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Length: 350761 | pFad | http://ko.wikipedia.org/wiki/%EC%9D%BC_%EC%B9%B8%EA%B5%AD

일 칸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일 칸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란 땅
ایران‌زمین
몽골제국행정구역(1256~1259)
독립 칸국/울루스(1260~1335)
1259년~1335년[1][2]
국기
국기
가잔 칸 치하의 일 칸국
가잔 칸 치하의 일 칸국
수도
정치
정치체제군주제

1256년 ~ 1265년

1316년 ~ 1335년

훌라구 칸

아부 사이드 칸
입법부쿠릴타이
역사
 • 설립

 • 멸망
1256년

1335년
지리
1310년 어림 면적3,750,000 km2
인문
공용어페르시아어 (링구아 프랑카, 공식 언어, 행정어, 공문서 언어)[3][4]
몽골어 (지배층어, 궁정어, 공문서 언어)[3][5][6]
지역어(비공식적)
종교
종교샤머니즘불교
(1256년 ~ 1295년)
이슬람
(1295년 ~ 1335년)
이전 국가
다음 국가
몽골 제국
호라즘 제국
아바스 왕조
룸 술탄국
조지아 왕국
쿠틀룩 칸국
아이유브 술탄국
살구르 왕조
아나톨리아 베이국
무자파르 왕조
카르트 왕조
추판 왕조
인주 왕조
미라반 왕조
잘라이르 왕조
맘루크 왕조
아나톨리아 베이국
수타이드 가문

일 칸국(페르시아어: سلسله ایلخانی, 영어: Ilkhanate)[주 1], 또는 몽골식 명칭인 훌레구 울루스(중세 몽골어: ᠬᠦᠯᠦᠭ ᠦᠨ
ᠤᠯᠤᠰ
훌레구인 울루스)는 몽골 제국의 남서부 영토, 즉 아나톨리아페르시아, 메소포타미아를 계승한 몽골계 칸국이다. 그들 스스로는 이란의 땅(페르시아어: ایران‌زمین 이란-자민/Irān-zamin) 내지는 단순히 이란이라고 칭했다.[9][10] 일 칸국은 툴루이의 아들이자 칭기즈 칸의 손자였던 훌라구가 1259년 그의 형 뭉케 카안이 사망한 이후 몽골 제국의 중앙아시아 영토 일부와 중동 영토를 상속받으면서 설립되었다.

일 칸국의 핵심 영토는 오늘날의 이란, 아제르바이잔, 튀르키예에 위치해 있었으며, 전성기에는 위에 나열한 국가들 말고도 이라크, 시리아, 아르메니아, 조지아,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다게스탄타지키스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영토가 걸쳐 있었다. 본래 일 칸들은 몽골 전통 신앙인 텡그리샤머니즘, 또는 불교를 믿었지만 1295년 가잔 칸을 기점으로 이후의 일 칸들은 모두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일 칸국은 아인잘루트 전투에서 패배한 뒤로 이집트의 맘루크 술탄국시리아 영토를 두고 지속적으로 대립했으나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1330년대에 파괴적인 흑사병이 유행하면서 대부분의 도시가 황폐화되었으며, 그 와중에 마지막 칸이었던 아부 사이드가 1335년 사망한 이후에는 각지의 지역 귀족들과 토호들이 발호함에 따라 일 칸국은 해체되었다. 그뒤 잘라이르 왕조, 추판 왕조 등 일부 후계국들이 등장했지만 티무르의 침입과 튀르크멘이 건국한 카라 코윤루&아크 코윤루의 공격으로 모두 멸망하였다.

이란 출신이 아니었던 일 칸국의 통치자들은 이란의 과거 역사와 연관지어 자신들의 권위와 정통성을 입증하려 했고, 이를 위해 사산 제국(224~651)의 후계자로서 몽골인들을 내세울 역사가들을 중용했다.[11] 자신들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현지 지식인들은 몽골의 페르시아 지역 통일을 오랫동안 잃어버렸던 왕조 전통의 부활으로 해석했고, 이와 함께 등장한 '이란의 땅'이라는 개념은 훗날 사파비 이란(1501~1736)에 의해 재사용되어 그들 치하에서 더욱 발전했다. 원나라 시기 중국의 발전과 마찬가지로, 비록 몽골인들이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영토의 통일'이라는 개념의 부활은 이란에서의 몽골 통치의 지속적인 유산이 되었다.[12]

훌라구와 중동원정

[편집]

오고타이계의 칸과의 경쟁을 통해 왕위에 오른 툴루이의 아들 몽케 칸은 자신의 동생인 훌라구(혹은 훌레구)에게 줄 땅을 마련하기 위해 중동으로 공격을 권유한다. 1255년으로 아바스 왕조의 수도 바그다드를 공격하기 위해 떠났다. 2년 뒤인 1257년 11월 훌라구의 군대는 바그다드를 공격하였고. 마지막 칼리파 알 무스타심은 살해당했다.

훌라구 칸은 시리아 지역으로 원정을 나섰다. 당시 시리아 해안 지역에는 십자군이 세운 기독교 국가들이 남아있었다. 십자군이 세운 공국 중 하나인 안티오키아 공국보에몽 6세는 몽골군에 합류했다. 1260년 훌라구는 이들의 지원을 받아 알레포를 점령하고 시리아의 여러 군소정권을 복속시켰다. 하지만 1260년 봄, 몽케 칸의 사망과 그 뒤로 이어진 내분 때문에 훌라구는 그 곳에서 돌아갈 수 밖에 없었다.

훌라구는 시리아를 떠나며 자신의 군대를 장군 키트부카에게 맡겼다. 키트부카는 훌라구의 군대를 이어받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고 시리아 지역의 아이유브 술탄 안나시르 유수프를 해치우고 시리아를 완전히 장악했다. 시리아를 완전히 장악한 키트부카는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에 항복 권고를 보냈으나 당시 맘루크 왕조의 술탄인 쿠투즈는 이를 거부하고 바이바르스와 연합하여 키트부카와 맞섰다. 마침내 몽골군과 맘루크 왕조 군은 아인잘루트에서 크게 격돌했는데 이 전투에서 몽골군은 전멸하였으며 총사령관인 키트부카도 전사하게 된다. (아인잘루트 전투, 1260) 아인잘루트 전투의 참패 이후 전황은 결정적으로 바뀌어 몽골군은 이스라엘을 내주고 티그리스강 이북으로 북상하였으며 아인잘루트 전투 승리의 주역인 바이바르스는 몽골에 이어 경쟁자인 쿠투즈도 제거하고는 맘루크 왕조의 유일한 권력자로 집권했다. 이후 일 한국과 맘루크 왕조의 국경선은 시리아의 티그리스 강으로 결정되었으며 약 80여 년 동안 그대로 유지되었다.

훌라구가 중동 행한 무슬림 학살이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독실한 무슬림이 된 킵차크 한국의 칸 베르케가 알게 되었고 베르케는 분노하여 훌라구가 아랍지역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하면서 선전포고를 선언, 베르케-훌라구 전쟁(Berke-Hulagu War)이라고 불리는 내전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베르케가 승리하였고 이후 훌라구 일족과 몽골인들을 해당 지역의 몽골인들을 학살하였고 이 사건은 몽골 제국의 멸망으로 이어졌다.

역대 칸

[편집]
대이란의 역사
페르시아의 제국 · 페르시아의 군주
전근대
이슬람 개종 이전
기원전
자얀데 강 문명 선사 시대
시알크 문명 7500~1000
원시 엘람 문명 3200~2800
지로프트 문명 (아랏타) 3000~?
엘람 제국 2800~550
박트리아 마르기아나 2200~1700
만나이 왕국 10~7세기
메디아 728~550
아케메네스 제국 550~330
셀레우코스 제국 330~150
그리스 박트리아 왕국 250~125
파르티아 제국 248~기원후 224
기원후
쿠샨 제국 30~275
사산 제국 224~651
에프탈 425~557
카불 샤히 왕조 565~670
이슬람 개종 이후
라시둔 칼리파국 637~661
우마이야 칼리파국 661~750
아바스 칼리파국 750~1258
사만 토후국 819~999
타히르 토후국 821~873
알라비 토후국 864~928
사파르 토후국 861~1003
제야르 왕국 928~1043
부와이 제국 934~1055
가즈나 술탄국 963~1187
셀주크 제국 1037~1194
화레즘 제국 1077~1231
샨사브 왕국 1149~1212
일 칸국 1256~1353
무자파르 왕국 1314~1393
카르트 왕국 1335~1381
추판 왕국 1337~1357
잘라이르 술탄국 1339~1432
티무르 제국 1370~1507
아크 코윤루 투르크멘 1378~1514
카라 코윤루 투르크멘 1374~1469
사파비 제국 1501~1722
또는 1736
무굴 제국 1526~1857
호타키 토후국 1722~1729
아프샤르 제국 1736~1802
 근대
아프가니스탄
두라니 제국 1747~1823
영국과 러시아 세력 1823~1919
독립과 내전 1919~1929
바라자이 통치기 1929~1973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1973~1978
공산 통치기 1978~1992
1992년 이후 아프가니스탄 1992~현재
아제르바이잔
독립한 칸국 1722~1828
러시아 통치기 1828~1917
민주 공화국 1918~1920
아제르바이잔 SSR 1920~1991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1991~현재
바레인
포르투갈 통치기 1521~1602
대(對)영국 협정 1820~1971
바레인 왕국 1971~현재
이란
잔드 왕국 1750~1794
이란 숭고국 1781~1925
이란 제국 1925~1979
이란 혁명 1979
과도 정부 1979
이란 이슬람 공화국 1979~현재
이라크
오스만 제국 1632~1919
하심 왕국 1920~1958
쿠데타와 공화국 1958~2003
이라크 공화국 2004~현재
타지키스탄
부하라 토후국 1785~1920
부하란 / 우즈베크 SSR 1920~1929
타지크 자치 SSR 1929
타지크 SSR 1929~1991
타지키스탄 공화국 1991~현재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토후국 1785~1920
우즈베크 SSR 1924~1991
독립 1991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1991~현재

v  d  e  h
  1. 훌라구(1256년 ~ 1265년)
  2. 아바카(1265년 ~ 1282년)
  3. 테쿠데르(1282년 ~ 1284년)
  4. 아르군 칸(1284년 ~ 1291년)
  5. 가이하투(1291년 ~ 1295년)
  6. 바이두(1295년)
  7. 가잔 (1295년 ~ 1304년)
  8. 울제이투(1304년 ~ 1316년)
  9. 아부 사이드(1316년 ~ 1335년)
  10. 아르파 케운(1335년 ~ 1336년)

일 칸국 멸망 이후 명목상 칸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설명주

[편집]
  1. 일 칸, 또는 일 칸족(페르시아어: ایلخانان, 로마자:Īlkhānān, 영어: Ilkhanids)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인용주

[편집]
  1. Turchin, Peter; Adams, Jonathan M.; Hall, Thomas D (December 2006). “East-West Orientation of Historical Empires”. 《Journal of World-Systems Research》 12 (2): 223. ISSN 1076-156X. 2016년 9월 13일에 확인함. 
  2. Rein Taagepera (September 1997). “Expansion and Contraction Patterns of Large Polities: Context for Russia”.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41 (3): 496. doi:10.1111/0020-8833.00053. JSTOR 2600793. 
  3. a b Rahiminejad, Sadegh: IRAN: Tarikh (2006). Languages of the Persian [Section]
  4. Fragner 2006, 78–79쪽.
  5. Vajda, Edward (2024).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Northern Asia》. De Gruyter. 79쪽. ISBN 9783110556216. 
  6. Fragner 2006, 78쪽.
  7. Badiee 1984, 97쪽.
  8. Vásáry 2016, 149쪽.
  9. Danilenko, Nadja (2020). 〈In Persian, Please! The Translations of al-Iṣṭakhrī’s Book of Routes and Realms〉. 《Picturing the Islamicate World: The Story of al-Iṣṭakhrī's Book of Routes and Realms》. Brill. 101쪽. Connecting to īrān as illustrated in the Shāhnāma, 'land of Iran' rose to the official name for the Ilkhanid realm. 
  10. Ashraf, Ahmad (2006). 〈Iranian Identity iii. Medieval Islamic Period〉. Yarshater, Ehsan. 《Encyclopædia Iranica, Volume XIII/5: Iran X. Religions in Iran–Iraq V. Safavid period》.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Kegan Paul. 507–522쪽. ISBN 978-0-933273-93-1. ... the Mongol and Timurid phase, during which the name 'Iran' was used for the dynastic realm and a pre-modern ethno-national history of Iranian dynasties was arranged. 
  11. Danilenko, Nadja (2020). 〈In Persian, Please! The Translations of al-Iṣṭakhrī's Book of Routes and Realms〉. 《Picturing the Islamicate World: The Story of al-Iṣṭakhrī's Book of Routes and Realms》. Brill. 94–95쪽. 
  12. Hodong Kim (2015). “Was 'da Yuan' a Chinese Dynasty?”. 《Journal of Song-Yuan Studies》 45: 292. 








ApplySandwichStrip

pFad - (p)hone/(F)rame/(a)nonymizer/(d)eclutterfier!      Saves Data!


--- a PPN by Garber Painting Akron. With Image Size Reduction included!

Fetched URL: http://ko.wikipedia.org/wiki/%EC%9D%BC_%EC%B9%B8%EA%B5%AD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