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샘

피부의 외분비선

땀샘(영어: sweat gland)은 을 만들어내는 피부의 조그마한 관상 조직이자 외분비선이다. 한선(汗腺)이라고도 한다. 몸의 결합 조직이나 진피 안에 있으며 체온조절에도 기여한다. 땀샘에는 두 종류가 있다.

  • 에크린땀샘: 영장류에게만 보이는 땀샘이다. 입술, 성기/음핵 끝을 제외한 몸 전체에 퍼져 있지만 비중은 부위마다 다르다. 사람은 체온조절을 위해 에크린 땀샘을 이용한다. 이 한선계는 두발 보행, 부드러운 털 없는 피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1]
  • 아포크린땀샘 (대한선): 더 크고, 각기 다른 분비 구조의 땀샘으로, 사람의 경우 겨드랑이와 항문 주위로 국한된다. 아포크린 땀샘이 사람의 체온 조절에 기여하는 바는 적으며 당나귀, 소, 말, 낙타 따위의 발굽 짐승들에게는 효과적이다.[2][3] 고양이, 개, 돼지 따위의 다른 대부분의 젖먹이짐승들은 헐떡임 등에 의지하여 체온조절을 하며 발바닥, 주둥이에만 땀샘이 있다. 발등, 발바닥에서 나오는 땀은 발잡이에 힘을 주고 마찰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사람 피부의 단면

에크린 땀샘, 아포크린 땀샘 둘다 근육상피세포를 포함하며 이 세포는 땀샘과 치밀판 사이에 위치한 특별한 상피 세포이다. 근상피세포가 수축하면 땀샘을 압착하며 축적된 분비물들을 방출한다. 이 땀샘의 분비 활동과 근육상피세포의 수축은 자율 신경계와 호르몬의 통제를 받는다.

귀지를 만들어내는 귀지샘(귀지선, 이도샘)과 을 만들어내는 젖샘은 땀샘의 수정판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실제로 땀샘은 아니다. 귀지샘과 젖샘 모두 진정한 아포크린샘일 뿐이다.[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G. Edgar Folk Jr. and A. Semken Jr. (1991). “The evolution of sweat glands”. 《Int. J. Of Biometeorology》 35 (3): 180–186. doi:10.1007/BF01049065. PMID 1778649.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Bullard RW, Dill DB, Yousef MK (1970). “Responses of the burro to desert heat stress”. 《J Appl Physiol》 29 (2): 159–167. PMID 5428889.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10일에 확인함. 
  3. Sorensen VW, Prasad G (1973). “On the fine structure of horse sweat glands”. 《Z Anat Entwicklungsgesch.》 139 (2): 173–183. doi:10.1007/BF00523636. PMID 4352229.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Ackerman, A. Bernard; Almut Böer, Bruce Bennin, and Geoffrey J. Gottlieb (2005). 《Histologic Diagnosis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 An Algorithmic Method Based on Pattern Analysis》. ISBN 978-1893357259. 2011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