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리키 크냐지
보이기
서양식 등작 |
---|
임페라토르 /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바실레프스 / 아프토크라토르 / 카이저 / 차르 |
렉스 / 바실레우스 / 코눙그 / 차르 |
그랜드 듀크 / 그랜드 프린스 / 아치듀크 벨리키 크냐지 |
듀크 / 프린스 / 헤어초크 / 크냐지 터워소그 / 데스포티스 / 쿠르퓌르스트 |
마르키 / 퓌르스트 / 마르크그라프 란트그라프 / 팔츠그라프 / 보이보드 |
카운트 / 그라프 / 얼 / 야를 / 에알도르만 |
바이카운트 / 부르크그라프 / 카스텔란 |
바롱 / 프라이헤어 / 리코스 옴브레스 / 보야르 |
바로넷 / 헤레디터리 나이트 |
에퀴테스 / 나이트 / 데임 / 슈발리에 / 리터 에델프레이 / 야를 / 드루지나 |
|
벨리키 크냐지(러시아어: Великий князь 벨리키 크냐지[*], 리투아니아어: Didysis kunigaikštis 디디시스 쿠닌가이크슈티스, 헝가리어: Nagyfejedelem, 핀란드어: Suuriruhtinas 수리루흐티나스[*], 라틴어: magnus princeps 마그누스 프린켑스[*], 영어: grand prince 그랜드 프린스[*])는 동유럽의 군주 작위이다. 영어나 로망스어군을 사용하는 서유럽에서는 대공(grand duke)을 이에 대응하는 번역어로 사용하는데, 이들 서유럽 언어에서는 독립 소군주국의 군주(e.g. 모나코의 알베르 2세)와 군주의 남성 일가붙이(e.g. 영국의 케임브리지 공작 윌리엄, 즉 "왕자")와 구분하지 않기에 혼동의 여지가 있다.
동유럽 "대공"인 벨리키 크냐지를 군주 칭호로 사용한 군주국으로는 키예프 대공국, 모스크바 대공국, 핀란드 대공국, 트란실바니아 대공국, 헝가리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이 있다. 이들 대공국 중 가장 강대했던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4세가 차르를 칭하면서 벨리키 크나즈는 차르보다 격이 낮은 작위로 간주되게 되었다.
이 글은 군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