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드만 영역

브로드만 영역(Brodmann area)은 사람이나 영장류 대뇌피질에 있는 영역으로, 세포구축(cytoarchitecture) 즉 세포의 구조와 구성에 따라 정의된다.

역사

편집
 
주요 번호가 표시되어 있는 브로드만 영역

독일해부학자코르비니안 브로드만(독일어: Korbinian Brodmann)이 니슬 염색법을 이용하여 대뇌 피질을 관찰하고, 뉴런세포구축에 따라 브로드만 영역을 정의하고 번호를 매겼다. 브로드만은 1909년 사람, 원숭이 그리고 기타 동물의 피질 영역에 대한 지도와[1] 포유동물 피질의 일반 세포 유형과 층 구조에 대한 관찰 내용을 발표하였다. 1925년 콘스탄틴 폰 에코노모(Constantin von Economo)와 게오르크 코스키나스(Georg N. Koskinas)가 더 상세한 피질 지도를 발표하였다.[2]

오늘날의 중요성

편집

브로드만 영역은 거의 한 세기 동안 토의와 논쟁, 개선을 거쳐 가장 잘 알려지고 자주 인용되는 세포구축 구조가 되었다. 브로드만이 뉴런의 구성에만 기초하여 정의한 영역을 피질의 다양한 기능과 연관지었다. 예를 들어, 브로드만 영역 1, 2와 3은 일차 몸감각피질이고, 영역 4는 일차 운동피질, 영역 17은 일차 시각피질, 영역 41과 42는 일차 청각피질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연합 피질 영역의 고차(high-order) 기능은 신경생리학, fMRI 등의 방법으로 확인한 브로드만 영역과 일치하였다. 예를 들어, 왼쪽 브로드만 영역 44와 45는 말과 언어를 담당하는 브로카 영역과 일치하였다. 그러나 fMRI는 브로드만 영역이 활성화되는 대략적인 위치만 알 수 있을 뿐, 영역의 정확한 경계는 조직학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인간 및 영장류의 브로드만 영역

편집
 
3D로 나타낸 브로드만 영역

서로 다른 종 사이에는 브로드만 영역 번호가 같더라도 반드시 같은 영역을 가리키지는 않는다.[3]

원래 하나의 브로드만 영역이었던 것이 영역 23a, 23b와 같이 더 세분화되기도 한다.[4]

(*) 사람이 아닌 유인원에만 있는 영역.

뇌지도 가쪽 표면

편집

양 옆에서 보이는 표면을 가쪽 표면(lateral surface)이라 한다. 아래 그림은 왼쪽 반구의 가쪽 표면이다.

 영역 3, 1, 2 – 일차 몸감각피질영역 4 – 일차 운동피질영역 5 – 몸감각 연합피질영역 6 – 전운동피질과 보조운동피질영역 7 – 몸감각 연합피질영역 8 – 전두엽 안구운동야영역 9 – 등쪽가쪽 전전두피질영역 10 – 앞쪽 전전두피질영역 11 – 안와전두 영역영역 17 – 일차 시각피질 (V1)영역 18 – 이차 시각피질 (V2)영역 19 – 연합 시각피질 (V3)영역 20 – 아래쪽 측두이랑영역 21 – 가운데 측두이랑영역 22 – 위쪽 측두이랑영역 37 – 방추형이랑영역 38 – 측두엽극 영역영역 39 – 각이랑영역 40 – 모서리위이랑영역 41 – 일차 및 연합 청각피질영역 42 – 일차 및 연합 청각피질영역 43 – 일차 미각피질영역 44 – 덮개부, 브로카 영역의 일부영역 45 – 삼각부, 브로카 영역영역 46 – 등쪽가쪽 전전두피질영역 47 – 아래쪽 전두이랑
브로드만 영역을 나타낸 지도. 숫자를 클릭하면 각 문서로 넘어간다.

뇌지도 가운데 표면

편집

좌우 반구 사이의 정중앙 분할면을 가운데 표면(medial surface)이라 한다. 아래 그림은 왼쪽 반구의 안쪽 표면이다.

 영역 3, 1, 2 – 일차 몸감각피질영역 4 – 일차 운동피질영역 5 – 몸감각 연합피질영역 6 – 전운동피질과 보조운동영역영역 7 – 몸감각 연합피질영역 8 – 전두엽 안구운동야영역 9 – 등쪽가쪽 전전두피질영역 10 – 앞쪽 전전두피질영역 11 – 안와전두 영역영역 12 – 안와전두 영역영역 17 – 일차 시각피질 (V1)영역 18 – 이차 시각피질 (V2)영역 18 – 이차 시각피질 (V2)영역 19 – 연합 시각피질 (V3)영역 19 – 연합 시각피질 (V3)영역 20 – 아래쪽 측두이랑영역 23 – 배쪽 뒤쪽 띠다발피질영역 24 – 배쪽 앞쪽 띠다발피질영역 25 – 배쪽안쪽 전전두피질영역 26 – 바깥뇌들보팽대영역 27 – 조롱박피질영역 28 – 뒤쪽 내후각피질영역 29 – 뒤뇌들보팽대 띠다발피질영역 30 – 띠다발피질의 일부영역 31 – 등쪽 뒤쪽 띠다발피질영역 32 – 등쪽 앞쪽 띠다발피질영역 33 – 앞쪽 띠다발피질의 일부영역 34 – 앞쪽 내후각피질영역 35 – 후각주위피질영역 37 – 방추형이랑영역 38 – 측두엽극 영역
브로드만 영역을 나타낸 지도. 숫자를 클릭하면 각 문서로 넘어간다.

비판

편집

폰 보닌(von Bonin)과 베일리(Bailey)는 브로드만이 널리 알려진 사람 지도를 작성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 기반이 되는 자료가 발표된 적이 없음을 지적하였다.[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Brodmann K. (1909). “Vergleichende Lokalisationslehre der Grosshirnrinde” (독일어). Leipzig: Johann Ambrosius Barth. 
  2. Economo, C., Koskinas, G.N. (1925). “Die Cytoarchitektonik der Hirnrinde des erwachsenen Menschen” (독일어). Wien & Berlin: Springer. 
  3. Garey LJ. (2006). 《Brodmann's Localisation in the Cerebral Cortex》 (PDF) (영어). New York: Springer. ISBN 978-0387-26917-7. 2014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1일에 확인함. 
  4. Brent A. Vogt, Deepak N. Pandya, Douglas L. Rosene (1987년 8월). “Cingulate Cortex of the Rhesus Monkey: I. Cytoarchitecture and Thalamic Afferents”. 《The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영어) 262 (2): 256–270. doi:10.1002/cne.902620207. PMID 3624554. 
  5. Fales CL, Barch DM, Rundle MM, Mintun MA, Snyder AZ, Cohen JD, Mathews J, Sheline YI (2008년 2월). “Altered emotional interference processing in affective and cognitive-control brain circuitry in major depression”. 《Biol. Psychiatry》 (영어) 63 (4): 377–84. doi:10.1016/j.biopsych.2007.06.012. PMC 2268639. PMID 17719567. 
  6. Gerhardt von Bonin, Percival Bailey (1925). 《The Neocortex of Macaca Mulatta》 (PDF) (영어). Urbana, Illinois: Th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