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산 신씨
나라 | 한국 |
---|---|
관향 | 황해북도 평산군 |
시조 | 신숭겸(申崇謙) |
주요 인물 | 신군평, 신개, 신호, 신영, 신잡, 신립, 신흠, 신경진, 신임, 신완, 신만, 신회, 신재식, 신응조, 신헌, 신익희 |
인구(2015년) | 563,375명 |
비고 | 평산신씨 대종중 |
평산 신씨(平山申氏)는 황해북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편집]시조 신숭겸(申崇謙)은 태봉의 장군으로 있다가 배현경(裵玄慶), 홍유(洪儒), 복지겸(卜智謙)과 함께 왕건(王建)을 황제로 추대하여 고려 개국일등공신이 되었다. 신숭겸의 본명은 능산(能山)이었으나, 태조(太祖)에게 평산에서 신씨 성을 사성(賜姓)받았다. 시호는 장절(壯節)이다.[1] 994년(성종 13) 태사(太師)로 추증되어 태묘(太廟)의 태조 사당에 배향되었다. 묘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방동리에 있다. 전라남도 곡성군 목사동면에 신숭겸의 탄생지인 용산재가 있다.
역사
[편집]평산 신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80명, 상신 8명, 대제학 5명을 배출하였다.[2]
문희공파(文僖公派) 파조 신개(申槩)가 세종조 좌의정에 오르고, 신개의 증손 신상(申鏛)이 판서를 지냈다. 신상의 손자 신잡(申磼)은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으로 평천부원군(平川府院君)에 책봉되었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신잡의 동생 신립(申砬)은 임진왜란 때 삼도순변사(三道巡邊使)로 활약하였다. 신립의 아들 신경진(申景禛)은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영의정에 오르고,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신경진의 증손인 신완(申琓)은 1703년(숙종 29년) 영의정에 오르고 평천군(平川君)에 봉해졌다.[2]
신개의 동생인 신효(申曉)를 파조로 하는 정언공파(正言公派)에서는 신효의 증손인 신영(申瑛)이 우참찬을 역임했고, 신영의 손자인 신흠(申欽)이 인조 때 영의정에 올랐으며, 신응조(申應朝)가 고종 때 좌의정을 역임하였다.[2]
신군평(申君平)의 손자인 신호(申浩)를 파조로 하는 사간공파(思簡公派)에서는 신호의 10대손 신임(申銋)이 참찬(參贊)을 역임했고, 12대손 신만(申晩)·신회(申晦) 형제가 영조 때 영의정에 올랐다. 신재식(申在植)은 1835년(헌종 1) 대제학에 올랐다.[2]
분파
[편집]2세 신보장(申甫藏)이 원윤, 3세 신홍상(申弘尙), 4세 신경(申勁), 5세 신성(申晟)은 태보(太保), 6세 신유비(申愈毗)는 승지, 7세 신명부(申命夫), 8세 신응시(申應時)는 전서(典書), 9세 신영재(申令材)는 도관(都官), 10세 신적은 병부낭중, 11세 신연(申衍)으로 이어오다가 12세손부터 갈라져 15세손에서 19파로 나뉜다. 인구는 문희공파(文僖公派)가 30%, 사간공파(思簡公派)가 30%를 차지한다.
- 12세 신중명(申仲明)
- 13세 신집(申諿)
- 14세 신익지
- 15세 신아 → 밀직공파(密直公派)
- 14세 신이
- 15세 신정도 → 봉상윤공파(奉常尹公派)
- 15세 신정리 → 장령공파(掌令公派)
- 14세 신안(申晏)
- 15세 신감 → 현령공파(縣令公派)
- 15세 신개(申槩) → 문희공파(文僖公派)
- 15세 신효(申曉) → 정언공파(正言公派)
- 14세 신익지
- 13세 신군평(申君平)
- 14세 신규(申珪)
- 15세 신하 → 한성윤공파(漢城尹公派)
- 14세 신혼(申琿)
- 15세 신호(申浩) → 사간공파(思簡公派)
- 15세 신연 →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15세 신기 → 온수감공파(溫水監公派)
- 14세 신수(申璲)
- 15세 신효창(申孝昌) → 제정공파(齊靖公派)
- 14세 신우(申瑀)
- 15세 신호 → 전서공파(典書公派)
- 14세 신순
- 15세 신인기(申仁錡) → 이상공파(貳相公派)
- 14세 신규(申珪)
- 13세 신현(申賢)
- 14세 신용희
- 15세 신득청 → 판사공파(判事公派)
- 14세 신용희
- 13세 신집(申諿)
- 12세 신자명(申自明)
- 13세 신중전(申仲佺)
- 14세 신윤공
- 15세 신유 → 진사공파(進士公派)
- 15세 신강 → 감찰공파(監察公派)
- 14세 신윤안
- 15세 신시현 → 판윤공파(判尹公派)
- 14세 신윤공
- 13세 신중해(申仲諧)
- 14세 신국
- 15세 신도지 → 참판공파(參判公派)
- 14세 신국
- 13세 신중전(申仲佺)
- 12세 신헌주(申憲周)
- 13세 신욱
- 14세 신현
- 15세 신우방 → 군수공파(郡守公派
- 14세 신현
- 13세 신욱
항렬자
[편집]- 대동항렬 (시조로 1세)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61세 |
---|---|---|---|---|---|---|---|---|---|---|---|---|---|---|---|---|---|---|---|---|---|---|---|---|---|---|---|---|---|---|---|
재(在) 口석(錫) 口종(鍾) 口경(景) |
口희(熙) 口상(相) 口수(秀) 태(泰) |
口균(均) 口규(圭) 口노(老) 口곤(坤) |
현(鉉) 언(彦) 윤(允) 종(鍾) |
口철(澈) 口식(湜) 口순(淳) 口영(泳) |
동(東) 상(相) 영(榮) 주(柱) |
口섭(燮) 口용(容) 口항(恒) 口환(煥) |
재(載) 숙(璹) 기(基) 배(配) |
口호(鎬) 口진(鎭) 口일(鎰) 口연(鍊) |
제(濟) 준(濬) 원(源) 홍(洪) |
口근(根) 口화(和) 口병(秉) 口집(集) |
성(性) 충(忠) 찬(燦) 덕(德) |
口용(用) 口익(翼) 口중(重) 口식(軾) |
원(元) 완(完) 극(棘) 욱(旭) |
口필(弼) 口우(雨) 口남(南) 口설(卨) |
단(段) 승(承) 제(劑) 영(寧) |
口무(武) 口빈(斌) 口성(成) 口무(戊) |
홍(弘) 세(世) 경(卿) 기(起) |
口염(廉) 口용(庸) 口경(慶) 口강(康) |
재(宰) 화(華) 상(常) 행(幸) |
口정(廷) 口승(升) 口연(延) 口성(聖) |
규(揆) 등(登) 계(癸) 봉(奉) |
口기(圻) 口경(坰) 口은(殷) 口철(哲) |
선(銑) 은(銀) 흠(欽) 금(錦) |
口태(泰) 口진(溍) 口준(浚) 口수(洙) |
계(桂) 순(栒) 병(柄) 송(松) |
口엽(燁) 口희(熙) 口렬(烈) 口형(炯) |
정(禎) 조(祚) 상(祥) 우(祐) |
口서(瑞) 口민(珉) 口규(珪) 口선(璿) |
연(淵) 해(海) 옥(沃) 호(浩) |
口모(模) 口락(樂) 口걸(杰) 口초(楚) |
이(怡) 은(恩) 현(炫) 병(炳) |
각주
[편집]- ↑ 『고려사』 권92, 열전5
- ↑ 가 나 다 라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61〉 신(申·辛·愼)씨, 평산 신씨”. 세계일보. 2013년 1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