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암
두경부암(頭頸部癌)은 입, 코, 목, 후두, 코곁굴(부비동), 침샘에서 시작되는 암이다. 두경부암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치유되지 않는 혹이나 통증, 사라지지 않는 목의 통증, 삼키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목소리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출혈, 안면 붓기, 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다.[5]
두경부암 | |
---|---|
다른 이름 | Head and neck cancer |
주위에 편평태선이 있는 설암 | |
진료과 | 종양학, 구강악안면외과학 |
증상 | 치료되지 않은 응어리. 사라지지 않는 인두염. 삼키기 어려움. 목소리 변화.[1] |
위험 인자 | 알코올, 담배, 인유두종 바이러스, 방사선 노출, 특정 작업공간 노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1][2] |
진단 방식 | 조직 생검[1] |
예방 | 금연, 금주[2] |
치료 | 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표적 치료[1] |
빈도 | 5,500,000명 (2015년 발병환자 수)[3] |
사망 | 379,000명 (2015년)[4] |
두경부암의 약 75%는 무연담배를 포함한 담배나 술의 흡입으로 인해 발생한다.[5]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베틀후추, 특정 유형의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조사선량, 특정 직종에서의 물질 노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등이 있다.[5] 두경부암의 약 90%는 편평세포암이다. 그 진단은 조직 생검을 통해 확인된다.[5] 확산 정도는 의학촬영 및 혈액 검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5]
담배와 알코올을 끊으면 두경부암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2]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은 첫 성적 활동 이전에 투여 받았을 때 구강암의 평생위험도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되나, 2060년 정도가 되기 전까지 확정적인 결론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6] 이는 구인두암이 50대에서 70대 정도에 보통 발생하며, 백신이 비교적 최근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 선별검사는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나, 인후 검사를 통해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선별검사는 유용할 수 있다.[2] 두경부암은 일찍 진단하면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진단이 늦어질수록 예후는 나빠진다.[2] 수술, 방사선치료, 화학요법, 표적치료 등 여러 방식을 병용하여 치료한다.[5] 두경부암의 이전 병력이 있는 사람은 이차성 두경부암 발생이나 재발 위험이 더 높다.[5]
국제적으로 두경부암은 매년 평균 650,000명이 발생, 330,000명이 사망한다. 2018년 기준 전 세계에서 7번째로 흔한 암이었으며, 기록상 890,000명이 새로 두경부암에 걸렸고 450,000명은 두경부암으로 인해 사망하였다.[6] 미국의 경우 연간 평균 약 53,000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여 전체 암 발병 사례의 대략 3%를, 암 사망 사례에서는 1.5% 정도를 차지한다.[7] 전 세계에서는 2017년 기준으로 (비흑색종 피부암 제외) 두경부암이 전체 암의 5.3%를 차지한다.[8][9] 주목할 만한 점은 만성 알코올 섭취와 흡연으로 인해 발생한 두경부암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만성 흡연 인구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6] 그러나 인유두종 바이러스 관련 구인두암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서구권 국가의 젊은층을 중심으로 늘고 있다. 이는 구강 성교 파트너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9][6] 1970년대를 기점으로 구인두암의 발병은 증가하였고 특히 부유한 국가와 남성 인구가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10][11][9] 남성 인구가 영향을 많이 받은 이유는 여성이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이 더 잘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여성에서 남성으로 전파될 확률이 남성에서 여성으로 전파될 확률보다 높았기 때문이다.[9][12]
징후 및 증상
편집두경부암은 대개 목 바깥쪽에 확대된 림프절, 목 통증, 목의 통증, 목이 아프거나 목이 쉰 목소리처럼 충분히 해롭지 않아 보이는 증상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두경부암의 경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어 만성화될 수 있다. 목이나 목에 혹이나 통증이 있어 치유되지 않거나 없어질 수 있다. 삼키기가 어렵거나 고통스러울 수 있다. 말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또한 지속적인 귀앓이도 있을 수 있다.[13]
그 밖의 증상으로는 입술, 입 또는 잇몸의 혹, 치유되지 않는 궤양이나 구강염, 입에서 피가 나거나 저린 것, 입안에 계속 남아 있는 변색된 부분, 혀가 아프거나 삐걱거리는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충혈, 체중 감소, 그리고 얼굴 근육의 마비나 마비 등이 있을 수 있다.
연구
편집두경부암에서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사용한 면역치료가 조사되고 있다.[14]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Oropharyngeal Cancer Treatment (Adult) (PDQ®)–Patient Version”. 《National Cancer Institute》 (영어). 2019년 11월 22일. 2019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8쪽. ISBN 978-9283204299.
- ↑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 ↑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Head and Neck Cancers”. 《NCI》. 2017년 3월 29일. 2017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Chow LQ (January 2020). “Head and Neck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2 (1): 60–72. doi:10.1056/nejmra1715715. PMID 31893516. S2CID 209482428.
- ↑ Siegel RL, Miller KD, Jemal A (January 2020). “Cancer statistics, 2020”.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70 (1): 7–30. doi:10.3322/caac.21590. PMID 31912902.
- ↑ Fitzmaurice C, Abate D, Abbasi N, Abbastabar H, Abd-Allah F, Abdel-Rahman O, 외. (Global Burden of Disease Cancer Collaboration) (December 2019).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Cancer Incidence, Mortality, Years of Life Lost, Years Lived With Disability, and Disability-Adjusted Life-Years for 29 Cancer Groups, 1990 to 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JAMA Oncology》 5 (12): 1749–1768. doi:10.1001/jamaoncol.2019.2996. PMC 6777271. PMID 31560378.
- ↑ 가 나 다 라 Aupérin A (May 2020). “Epidemiology of head and neck cancers: an update”. 《Current Opinion in Oncology》 32 (3): 178–186. doi:10.1097/CCO.0000000000000629. PMID 32209823. S2CID 214644380.
- ↑ Gillison ML, Castellsagué X, Chaturvedi A, Goodman MT, Snijders P, Tommasino M, 외. (February 2014). “Eurogin Roadmap: comparative epidemiology of HPV infection and associated cancers of the head and neck and cervix”.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34 (3): 497–507. doi:10.1002/ijc.28201. PMID 23568556. S2CID 37877664.
- ↑ Gillison ML, Chaturvedi AK, Anderson WF, Fakhry C (October 2015). “Epidemiology of Human Papillomavirus-Positive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3 (29): 3235–3242. doi:10.1200/JCO.2015.61.6995. PMC 4979086. PMID 26351338.
- ↑ Giuliano AR, Nyitray AG, Kreimer AR, Pierce Campbell CM, Goodman MT, Sudenga SL, 외. (June 2015). “EUROGIN 2014 roadmap: differences in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natural history, transmission and human papillomavirus-related cancer incidence by gender and anatomic site of inf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36 (12): 2752–2760. doi:10.1002/ijc.29082. PMC 4297584. PMID 25043222.
- ↑ 《Head and neck cancer : emerging perspectives》. Ensley, John F. Amsterdam: Academic Press. 2003. ISBN 978-0-08-053384-1. OCLC 180905431.
- ↑ Syn NL, Teng MW, Mok TS, Soo RA (December 2017). “De-novo and acquired resistance to immune checkpoint targeting”. 《The Lancet. Oncology》 18 (12): e731–e741. doi:10.1016/s1470-2045(17)30607-1. PMID 29208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