준(劉濬), 타리불화(朶里不花), 야준태(野峻台), 진군용(陳君用), 복리아돈(卜理牙敦), 조해(潮海), 위중립(魏中立)
권196 열전83 충의(忠義) 4 보안불화(普顔不花), 민본(閔本), 조홍의(趙弘毅), 정옥(鄭玉), 백첩목이(柏帖穆爾), 실리미실(迭里彌實), 박새인불화(朴賽因不花), 정호례(丁好禮)
권197 열전84 효우(孝友) 1 왕윤(王閏), 곽도경(郭道卿), 소도수(蕭道壽), 곽구구(郭狗狗), 장윤(張閏), 전개주(田改住), 영저구(寧豬狗), 필야속답립(畢也速答立), 번연(樊淵), 유덕천(劉德泉), 곽회(郭回), 공전(孔全), 양일(楊一), 조육(趙毓), 호광원(胡光遠), 진소손(陳韶孫), 이충(李忠), 이무(李茂), 양인(羊仁), 조일덕(趙一德), 왕사총(王思聰), 철철(徹徹), 왕초응(王初應), 정문사(鄭文嗣), 왕천(王薦), 곽전(郭全), 양호(楊皞), 정문충(丁文忠), 소경조(邵敬祖), 호탁(扈鐸), 손수실(孫秀實), 종기(宗杞), 조영(趙榮), 오호직(吳好直), 여병(余丙), 서옥(徐鈺), 윤신(尹莘), 유정양(劉廷讓), 유통(劉通), 장왕구(張旺舅), 장사효(張思孝), 두우(杜佑), 장수(長壽), 손근(孫瑾), 장공(張恭), 자여도(訾汝道)
권198 열전85 효우(孝友) 2 왕용(王庸), 황윤(黃贇), 석명삼(石明三), 유기(劉琦), 유원(劉源), 축공영(祝公榮), 육사효(陸思孝), 강겸(姜兼), 호반려(胡伴侶), 왕사홍(王士弘), 하종의(何從義), 합도적(哈都赤), 고필달(高必達), 증덕(曾德), 근병(靳昺), 황도현(黃道賢), 사언빈(史彦斌), 장소조(張紹祖), 이명덕(李明德), 장집(張緝), 위경익(魏敬益), 탕림(湯霖), 손억(孫抑), 석영(石永), 왕극기(王克己), 유사경(劉思敬), 여우(呂祐), 주악(周樂)
권199 열전86 은일(隱逸) 두영(杜瑛), 장특립(張特立), 두본(杜本), 손철(孫轍), 하중(何中), 무각(武恪)
권200 열전87 열녀(列女) 1 주출홀 처 최씨(周朮忽 妻 崔氏), 석성사람 주씨(石城人 周氏), 동평사람 양씨(東平人 楊氏), 호열부(胡烈婦), 함문흥 처 왕씨(闞文興 妻 王氏), 주갑 처 낭씨(朱甲 妻 郞氏), 진씨 두 딸(秦氏 二女), 손씨 딸(孫氏 女), 허씨 딸(許氏 女), 장씨 딸(張氏 女), 원천우 처 초씨(袁天祐 妻 焦氏), 장흥조 처 주씨(張興祖 妻 周氏), 조효부(趙孝婦), 곽씨 두 며느리(霍氏 二婦), 왕덕정 처 곽씨(王德政 妻 郭氏), 몽고 지로화진(蒙古 只魯花眞), 곽영 처 단씨(霍榮 妻 段氏), 주호 처 모씨(朱虎 妻 茅氏), 유신 처 처씨(兪新 妻 聞氏), 마영(馬英), 조씨 딸 옥아(趙氏 女 玉兒), 풍숙안(馮淑安), 이군진 처 왕씨(李君進 妻 王氏), 조와아(趙哇兒), 주숙신(朱淑信), 갈묘진(葛妙眞), 외오씨 세 딸(畏吾氏 三女), 장매노 처 왕씨(張買奴 妻 王氏), 장의부(張義婦), 정백문 처 정씨(鄭伯文 妻 丁氏), 조미 처 왕씨(趙美 妻 王氏), 옹길랄 탈탈니(雍吉剌 脫脫尼), 조림 처 주씨(趙彬 妻 朱氏), 몽고 귀가(蒙古 貴哥), 대숙령 처 유씨(臺叔齡 妻 劉氏), 이지정(李智貞), 채삼옥(蔡三玉)
권201 열전88 열녀(列女) 2 무용 처 소씨(武用 妻 蘇氏), 덕정장(德政長), 임중문 처 임씨(任仲文 妻 林氏), 강문주 처 범씨(江文鑄 妻 范氏), 여항사람 요씨(餘杭人 姚氏), 맹지강 처 의씨(孟志剛 妻 衣氏), 탕휘 처 장씨(湯煇 妻 張氏), 유사연 처 동씨(兪士淵 妻 童氏), 장씨 딸(張氏 女), 혜사현 처 왕씨(惠士玄 妻 王氏), 이경문 처 서씨(李景文 妻 徐氏), 주부 모씨(周婦 毛氏), 정상현 처 이씨(丁尙賢 妻 李氏), 이순아(李順兒), 오수정 처 우씨(吳守正 妻 禹氏), 황중기 처 주씨(黃仲起 妻 朱氏), 초사렴 처 왕씨(焦士廉 妻 王氏), 진숙진(陳淑眞), 진윤부 처 시씨(秦閏夫 妻 柴氏), 흠찰 야선홀도(欽察 也先忽都), 여언능(呂彦能), 유공익 처 소씨(劉公翼 妻 蕭氏), 원씨 고녀(袁氏 孤女), 서윤양 처 반씨(徐允讓 妻 潘氏), 조수 처 허씨(趙洙 妻 許氏), 장정몽 처 한씨(張正蒙 妻 韓氏), 유씨 두 딸(劉氏 二女), 우동조 처 조씨(于同祖 妻 曹氏), 이중의 처 유씨(李仲義 妻 劉氏), 이홍익 처 신씨(李弘益 妻 申氏), 정기 처 나씨(鄭琪 妻 羅氏), 주여지 딸(周如砥 女), 적항 처 서씨(狄恒 妻 徐氏), 가절부 진씨(柯節婦 陳氏), 이마아 처 원씨(李馬兒 妻 袁氏), 왕사명 처 이씨(王士明 妻 李氏), 도종원(陶宗媛), 패라첩목아 처 고려씨(孛羅帖木兒 妻 高麗氏), 장눌 처 유씨(張訥 妻 劉氏), 몽고 복안적근(蒙古 卜顔的斤), 장동 처 왕씨(張棟 妻 王氏), 안지도 처 유씨(安志道 妻 劉氏), 송겸 처 조씨(宋謙 妻 趙氏), 제관 처 유씨(齊關 妻 劉氏), 왕종인 처 송씨(王宗仁 妻 宋氏), 왕이겸 처 제씨(王履謙 妻 齊氏), 왕시 처 안씨(王時 妻 安氏), 서노두 처 악씨(徐猱頭 妻 岳氏), 정서 처 김씨(程徐 妻 金氏), 왕염 처 반씨(汪琰 妻 潘氏), 오자공 처 장씨(吳子恭 妻 蔣氏)
권202 열전89 석로(釋老) 팔사파(八思巴), 구처기(丘處機), 기지성(祁志誠), 장종연(張宗演), 역희성(酈希成), 소보도(蕭輔道)
권203 열전90 방기(方技) 사충량(田忠良), 근덕진(靳德進), 장강(張康)
공예(工藝) 손위(孫威), 아로와정(阿老瓦丁), 역사마인(亦思馬因), 아니가(阿尼哥)
권204 열전91 환자(宦者) 이방녕(李邦寧), 박불화(朴不花)
권205 열전92 간신(姦臣) 아합마(阿合馬), 노세영(盧世榮), 상가(桑哥), 철목질아(鐵木迭兒), 합마(哈麻), 삭사감(搠思監)
권206 열전93 반신(叛臣) 이단(李璮), 왕문통(王文統), 아로휘첩목아(阿魯輝帖木兒)
권207 열전94 역신(逆臣) 철실(鐵失), 패라첩목아(孛羅帖木兒)
권208 열전95 외이(外夷) 1 고려(高麗), 탐라(耽羅), 일본(日本)
권209 열전96 외이(外夷) 2 안남국(安南國)
권210 열전97 외이(外夷) 3 면국(緬國), 점성(占城), 섬국(暹國), 조와(爪哇), 유구(瑠求), 삼서(三嶼), 마팔아등국(馬八兒等國)

진원사표(進元史表)

[편집]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열전 121권 속불태와 122권 설불태는 동일 인물 중복이다.
  2. 열전 131권 완자도와 133권 완자도발도가 동일 인물 중복이다.
  3. 열전 150권 석말야선과 152권 석말아신이 동일 인물 중복이다.








ApplySandwichStrip

pFad - (p)hone/(F)rame/(a)nonymizer/(d)eclutterfier!      Saves Data!


--- a PPN by Garber Painting Akron. With Image Size Reduction included!

Fetched URL: 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C%82%AC_(%EC%97%AD%EC%82%AC%EC%84%9C)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