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 거품
국부 거품 | |
관측 정보 | |
---|---|
형태 | 거대거품 |
거리 | 0 ly (0 pc) |
물리적 성질 | |
반지름 | 150 ly |
명칭 | 국부 고온 거품, LHB[1] 국부 거품, 국부 성간 거품[2] |
메시에 천체 목록 NGC 천체 목록 |
국부 거품(영어: Local Bubble)은 우리 은하의 오리온자리 팔에 있는 성간물질의 구멍이다. 거품은 여러 가지 중에서 국부 성간 구름과 G-구름, 그리고 우리의 태양계를 포함하고 있다. 국부 거품은 길이가 적어도 300 광년이고 중성수소 밀도가 약 원자 0.05 개/cm3 또는 우리 은하 내의 성간물질(0.5 개/cm3)의 평균 밀도의 약 10분의 1배, 국부 성간 구름(0.3 개/cm3)의 6분의 1배이다.[3] 국부 거품 내의 뜨겁고 희미한 가스는 X-선을 방출한다.
국부 거품 내의 매우 희박하고 뜨거운 가스는 2,000만 년 전에 폭발한 초신성의 결과이다.[4][5] 그 초신성의 잔해의 유력 후보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펄사, 제밍가("쌍둥이자리 감마선 방출원")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더 최근에는, 플레이아데스 운동성단의 하위 집단 B1 내의 다중 초신성이 거대거품 잔해[6]를 만든 원인으로서 더 그럴듯하다고 주장되었다.[7]
설명
[편집]태양계는 500만 년에서 1,000만 년 동안 국부 거품이 차지하는 영역을 여행해왔다.[4] 태양계의 현재 위치는 거품 내의 밀한 물질 영역인 국부 성간 구름(LIC)에 위치해 있다. LIC는 국부 거품과 고리 I 거품이 접한 곳에서 형성되었다. LIC 내의 가스는 밀도가 입방센티미터당 원자 약 0.1개이다.
국부 거품은 공모양의 형태를 띠고 있지 않다. 은하면에서 좁은 형태를 한 것처럼 보이는데, 달걀형이나 타원형이 더 알맞다. 그리고 모래시계와 같은 모양으로 은하면 위아래로 넓어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국부 거품은 더 낮은 밀도의 성간물질로 구성된 다른 거품과 인접해 있는데, 특히 고리 I 거품이 그렇다. 고리 I 거품은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에서의 초신성과 항성풍으로 형성되었고, 태양으로부터 약 500 광년 떨어져 있다. 고리 I 거품은 도해도의 우측 상단에서 보이는 안타레스(전갈자리 알파)를 포함하고 있다. 몇몇 통로가 국부 거품의 구멍 및 고리 I 거품의 구멍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리자리 터널"이라 불린다.[8] 국부 거품과 인접한 또다른 거품으로는 고리 II 거품과 고리 III 거품이 있다.
관측
[편집]2003년 2월에 발사되어 2008년 4월까지 활동한, 작은 우주 관측선인 우주 고온 성간 플라스마 분광 탐사선(Cosmic Hot Interstellar Plasma Spectrometer, CHIPS 또는 CHIPSat)이 국부 거품 내의 뜨거운 가스를 조사했다.[9] 또한 국부 거품은 거품 내의 뜨거운 EUV 방출원을 조사했던 극자외선 탐사선 임무(1992-2001)에서의 관심 영역이었다. 거품의 가장자리 너머의 방출원이 발견되었지만, 밀한 성간물질에 의해 약화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Roland J. Egger, Bernd Aschenbach (February 1995). “"Interaction of the Loop I supershell with the Local Hot Bubble"”.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294 (2): L25-L28. arXiv:astro-ph/9412086. Bibcode:1995A&A...294L..25E.
- ↑ “NAME LOCAL BUBBLE -- Interstellar matter”. SIMBAD. 2014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Our Local Galactic Neighborhood, NASA”. Interstellar.jpl.nasa.gov. 2000년 2월 8일. 2013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Local Chimney and Superbubbles, Solstation.com
- ↑ NASA-funded X-ray Instrument Settles Interstellar Debate, www.nasa.gov
- ↑ J. R. Gabel, F. C. Bruhweiler (1998년 1월 8일). “[51.09] Model of an Expanding Supershell Structure in the LISM”.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014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4일에 확인함.
- ↑ T. W. Berghoefer, D. Breitschwerdt (2002). “The origin of the young stellar population in the solar neighborhood - a link to the formation of the Local Bubble?”.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390 (1): 299–306. arXiv:astro-ph/0205128v2. Bibcode:2002A&A...390..299B. doi:10.1051/0004-6361:20020627.
- ↑ Lallement, R.; Welsh, B. Y.; Vergely, J. L.; Crifo, F.; Sfeir, D. (2003). “3D mapping of the dense interstellar gas around the Local Bubble”.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411 (3): 447. Bibcode:2003A&A...411..447L. doi:10.1051/0004-6361:20031214.
- ↑ “CHIPS - Berkeley University”. Chips.ssl.berkeley.edu. 2003년 1월 12일. 2013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23일에 확인함.
더 읽어보기
[편집]- Anderson, Mark (2007년 1월 6일). “당신이 솜털을 얻기 전까지 멈추지 말라”. 《뉴사이언티스트》 193 (2585): 26–30. doi:10.1016/S0262-4079(07)60043-8.[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Lallement, R.; Welsh, B. Y.; Vergely, J. L.; Crifo, F.; Sfeir, D. (2003년 12월 1일). “국부 거품 근처의 밀한 성간가스에 대한 3D 지도 작성”.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411 (3): 447–464. Bibcode:2003A&A...411..447L. doi:10.1051/0004-6361:20031214.
- “근지구 초신성”. 《Science@NASA Headline News》. NASA. 2003년 1월 6일. 2015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7일에 확인함.
- “별에서 불어오는 미풍”. 《Science@NASA Headline News》. NASA. 2004년 12월 17일. 2010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지구 → 태양계 → 국부 성간 구름 → 국부 거품 → 굴드 대 → 오리온자리 팔 → 우리은하 → 우리은하의 위성은하 → 국부은하군 → 국부 쉬트(Local Sheet) → 처녀자리 초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 KBC 보이드(Local Hole) → 관측 가능한 우주 → 우주
각 화살표(→)는 "내부" 또는 "일부"로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