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렐 집합
측도론에서 보렐 집합(Borel集合, 영어: Borel set)은 열린집합들로부터 가산 합집합 · 가산 교집합 · 차집합 연산을 가산 번 반복하여 만들 수 있는 집합이다.[1]
정의
[편집]위상 공간 의 보렐 시그마 대수(Borelσ代數, 영어: Borel sigma-algebra) 또는 는 열린집합들의 집합 를 포함하는 최소의 시그마 대수이다.[2]:68, §11.A[1]:83, §3.1 (후자의 기호는 사영 위계의 표기법에서 유래한다.) 의 보렐 집합은 그 보렐 시그마 대수의 원소이다. 즉, 열린집합으로부터 가산 번의 가산 합집합·가산 교집합·차집합 연산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는 집합이다.
보렐 측도(Borel測度, 영어: Borel measure)는 보렐 시그마 대수에 대하여 정의되는 측도이다. 위상 공간 의 보렐 가측 공간(영어: Borel measurable space)은 보렐 시그마 대수를 갖춘 가측 공간이다.
보렐 위계
[편집]만약 가 거리화 가능 공간일 경우, 보렐 시그마 대수 는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보렐 위계(Borel位階, 영어: Borel hierarchy)를 정의하자.[2]:68, §II.B
- (모든 열린집합들의 집합)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즉,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존재한다.[2]:69, §11.B
여기서 는 를 의미한다.
보렐 위계의 일부 단계의 원소들은 다음과 같은 특별한 이름을 갖는다.
보렐 위계의 단계 | 이름 |
---|---|
열린닫힌집합들의 집합 | |
열린집합들의 집합 | |
닫힌집합들의 집합 | |
Fσ 집합(Fσ集合, 영어: Fσ set)들의 집합[1]:44, §2.1[2]:1, §1.A | |
Gδ 집합(Gδ集合, 영어: Gδ set)들의 집합[1]:44, §2.1[2]:1, §1.A |
성질
[편집]연산에 대한 닫힘
[편집]두 위상 공간 사이의 연속 함수 는 (보렐 시그마 대수에 대하여) 가측 함수이다. 즉, 보렐 집합 의 원상 은 보렐 집합이다. (반면, 만약 일 경우, 르베그 가측 집합의 연속 함수에 대한 원상은 일반적으로 르베그 가측 집합이 아니다.) 보렐 집합의 연속 함수에 대한 상은 보렐 집합이 아닐 수 있다. 만약 와 가 폴란드 공간이라면, 보렐 집합의 상은 해석적 집합이다.
다음이 성립한다.[1]:116
집합족 | 유한 교집합에 대해 닫힘 | 가산 교집합에 대해 닫힘 | 유한 합집합에 대해 닫힘 | 가산 합집합에 대해 닫힘 | 여집합에 대해 닫힘 | 연속 함수에 대한 상 | 보렐 가측 함수에 대한 원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렐 집합의 수
[편집]폴란드 공간 의 보렐 집합의 수는 다음과 같다.
증명:
반면, 실수의 르베그 가측 집합의 수는
이다. 이는 크기가 이며 측도가 0인 보렐 집합(예를 들어, 칸토어 집합)이 존재하며, 측도가 0인 보렐 집합의 모든 부분 집합은 르베그 가측 집합이기 때문이다.
분리 정리
[편집]루진-노비코프 분리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폴란드 공간 속의 가산 개의 해석적 집합들의 집합족 ,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자 인 보렐 집합들의 집합족 이 존재한다.[2]:219, Theorem 28.5[1]:155, Theorem 4.6.1
베르 범주와의 관계
[편집]임의의 위상 공간 의 임의의 제1 범주 집합 에 대하여, 인 제1 범주 집합 이 존재한다.
증명:
정의에 따라, 은 가산 개의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 들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의 폐포는 (자명하게)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이므로,
로 놓으면 자명하게 이다.
준열린집합들의 집합족 은 열린집합과 제1 범주 집합을 포함하는 최소의 시그마 대수이므로,[2]:47, Proposition 8.32 모든 보렐 집합은 준열린집합이다.[2]:71, Proposition 11.5
예
[편집]수학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집합은 보렐 집합이다. 예를 들어, 실수 집합 속의 다음과 같은 부분 집합들의 보렐 위계에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Fσ 집합이 아닌 열린집합
[편집]거리화 가능 공간의 모든 열린집합은 Fσ 집합이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위상 공간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최소 비가산 순서수 은 순서 위상을 부여하면 위상 공간을 이룬다. 가 의 고립점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열린집합이며 비가산 집합이다. 반면 은 가산 콤팩트 공간이므로, 닫힌집합은 유한 집합과 동치이며, 따라서 는 Fσ 집합이 아니다.[3]
보렐 집합이 아닌 집합
[편집]실수선 에서 존재하는, 보렐 집합이 아닌 집합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반면, 르베그 가측 집합이 아닌 집합의 존재는 선택 공리를 필요로 하므로, 구체적인 예를 들 수 없다.)
집합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무리수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 의 연분수 표현
- 의 계수 가운데, 인 부분 수열 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는 보렐 집합이 아닌 해석적 집합이다.
역사
[편집]보렐 집합의 개념은 에밀 보렐이 1905년에 도입하였다.[4][1]:xi[5]:153, §11
"Fσ 집합"이라는 용어에서, F는 프랑스어: fermé 페르메[*](닫힌집합)의 머리글자이며, σ는 프랑스어: somme 솜[*](합집합)의 머리글자에 해당하는 그리스 문자이다.[6]:23, §1.3 마찬가지로, "Gδ 집합"이라는 용어에서, G는 독일어: Gebiet 게비트[*](근방)의 머리글자이며, δ는 독일어: Durschnitt 두르슈니트[*](교집합)의 머리글자에 해당하는 그리스 문자이다.[6]:23, §1.3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Srivastava, Shashi Mohan (1991). 《A course on Borel set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80.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42-85473-6. ISBN 978-3-642-85475-0. MR 1619545. Zbl 0903.28001.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Kechris, Alexander Sotirios (1995). 《Classical descriptive set theo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56.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4190-4. ISBN 978-1-4612-8692-9. ISSN 0072-5285. MR 1321597. Zbl 0819.04002.
- ↑ “Why is each open set an Fσ?”. 《Mathematics Stack Exchange》 (영어). 2019년 1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Borel, Émile (1905). 《Leçons sur les fonctions de variables réelles et les développements en séries de polynomes, professées a l’École normale supérieure》. Collection de monographies sur la théorie des fonctions, publiée sur la direction de M. Émile Borel (프랑스어). 파리: Gauthier-Villars, Imprimeur-Libraire. JFM 36.0435.01.
- ↑ Jech, Thomas (2003). 《Set theory》.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3판. Springer-Verlag. doi:10.1007/3-540-44761-X. ISBN 978-3-540-44085-7. ISSN 1439-7382. Zbl 1007.03002. IA settheory0000jech_f7i4.
- ↑ 가 나 Stein, Elias M.; Shakarchi, Rami (2005). 《Real analysis: measure theory, integration, and Hilbert spaces》. Princeton Lectures in Analysis (영어) 3.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1386-9. Zbl 1081.28001.
외부 링크
[편집]- “Borel set”.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Borel field of set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Borel set, criterion for a”.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Borel functio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Borel measur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Suslin theorem”.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Separability of set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Luzin separability principle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Borel set”.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Borel sigma-algebra”.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Borel measure”.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Borel hierarchy”.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F_sigma set”.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G_delta set”.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Borel subset”. 《nLab》 (영어).
- “G-delta subspace”. 《nLab》 (영어).
- “Definition: Borel sigma-algebra”.
- “Definition: F-sigma set”.
- “Definition: G-delta set”.
- “Is every sigma-algebra the Borel algebra of a topology?”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