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파
타이어파(영어: Tai languages) 또는 좡타이어파(영어: Zhuang-Tai languages)[2](태국어: ภาษาไท 파사타이 또는 태국어: ภาษาไต 파사따이)는 크라다이어족의 한 어파이다. 타이어파에는 크라다이어족 가운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들, 즉 태국의 국어인 표준 타이어 또는 시암어, 라오스의 국어인 라오어 또는 라오스어, 미얀마의 샨어, 중국 남부 광시의 주요 언어인 표준 좡어가 속한다.
타이어파 좡타이어파 | |
---|---|
지리적 분포 | 중국 남부(특히 광시, 구이저우, 윈난, 광둥), 동남아시아 |
계통적 분류 | 크라다이어족 베타이어파 ? 타이어파 |
하위 분류 | |
글로톨로그 | daic1237[1] |
타이어파의 분포 북타이어군 / 북부 좡어군
중앙타이어군 / 남부 좡어군
남서타이어군 / 타이어군 |
명칭
편집'따이(Tai/Tay)' 및 그 동근어('타이(Thai/Thay)', '다이(Dai)' 등)는 많은 따이어파 언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민족명이다. 중앙따이어군 언어들을 중국에서는 '좡어'라고 부르고, 베트남에서는 '눙어'라고 부른다.
역사
편집좡족과 타이인이 베트남인에 대해 같은 명칭 *kɛɛuA1[3]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의 제럴드 에드먼슨은 좡어(중앙따이어군 언어)와 남서따이어군 언어들이 기원전 112년 교지군이 설립된 때부터 기원후 5~6세기 사이에 갈라졌다고 주장한다.[4] 남서따이조어에서 중국어 차용어의 층위와 여타 역사적인 증거에 기반해, 피타야왓 피타야폰은 2014년 남서따이어군이 8~10세기 사이에 분화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5]
분류
편집Haudricourt (1956)
편집앙드레조르주 오드리쿠르[6]는 디오이(좡)어군의 특이성을 강조하며 따이어파를 다음과 같이 두 어군으로 나눈다. Haudricourt (1956) 원문에 쓰인 언어명 뒤에 현재 널리 쓰이는 민족명을 병기했다.
따이어파 |
| ||||||
오드리쿠르가 꼽은 디오이어군의 특징으로는, 첫째, 따이어군의 설측음 l-이 r-로 대응하고, 둘째, 모음 체계가 특징적인데, 예컨대 '꼬리'는 따이어군에서 /a/ 모음이 들어가지만 보아이어에서는 /ə̄/, 톈저우어에서는 /iə/, 톈저우어와 우밍어에서는 /ɯə/이고, 셋째, 따이어군에는 있는 유기 파열음 및 파찰음 계열이 없다는 점 등이 있다.
오드리쿠르의 분류는 리팡구이의 분류에서 남따이어군과 중앙따이어군을 하나로 묶고 남서따이어군과 자매 분기군으로 둔 것과 같다. 오드리쿠르가 열거하는 '따이어군' 언어들 중 마지막 세 개인 토어 (따이어), 룽저우 좡어, 눙어는 리팡구이가 '중앙따이어군'으로 분류한 언어들이다.
따이어파 |
| ||||||||||||
Li (1977)
편집리팡구이는 따이어파를 북따이어군, 중앙따이어군, 남서따이어군으로 나눈다. 그러나 중앙따이어군은 유효한 분기군으로 보이지 않는다. Li (1977)에서는 따이어군을 세 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이 분류 체계는 따이어파 비교언어학 분야에서 표준적인 분류로 오랫동안 인정받아 왔다.
따이어파 |
| |||||||||
Gedney (1989)
편집Gedney (1989)에서는 중앙따이어군과 남서따이어군을 하나로 묶고 북따이어군과 자매 분기군으로 설정한다. 이 분류는 Haudricourt (1956)와 일치한다.
따이어파 |
| ||||||||||||
Luo (1997)
편집뤄 융셴은 1997년[7] 따이어파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북서따이어군이라는 네 번째 분기군에 아홈어, 샨어, 데홍다이어, 캄띠어를 분류한다. 모든 어군은 위계상 서로 동등하다고 본다.
따이어파 |
| ||||||||||||
Pittayaporn (2009)
편집개관
편집피타야왓 피타야폰은 2009년 따이어파 언어들을 공통된 혁신 사항에 따라 분류했다(Pittayaporn 2009:298). 피타야폰의 사전 분류 체계에서는 중앙따이어군이 측계통군이라고 보고, 여러 분기군으로 쪼갰고, 광시 남서부 (특히 베트남 국경지대의 쭤강 계곡) 충쭤의 좡어군 언어들이 가장 큰 다양성을 보인다. 남서따이어군과 북따이어군은 리팡구이의 1977년 분류 체계 그대로이고, ISO 코드가 할당된 남부 좡어군의 여러 언어는 측계통군이라고 본다. 분류는 다음과 같다.[8]
따이어파 |
| ||||||||||||||||||||||||||||||||||||||||||||||||||||||
표준 좡어는 우밍구 솽차오(双桥) 방언을 기준으로 삼는다.
음운 변동
편집다음과 같은 음운 변동이 Q(남서따이), N(북따이), B(닝밍), C(충쭤) 어군에서 일어났다(Pittayaporn 2009:300–301).
따이조어 | Q어군[9] | N어군[10] | B어군 | C어군 |
---|---|---|---|---|
*ɤj, *ɤw, *ɤɰ | *aj, *aw, *aɰ | *i:, *u:, *ɯ: | *i:, *u:, *ɯ: | – |
*ɯj, *ɯw | *iː, *uː[11] | *aj, *aw[12] | *iː, *uː | – |
*we, *wo | *eː, *oː | *iː, *uː | *eː, *oː[13] | *eː, *oː[14] |
*ɟm̩.r- | *br- | *ɟr- | – | *ɟr- |
*k.t- | – | *tr- | – | *tr- |
*ɤn, *ɤt, *ɤc | – | *an, *at, *ac[15] | – | – |
이에 더해, Q어군에서 갈라진 여러 어군들에서는 다음과 같은 음운 변동이 일어났다.
- E: *p.t- > *p.r-; *ɯm > *ɤm
- G: *k.r- > *qr-
- K: *eː, *oː > *ɛː, *ɔː
- O: *ɤn > *on
- Q: *kr- > *ʰr-
Edmondson (2013)
편집아래는 제럴드 에드먼슨이 2013년[16] 수행한 따이어군 언어들의 컴퓨터 계통 분석 결과이다. 따이어와 눙어는 모두 중앙따이어군 아래의 어군이 확실해 보인다. 북따이어군과 남서따이어군도 확실해 보인다.
따이어파 |
| |||||||||||||||||||||
재구
편집따이조어는 1977년에 리팡구이가, 2009년에 피타야왓 피타야폰이 재구한 바 있다.[17]
남서따이조어도 1977년에 리팡구이가, 1991년에 난나 존슨이 재구한 바 있다.[18]
인칭 | 수 | 따이조어 | 타이 문자 |
1인칭 | 단수 | *ku | กู |
쌍수 (청자 제외) | *pʰɯa | เผือ | |
복수 (청자 제외) | *tu | ตู | |
1+2인칭 | 쌍수 (청자 포함) | *ra | รา |
복수 (청자 포함) | *rau | เรา | |
2인칭 | 단수 | *mɯŋ | มึง |
쌍수 | *kʰɯa | เขือ | |
복수 | *su | สู | |
3인칭 | 단수 | *man | มัน |
쌍수 | *kʰa | ขา | |
복수 | *kʰau | เขา |
비교
편집아래는 따이어파 언어들을 비교한 표이다.
한국어 | 남서따이조어[19] | 태국어 | 라오어 | 북부 타이어 | 샨어 | 따이르어 | 표준 좡어 |
---|---|---|---|---|---|---|---|
'바람' | *lom | /lōm/ | /lóm/ | /lōm/ | /lóm/ | /lôm/ | /ɣum˧˩/ |
'도시' | *mɯaŋ | /mɯ̄aŋ/ | /mɯ́aŋ/ | /mɯ̄aŋ/ | /mɤ́ŋ/ | /mɤ̂ŋ/ | /mɯŋ˧/ |
'땅' | *ʔdin | /dīn/ | /dìn/ | /dīn/ | /lǐn/ | /dín/ | /dei˧/ |
'불' | *vai/aɯ | /fāj/ | /fáj/ | /fāj/ | /pʰáj/ or /fáj/ | /fâj/ | /fei˧˩/ |
'심장' | *čai/aɯ | /hǔa tɕāj/ | /hǔa tɕàj/ | /hǔa tɕǎj/ | /hǒ tsǎɰ/ | /hó tɕáj/ | /sim/ |
'사랑하다' | *rak | /rák/ | /hāk/ | /hák/ | /hâk/ | /hak/ | /gyai˧˩/ |
'물' | *naam | /náːm/ | /nâm/ | /nám/ | /nâm/ | /nà̄m/ | /ɣaem˦˨/ |
문자
편집많은 남서따이어군 언어들은 브라흐미계 문자로 표기한다. 좡어는 전통적으로 방괴장자라는 한자계 문자로 표기해 왔고, 현재는 공식적으로 로마자를 쓰지만 전통 문자 체계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Daic〉.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Diller, 2008. The Tai–Kadai Languages.
- ↑ A1은 성조를 나타낸다.
- ↑ Edmondson, Jerold A. The power of language over the past: Tai settlement and Tai linguistics in southern China and northern Vietnam. Studies in Southeast Asian languages and linguistics, Jimmy G. Harris, Somsonge Burusphat and James E. Harris, ed. Bangkok, Thailand: Ek Phim Thai Co. Ltd. http://ling.uta.edu/~jerry/pol.pdf Archived 2011년 7월 16일 - 웨이백 머신 (15쪽 참조)
- ↑ Pittayaporn, Pittayawat (2014). Layers of Chinese Loanwords in Proto-Southwestern Tai as Evidence for the Dating of the Spread of Southwestern Tai. MANUSYA: Journal of Humanities, Special Issue No 20: 47–64.
- ↑ Haudricourt, André-Georges. 1956. De la restitution des initiales dans les langues monosyllabiques : le problème du thai commun. Bulletin de la Société de Linguistique de Paris 52. 307–322.
- ↑ Luo, Yongxian. (1997). The subgroup structure of the Tai Languages: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Monograph Series, (12), I-367.
- ↑ Pittayaporn, Pittayawat. 2009. The Phonology of Proto-Tai.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Linguistics, Cornell University.
- ↑ 따로 표시가 없으면 모든 음운 변동은 기본 어군 (A어군) 수준에서 일어난 것이다.
- ↑ 따로 표시가 없으면 모든 음운 변동은 기본 어군 (D어군) 수준에서 일어난 것이다.
- ↑ 또한 *ɯːk > *uːk 변동이 A어군에서 일어났다.
- ↑ N어군 단계의 혁신
- ↑ B어군에서는 따이조어 음절 *weː, *woː가 영향을 받았다.
- ↑ C어군에서는 따이조어 음절 *weː, *woː가 영향을 받았다.
- ↑ J어군 단계의 혁신
- ↑ Edmondson, Jerold A. 2013. Tai subgrouping using phylogenetic estimation. Presented at the 4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no-Tibetan Languages and Linguistics (ICSTLL 46), Dartmouth College, Hanover, New Hampshire, United States, August 7–10, 2013 (Session: Tai-Kadai Workshop).
- ↑ Jonsson, Nanna L. (1991) Proto Southwestern Tai Archived 2017년 4월 13일 - 웨이백 머신. Ph.D dissertation, available from UMI and SEAlang.net on http://sealang.net/crcl/proto/
- ↑ “보관된 사본”. 2017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Thai Lexicography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