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옛 보신각 동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신각종에서 넘어옴)

옛 보신각 동종
(舊普信閣 銅鍾)
(Old Bronze Bell of Bosingak Pavilio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구)제2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수량1구
시대조선시대
소유국유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옛 보신각 동종(舊普信閣 銅鍾, 영어: Bosin-gak)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종으로, 1985년까지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의 종을 칠 때 사용되었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편집]

1985년까지 섣달그믐 자정에 종을 울리는 행사를 하였으나 종의 보호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오늘날 새해맞이 타종을 위해 보신각에 걸어둔 종은 성덕대왕신종의 복제품으로, 보신각 동종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기면서 새로 만든 것이다.[1]

겉모습

[편집]

높이 3.18미터, 지름 2.28미터, 무게는 19.66톤이며, 양식은 쌍두(雙頭) 용뉴(龍紐)로 되어 있고, 종신복(鍾身腹)에는 3조의 굵은 띠를 돌리고 있다. 또한 종구(鍾口)에는 위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조의 띠를 돌리고 있어 이것이 하대(下帶) 역할을 하는 문양대로 되어 있다.[2]

역사

[편집]

보신각 동종은 1468년(세조 14년)에 주조되어 정릉사[3]에 걸려 있었다. 이후 원각사로 옮겨졌으나 임진왜란으로 절이 불타 종루로 옮겨졌다. 고종 때 종루에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걸게 되어 보신각종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4]

문화

[편집]

조선시대에는 서울의 성문을 열고 닫는 시각을 알리는 기능을 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새해를 맞이하여 보신각종을 타종하는 행사를 갖는다. 1985년부터는 새로 만든 종으로 타종하고 있다.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세계일보 관련기사
  2. 문화재청[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인 신덕왕후정릉 안에 있던 절이다.
  4. 문화재청 관련정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

[편집]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