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Length: 173008 | pFad | http://ko.wikipedia.org/wiki/%EB%A6%BC%ED%94%84%EA%B4%80

림프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림프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림프관
조직 공간의 림프 모세관
가슴림프관과 우측 림프관
정보
기관계림프계
식별자
라틴어vas lymphaticum
영어Lymphatic vessel
lymph vessels
lymphatics
MeSHD042601
TA98A12.0.00.038
TA23915
THH3.09.02.0.05001
FMA30315

림프관(영어: lymphatic vessel)은 주로 피부나 점막하층성긴결합조직에서 액체와 물질을 혈관계로 수송하는 한쪽 방향이 막힌 투명한 관이다. 림프관은 모세혈관보다 투과성이 더 높아 항원과 세포를 포함한 거대분자를 모세혈관보다 더 쉽게 흡수한다.[1] 림프관은 중간중간 림프절과 연결되어 있으며, 림프관의 액체는 가슴림프관(thoracic duct)을 거쳐 결국 혈관계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동맥과 정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혈관과는 달리 림프관은 한쪽 방향이 막혀있어 조직에서 혈관 쪽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 이러한 림프관의 연결망은 림프계를 이룬다.

림프를 조직에서 림프절 쪽으로 가져오는 혈관은 구심성 혈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구심성 혈관은 피막하동으로 배출된다.[2] 림프 기관에서 림프절로 림프를 가져오는 원심성 혈관으로 림프관을 우측 림프관 또는 신체에서 가장 큰 림프관인 흉관으로 가져온다. 이 혈관은 각각 오른쪽 및 왼쪽 쇄골하 정맥으로 배출된다. 림프구와 대식세포가 면역 지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림프를 내보내는 원심성 혈관보다 림프를 가져오는 구심성 혈관이 훨씬 더 많다. 림프관에는 판막이 존재한다.

구조

[편집]

림프계의 일반적인 구조는 혈관의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다. 내피라고 불리는 일종의 상피로 구성된 단일 편평 상피 세포의 내부 내벽이 있으며, 이 세포를 내피 세포라고 한다. 이 층은 체액을 기계적으로 운반하는 기능을 하고, 그 위에 있는 기저막은 불연속적이어서 쉽게 누출된다.[3] 다음 층은 내피 주위에 원형 방식으로 배열된 평활근 층으로, 단축(수축) 또는 이완을 통해 내강의 직경(구경)이 변한다. 가장 바깥층은 섬유조직으로 구성된 외막이다. 여기에 설명된 일반적인 구조는 더 큰 림프관에서만 볼 수 있다. 더 작은 림프관에는 더 적은 층이 존재한다. 가장 작은 혈관(림프 또는 림프 모세관)에는 근육층과 외막이 모두 없다. 앞으로 나아가면서 다른 모세혈관들이 그 과정에서 합류하게 되면, 더 커지고 먼저 외막을 갖게 되고 그 다음에는 평활근을 갖게 된다. 림프 전도 시스템은 초기 림프관, 간질액에서 림프를 모으는 전림프관 또는 림프 모세관, 그리고 림프를 앞으로 추진하는 더 큰 림프관으로 구성됩니다. 심혈관계와 달리 림프계는 닫혀 있지 않고 중앙 펌프도 없다. 림프 운동은 인접한 골격근의 수축과 동맥 맥박 중 연동운동(평활근의 교대 수축과 이완으로 인한 림프의 추진), 판막, 압박으로 인해 낮은 압력에도 불구하고 생긴다.[4]

림프 모세관

[편집]
림프관을 통한 림프 추진

림프관 순환은 간질압이 충분히 높을 때 체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모양의 접합부가 있는 내피 세포로 형성된 투과성이 높은 표면 림프 모세관(한 쪽 끝이 닫혀 있음)으로 시작된다.[5] 이러한 단추 모양 접합은 혈소판 내피 세포 접착 분자-1 또는 PECAM-1과 같은 단백질 필라멘트로 구성된다. 여기에 위치한 밸브 시스템은 흡수된 림프가 다시 간질액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 판막 시스템에는 내피 세포를 분리하고 순환을 위해 림프가 모세혈관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증가된 간질액 압력에 반응하는 림프 내피 세포에 부착된 콜라겐 섬유가 포함된다.[6] 혈관 내강을 따라 림프의 역류를 방지하는 또 다른 반월판 시스템이 있다.[5] 림프 모세혈관은 서로 많은 상호 연결(문합)을 갖고 있으며 매우 미세한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움직임을 통한 혈관벽의 리듬 수축은 또한 가장 작은 림프관인 모세혈관으로 체액을 끌어들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조직액이 쌓이면 조직이 부어오르게 되는데 이걸 부종이라고 한다. 신체 시스템을 통한 순환 경로가 계속됨에 따라 체액은 우측 림프관(오른쪽 상체의 림프의 경우)과 흉관(신체의 나머지 부분)에서 정점에 도달하는 점점 더 큰 림프관으로 운반된다. 두 관 모두 오른쪽 및 왼쪽 쇄골하 정맥의 순환계로 배출된다. 이 체계는 림프절의 백혈구와 협력하여 암세포, 곰팡이,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이를 2차 순환계라고 한다.

림프관

[편집]

림프 모세관은 더 큰 집합 림프관으로 흘러들어간다. 이들은 림프 운반을 돕기 위해 수축하는 평활근 벽과 림프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판막의 조합을 사용하여 림프를 운반하는 수축성 림프관이다.[4] 수집 림프관은 길이를 따라 점점 더 많은 림프 모세혈관에서 림프를 축적함에 따라 림프절에 들어갈 때 더 커지고 결국 구심성 림프관이 된다. 림프는 림프절 조직을 통해 여과되어 원심성 림프관을 통해 빠져나간다. 원심성 림프관은 (오른쪽 또는 흉부) 림프관 중 하나로 직접 배수되거나, 수입성 림프관으로서 다른 림프절로 비워질 수 있다.[7] 두 림프관 모두 쇄골하 정맥으로 림프를 비워 혈류로 되돌린다.

림프관은 반월판으로 분리된 부분인 림프관으로 알려진 기능적 단위로 구성된다. 이 부분은 길이와 반경의 비율에 따라 둘러싸는 평활근의 수축을 통해 림프의 흐름을 촉진하거나 저항한다.[8]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Micheal H. Ross, Gordon I. Kaye, Wojciech Pawlina (2003). 《Histology : a text and atlas》 4판.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368~369쪽. ISBN 0683302426. 
  2. “19.2B: Distribution of Lymphatic Vessels”. 《Medicine LibreTexts》 (영어). 2018년 7월 22일. 2021년 11월 28일에 확인함. 
  3. Pepper MS, Skobe M (October 2003). “Lymphatic endothelium: morphological, molecular and functional properties”.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63 (2): 209–13. doi:10.1083/jcb.200308082. PMC 2173536. PMID 14581448. 
  4. Shayan R, Achen MG, Stacker SA (September 2006). “Lymphatic vessels in cancer metastasis: bridging the gaps”. 《Carcinogenesis》 27 (9): 1729–38. doi:10.1093/carcin/bgl031. PMID 16597644. 
  5. Baluk P, Fuxe J, Hashizume H, Romano T, Lashnits E, Butz S, 외. (October 2007). “Functionally specialized junctions between endothelial cells of lymphatic vessel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04 (10): 2349–62. doi:10.1084/jem.20062596. PMC 2118470. PMID 17846148. 
  6. Weitman E, Cuzzone D, Mehrara BJ (September 2013).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on of lymphatic structures”. 《Future Oncology》 9 (9): 1365–74. doi:10.2217/fon.13.110. PMC 4095806. PMID 23980683. 
  7. Rosse, Cornelius; Gaddum-Rosse, Penelope (1997). 〈The Cardiovascular System (Chapter 8)〉. 《Hollinshead's Textbook of Anatomy》 Fif판.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72–73쪽. ISBN 0-397-51256-2. 
  8. Venugopal AM, Stewart RH, Rajagopalan S, Laine GA, Quick CM (2004). 〈Optimal Lymphatic Vessel Structure〉. 《The 26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26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3700–3703쪽. doi:10.1109/IEMBS.2004.1404039. ISBN 0-7803-8439-3. 








ApplySandwichStrip

pFad - (p)hone/(F)rame/(a)nonymizer/(d)eclutterfier!      Saves Data!


--- a PPN by Garber Painting Akron. With Image Size Reduction included!

Fetched URL: http://ko.wikipedia.org/wiki/%EB%A6%BC%ED%94%84%EA%B4%80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