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e005669

Browse files
authored
src
1 parent 523f0f6 commit e005669

File tree

1 file changed

+38
-25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38
-25
lines changed

src/codeup100/c1042.java

Lines changed: 38 additions & 25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3,37 +13,5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1313

1414
// 이렇게 접근했으나 너무 좋은 OpenSource를 발견해 적어본다
1515
💡💡💡💡💡💡💡
16-
1716
import java.util.Scanner;
1817

1918
public class c1042 {
2019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21-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22-
boolean run = true; // while문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
23-
24-
// 범위 밖의 값을 입력했을 때를 위한 예외처리
25-
try {
26-
// ( int 범위 : -214783648 ~ 214783648 )
20+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21+
boolean run = true; // while문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
22+
23+
// 범위 밖의 값을 입력했을 때를 위한 예외처리
24+
try {
25+
// ( int 범위 : -214783648 ~ 214783648 )
2726
while (run) { // 범위 내의 값 입력
28-
System.out.println("첫 번째 정수 입력 : " );
29-
int num1 = sc.nextInt();
30-
31-
System.out.println("두 번째 정수 입력 : " );
32-
int num2 = sc.nextInt();
33-
34-
if ( num2 == 0 ) {
35-
System.out.println("나누는 수가 0이 될 수 없습니다.");
36-
// while문 반복
37-
27+
System.out.println("첫 번째 정수 입력 : " );
28+
int num1 = sc.nextInt();
29+
30+
System.out.println("두 번째 정수 입력 : " );
31+
int num2 = sc.nextInt();
32+
33+
if ( num2 == 0 ) {
34+
System.out.println("나누는 수가 0이 될 수 없습니다.");
35+
// while문 반복
36+
3837
} else { // num2 != 0
39-
int result = num1 / num2;
40-
System.out.println(result);
41-
run = false; // while문 종료
42-
}
43-
}
44-
} catch (Exception e) {
38+
int result = num1 / num2;
39+
System.out.println("출력 값 : " + result);
40+
41+
run = false; // while문 종료
42+
}
43+
}
44+
} catch (Exception e) {
4545
System.err.println("범위 밖의 정수를 입력하셨습니다.");
46-
}
47-
sc.close();
46+
}
47+
sc.close();
4848
}
4949
}
50+
51+
// 1. sc 객체 생성
52+
// 2. while문 제어를 위한 변수 run 선언
53+
// 3. int 범위 초과시 예외처리를 위해 try-catch
54+
// - 범위 밖의 정수값 입력시 Error가 발생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catch를 실행
55+
// - Error가 발생한 지점부터 그 아래의 코드들은 실행되지 않는다.
56+
// 4. while문 코드를 통해 범위 내의 1번째, 2번째 정수를 입력받고 2번째 정수가 0이 아니면
57+
// 5. num1/num2의 결과값을 result에 저장한 후 출력
58+
// 6. whlie 제어 변수인 run을 false로 저장한 후 while문 종료
59+
// 7. sc 객체 닫기
60+
61+
// *이전 문제에서는 Error를 잡기 위해 if-else문을 사용하였다. if-else문에서는 Error가 발생하면 종료되었지만
62+
// 이번에는 while문을 통해 범위 내에서 Error가 발생하면 다시 처음부터 반복 되는 코드를 작성하였다.

0 commit comments

Comments
 (0)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