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불교)
불교 |
---|
불교 용어인 연(緣, 산스크리트어: pratyaya, 팔리어: paccaya)은 다음을 뜻한다.
- 원인 또는 인연, 즉 모든 직접적 · 간접적 원인
- 4연(四緣)으로 분류된다.
- 간접적 원인
- 유루 즉 번뇌
- 연(緣)의 행상(行相): 유루 즉 번뇌가 괴로움의 간접적 원인이라고 관찰하는 수행
원인·인연
[편집]연(緣, 산스크리트어: pratyaya, kāraṇa, 팔리어: paccaya, 영어: cause, reason)은 결과가 생겨나게 하는데 있어 거기에 참여하는 모든 직접적 · 간접적 원인을 뜻한다. 이 경우의 연(緣)은 모든 직접적 · 간접적 원인을 통칭하는 낱말인 인연(因緣, 산스크리트어: hetu-pratyaya 또는 nidāna)과 동의어이다.[1][2][3][4]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모든 직접적 · 간접적 원인으로서의 연(緣)은 인연(因緣) · 소연연(所緣緣) · 증상연(增上緣) · 등무간연(等無間緣)의 4연(四緣)으로 나뉘며, 4연 가운데 인연은 직접적 원인, 나머지 3연은 간접적 원인이라 할 수 있다.[1][2]
간접적 원인
[편집]연(緣, 산스크리트어: pratyaya, 팔리어: paccaya)은 결과가 생겨나게 하는데 참여한 모든 원인들 중에서 간접적인 원인을 뜻한다. 이에 대해 인(因, 산스크리트어: hetu)은 결과가 생겨나게 하는데 있어 참여한 모든 원인들 중에서 직접적인 원인을 뜻한다.[1][2]
이와 관련하여, 불교의 인과설 중 하나인 인연(因緣) · 소연연(所緣緣) · 증상연(增上緣) · 등무간연(等無間緣)의 4연(四緣)에서, 인연은 인(因) 즉 직접적인 원인에 해당하고 소연연 · 증상연 · 등무간연은 연(緣) 즉 간접적인 원인에 해당한다.[1][2]
유루·번뇌
[편집]연(緣, 산스크리트어: pratyaya, 팔리어: paccaya)은 괴로움이라는 결과[苦果]를 이루게 하는 간접적인 원인을 뜻하는데, 유루(有漏) 즉 번뇌를 가리키는 말이다.[5][6]
연의 행상
[편집]연(緣, 산스크리트어: pratyaya, 팔리어: paccaya)은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로 4성제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觀法) 또는 관행(觀行)을 통칭하는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을 이루는 한 요소로서의 연을 가리킨다.[7]
구체적으로는, 4성제 중 집제에 대한 4가지 관찰[觀法 또는 觀行]인 인(因) · 집(集) · 생(生) · 연(緣) 가운데 연을 말한다.[7]
이것은 '유루 즉 번뇌라는 원인에 대하여, 마치 햇빛 · 공기 · 수분 · 온도 등의 간접적 원인[緣]이 나무의 직접적 원인[因]인 씨앗 즉 종자를 도와 나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처럼[能令成辦], 유루 즉 번뇌는 괴로움이라는 결과[苦果]를 이루게 하는 간접적인 원인[緣]이라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러한 수행[行相] 또는 수행[行, 즉 十六行]의 한 측면[相]를 연(緣)이라고 한다.[5][6][8]
참고 문헌
[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49(25-149), T.1542(26-692).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대정신수대장경. T26, No. 154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星雲, "緣". 2013년 2월 7일에 확인
"緣: 梵語 pratyaya,巴利語 paccaya。(一)狹義而言,乃指引起結果之直接原因(內因)外之間接原因(外緣)。廣義而言,係合因、緣兩者之稱。可分為四類:(一)因緣,「因」亦為「緣」之意,指產生果報之直接內在原因,即狹義之因,亦相當於能作因(六因之一)外之其他五因。(二)等無間緣,指心、心所之相續中,由前一剎那引導後一剎那生起之原因。(三)所緣緣(緣緣),所緣指外境,心緣外境時,必藉外境以為助緣。依唯識宗之說,又可分為疏、親二種。(四)增上緣。泛指不對某一法產生障礙之一切法。與六因中之「能作因」相同。依淨土宗說,阿彌陀佛四十八願即為凡夫往生淨土之增上緣。〔大乘入楞伽經卷二、俱舍論卷七、大乘義章卷三、成唯識論述記卷二末〕(參閱「四緣」1832)
(二)作動詞用,攀緣、緣慮之義。謂人之心識攀緣於一切境界而膠著不捨。如眼識攀緣色境而見,乃至身識攀緣觸境而覺,故心識稱為「能緣」,其境界稱為「所緣」。〔大毘婆沙論卷十六、成唯識論卷一〕"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1291DTITLEBDt 緣]". 2013년 2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가 나 다 라 운허, "緣(연)". 2013년 2월 7일에 확인
"緣(연): [1] 【범】 pratyaya 순익자생(順益資生)의 뜻. 물건이 생길 때에 친한 원인이 되는 것과, 힘을 주어 인으로 하여금 과를 낳게 하는 것. 결과를 내는 데 장애가 되지 않는 힘. 만일 인과 연을 나누어 말하면 친한 원인인 것을 인, 멀리 도와주는 것을 연이라 함. 4연(緣)으로 말하면 인연은 인즉연(因卽緣)으로 전 것에 속하고 소연연(所緣緣)ㆍ증상연(增上緣)ㆍ등무간연(等無間緣)을 연이라 함. [2] 연려(緣慮)의 뜻. 심식(心識)이 객관대상(客觀對象)을 생각해 아는 것. [3] 연유(緣由)의 뜻. 유연중생(有緣衆生)ㆍ소연연(所緣緣) 등의 뜻."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B7A3rowno99 緣(연)]". 2013년 2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佛門網, "kāraṇa". 2013년 2월 21일에 확인
"kāraṇa:
出處: Pali-English Dictionary, TW Rhys Davids, William Stede,
解釋: Kāraṇa (nt.) [in meaning 1 represented in later Sk. by kāraṇā f., in meaning 2=Sk. kāraṇa nt., equivalent to prakṛti, natural form, constituent, reason, cause]. 1. -- (a) a deed, action, performance, esp. an act imposed or inflicted upon somebody by a higher authority (by the king as representative of justice or by kamma: M iii.181; see kamma 11 3.A b.) as an ordeal, a feat or punishment: a labour or task in the sense of the 12 labours of Heracles or the labours of Hades. kāraṇaŋ kārāpeti "he makes somebody perform the task." Pass, kāraṇaŋ or kāraṇā karīyati. Thus as a set of five tasks or purgatory obligations under the name of pañcavidha -- bandhana "the group of five" (not, as Warren trsl. p. 257 "inflict on him the torture called the fivefold pinion"), a means of punishment in Niraya (q. v. under pañca). Not primarily torture (Rh. Davids, Miln trsl. i.254, and others with wrong derivation from kṛṇtati). At DhA iii.70 these punishments are comprehended under the term dasa -- dukkhakāraṇāni (the ten punishments in misery); the meaning "punishment" also at J iv.87 (tantarajjukaŋ k˚ŋ katvā), whereas at J vi.416 k. is directly paraphrased by "maraṇa," as much as "killing." Often spelt karaṇa, q. v.; the spelling kāraṇā (as f.) at Miln 185 seems to be a later spelling for kāraṇaŋ. See karaṇa for further reference. -- Kiŋ kāraṇaŋ ajja kāressati "what task will he impose on me to -- day?" A v.324; as pañcavidhabandhana K˚ A i.141, PvA 251, Nd2 304iii. -- As adj. ˚kāraṇa in dāruṇa˚ "being obliged to go through the dreadful trial" PvA 221. -- (b) duty obligation, in kāraṇ' âkāraṇā (pl.) duties great and small DhA i.385. Cp. also kāraṇaŋ karoti to try M i.444. -- (c) a trick (i. e. a duty imposed by a higher authority through training) J ii.325 (ānañja˚); Miln 201 (ākāsa -- gamana˚). 2. -- (a) acting, action as (material) cause: k˚ -- bhūta being the cause of . . . PvA 15; -- (b) (intellectual) cause, reason Miln 150; DhA i.389; esp. as -- ˚: arodana˚ the reason for not crying PvA 63; asocana˚ same, ibid. 62; āgamana˚ the reason for coming (here) ibid. 81, 106. =pariyatti, DhA. 36.=attha, SA on i.215, SnA. i.238 -- instr. kāraṇena by necessity, needs PvA 195; tena k˚ therefore ibid. 40 -- abl. kāranā by means of, through, by (=hetu or nissāya) PvA 27; imasmā k˚ therefore PvA 40; kāraṇaṭṭhā (expl. as attha -- kāraṇā Nd2) for the purpose of some object or advantage Sn 75; opp. nikkāraṇā from unselfishness ibid. -- sakāraṇa (adj.) with good reason (of vacana) PvA 109.
出處: Jeffrey Hopkins' Tibetan-Sanskrit-English Dictionary
解釋: gtan tshigs [translation-san] {LCh,MSA,MV} hetu [translation-san] {MSA} kāraṇa [translation-san] kāraṇam [translation-eng] {Hopkins} reason [division-bod] dbye ba 1 phoygs chos/ 2 rjes 'gor/ 3 lodog pa / [division-eng] Divisions: (1) property of the position (paksadharmata); (2) positive concomitance (anvaya); (3) negative concomitance (vyatireka) {GD:275} example
[bod] ma nges pa'i gtan tshigs
[eng] undeterminative reason {GD:103}
出處: Sarvastivada Abhidharma, Sanskrit-English Glossary, by Bhikkhu KL Dhammajoti
解釋: kāraṇa: Cause, reason, instrument." - ↑ 가 나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4a04 - T26n1542_p0694a06. 집지(集智)
"集智云何。謂於有漏因思惟因集生緣。所起無漏智。" - ↑ 가 나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10 / 448. 집지(集智)
"집지(集智)란 무엇인가? ‘유루(有漏)의 원인에 대하여 괴로움의 결과를 내는 원인[因]이며 발생하여 나타나게[集] 하며 상속하여 나게[生] 하며 이루게 하는 연(緣)이다’라고 사유하여 일으킨 무루의 지혜이다." - ↑ 가 나 운허, "十六行相(십륙행상)". 2013년 1월 6일에 확인
"十六行相(십륙행상): 4제(諦)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觀法). (1) 고제(苦諦)의 4행상. 만유의 현상은 생멸 변화하는 것이며, 고(苦)ㆍ공(空)ㆍ무상(無常)ㆍ무아(無我)라 관함. (2) 집제(集諦)의 4행상. 온갖 번뇌와 업(業)은 고과(苦果)를 내는 인(因)이며, 고과를 모아(集) 나타나게 하며, 상속하여 나게(生) 하며, 고과를 이루게 하는 연(緣)이라 관함. (3) 멸제(滅諦)의 4행상. 멸제는 물(物)ㆍ심(心)의 속박이 없는 진리며(滅), 번뇌의 시끄러움이 없으며(靜), 3계를 벗어나 온갖 근심이 없으며(妙), 온갖 재액(災厄)을 여의었다고(離) 관함. (4) 도제(道諦)의 4행상, 도제는 진리에 들어가는 길이며(道), 올바른 이치에 계합하며(如), 열반 적정한 경지에 가게 하며(行), 생사계를 뛰어나게 하는(出) 것이라고 관함."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9689EC8381rowno2 十六行相(십륙행상)]". 2013년 1월 6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星雲, "十六行相". 2013년 2월 2일에 확인
"十六行相: 梵語 sodaśākārāh。又作十六行、十六行觀、十六行相觀、十六聖行、十六諦、四諦十六行相。行相,相狀之意。觀四諦時,各有四種差別,於其時所產生之行相共有十六種。據俱舍論卷二十六所載,苦聖諦有四相(苦諦四相):(一)非常(梵 anitya),待緣而成故。(二)苦(梵 duhkha),逼迫性故。(三)空(梵 śūnya),違我所見故。(四)非我(梵 anātman),違我見故。集聖諦亦有四相(集諦四相):(一)因(梵 hetu),其理如種子。(二)集(梵 samudaya),同於顯現之理。(三)生(梵 prabhava),能令續起。(四)緣(梵 pratyaya),能令成辦;譬如泥團、輪、繩與水等眾緣,和合而成一瓶。滅聖諦亦有四相(滅諦四相):(一)滅(梵 nirodha),諸蘊盡故。(二)靜(梵 śānta),三火息故。(三)妙(梵 pranīta),眾患無故。(四)離(梵 nihsarana),脫眾災故。道聖諦亦有四相(道諦四相):(一)道(梵 mārga),通行義故。(二)如(梵 nyāya),契正理故。(三)行(梵 pratipad),正趣向故。(四)出(梵 nairyānika),能永超故。十六行相名雖十六,實事唯七。謂緣苦諦者,名實俱四;緣餘三諦者,名四實一。說十六行相之目的,為治常、樂、我所、我見等見,故修非常、苦、空、非我等行相;為治無因、一因、變因、知先因等見,故修因、集、生、緣等行相;為治解脫是無之見,故修滅行相;為治解脫是苦之見,故修靜行相;為治靜慮及等至之樂為妙之見,故修妙行相;為治解脫是數數退墮而非永恆之見,故修離行相;為治無道、邪道、餘道、退道之見,故修道、如、行、出等行相。〔坐禪三昧經卷下、正法念處經卷三十四、大毘婆沙論卷七十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