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Length: 140667 | pFad | http://ko.wikipedia.org/wiki/%EC%95%99%EB%B6%80%EC%9D%BC%EA%B5%AC

앙부일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앙부일구

앙부일구
(仰釜日晷)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구)제845호
(1985년 8월 9일 지정)
수량2기
시대조선시대 17세기 이후
소유국유
위치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
좌표북위 37° 34′ 36″ 동경 126° 58′ 27″ / 북위 37.57667° 동경 126.97417°  / 37.57667; 126.97417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앙부일구(仰釜日晷)[A]1434년 조선 세종대왕 16년 이후로 제작·사용된 해시계로, 과학·역사·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45호로 지정되었다.[B][1] 앙부일구는 장영실, 이천, 김조 등이 초기의 제작에 참여하였으며, 이때 제작된 앙부일구는 남아 있지 않아 18세기에 제작된 것을 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로 지정된 휴대용 앙부일구는 주머니에 넣을 수 있을 만큼 작은 크기로 강건이 제작한 것이다. 이외에는 자격루, 혼천의, 해시계, 물시계, 천상열차분야지도와 같은 장영실의 발명품이 있다.

개요

[편집]

원사(元史)》〈천문지(天文志)〉「앙의(仰儀)」를 참고하였다고 한다.[2] 오목한 화로 크기의 둥근 가마솥 시계판 모양 해를 우러르고 있다고 해서 앙부일구라는 이름을 붙였다. 오목한 지구의처럼 생겨 시각선, 계절선을 나타내는 데 효과적이다. 청동을 재료로 하여 주물을 부어 만들고 글자와 선은 흑색칠 바탕에 은상감(銀象嵌)을 하여 뚜렷이 보이게 하였다. 4개의 발은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수평기준장치를 십자(十字)의 형태로 하였다.

시판은 동지(冬至) 쪽에서 시작하여 하지(夏至)에 이르기까지 24절기를 13선의 위선(緯線)으로 긋고 이에 수직으로 시각선(時刻線)을 그었다. 위도에 따라 그림자의 길이를 달리하기 위해, 영침(影針), 즉 그림자바늘은 당시 한양에서 사용하던 북극출지(北極出地) 37도 20분에 맞춰서 비스듬히 꽂아서 사용하였다.

당시의 시간은 12간지로 표현을 하였으며, 시간의 단위가 12이기 때문에 2시간이 한 묶음의 시간이었다. 글을 모르는 백성들을 위해, 12지신을 그림으로 그려 1434년 11월 2일(음력 10월 2일) 혜정교(惠政橋)와 종묘 앞에 설치를 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사라져 세종시대 앙부일구는 남아있지 않다.[3] 그 후 조선시대 말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궁궐과 관공서, 사대부 가옥에 이르기까지 널리 보급되었다.

서울시 종로구 훈정동에 있는 앙부일구

조선시대의 시간

[편집]

조선 시대에는 하루를 12시 또는 24시로 나누었으며, 실제의 태양을 기준으로 하였다. 현재 협정 세계시를 기준으로 동경 135도에 따른 한국 표준시를 적용하는 대한민국의 표준시간과는 약 30분 차이가 난다. 즉, 앙부일구에서 그림자가 오시(午時) 정중앙을 가리키고 있다면 실제 시각은 12시가 아닌 약 12시 30분이 되며 이는 지방과 계절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4]

시간 재는 방법

[편집]

가로선과 세로선을 참조하여 시각과 절기를 측정한다.[5]

  • 시각선 : 앙부일구의 세로선이다.
  • 절기선 : 앙부일구의 가로선이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내용
  1. 부(釜)는 솥, 앙부(仰釜)는 하늘을 우러르는 솥을 말하며, 구(晷)는 그림자라는 뜻으로 일구(日晷)는 곧 해시계를 말한다.
  2. 지정 당시의 명칭은 '앙부일구(仰釜日晷)'였다.[1]
출처
  1. 관보 제10111호 1985년 8월 9일. 5-6쪽. 6쪽. 문화공보부고시제645호. 국보및보물지정. 문화공보부장관. 2016년 5월 20일 확인함.
  2. 《이야기 한국과학사》, 서울신문사, 1984.
  3. “조선왕조실록, 세종 66권, 16년”. 조선왕조실록. 1434년 10월 2일.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1일에 확인함. 
  4. 오락가락 표준시간…사주팔자는? Archived 2015년 12월 22일 - 웨이백 머신, 《서울신문》, 2005.3.24.
  5. 앙부일구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6. “조선왕조실록, 세종 77권, 19년”. 조선왕조실록. 1437년 4월 15일. 2008년 12월 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참고 자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앙부일구"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pplySandwichStrip

pFad - (p)hone/(F)rame/(a)nonymizer/(d)eclutterfier!      Saves Data!


--- a PPN by Garber Painting Akron. With Image Size Reduction included!

Fetched URL: http://ko.wikipedia.org/wiki/%EC%95%99%EB%B6%80%EC%9D%BC%EA%B5%AC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