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스 메디아
카우스 메디아 | ||
궁수자리. 카우스 메디아(Kaus Media)는 찻주전자 별자리(연두색 선)의 중간 부분에 있다.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궁수자리 델타 (δ Sgr) | |
밝은 별 목록 | HR 6859[1]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68454[1]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186681[1]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89931[1] | |
다른 이름 | 카우스 메리디오날리스, 메디아, CPD −30° 5513, FK5 687, WDS J18210-2950A, CCDM J18210-2950A, GC 25024, IDS 18146-2952 A, PPM 268275[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궁수자리 | |
적경(α) | 18h 20m 59.64354s[2] | |
적위(δ) | −29° 49′ 41.1659″[2] | |
겉보기등급(m) | +2.70[3] | |
절대등급(M) | −1.99[4]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19.9 km/s[5] | |
적경 고유운동 | +32.54 mas/yr[2] | |
적위 고유운동 | −25.57 mas/yr[2] | |
연주시차 | 9.38 ± 0.18 mas[2] | |
성질 | ||
나이 | A: 2억 6000만 년[6] | |
분광형 | K3 III[7] | |
U-B 색지수 | +1.55[3] | |
B-V 색지수 | +1.38[3] | |
추가 사항 | ||
질량 | A: 3.21 M☉[6] | |
반지름 | A: 16 R☉[8] | |
표면온도 | A: 4,203±69 K[6] | |
중원소 함량 (Fe/H) | A: −0.32[9] | |
표면 중력 (log g) | A: 0.30 cgs[9] | |
항성 목록 |
카우스 메디아(Kaus Media) 또는 공식명칭 궁수자리 델타(δ Sgr)는 남반구 황도대의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쌍성계이다.[10][11][1] 겉보기등급은 +2.70으로[3]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시차 자료로부터 계산한 이 별까지의 거리는 약 348 광년 (107 파섹)이다.[2]
특징
[편집]2008년 Eggleton과 Tokovinin은 궁수자리 델타를 진화가 이루어진 K3 III 분광형의 거성과 백색왜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 목록에 올렸다.[7][12] 거성 쪽은 바륨별의 성격을 약하게 띠고 있으며, 반성인 백색 왜성과의 질량 교환을 통해 항성 표면에 S과정으로 생긴 원소들이 풍부하게 누적된 것으로 보인다.[13] 주성의 질량은 태양의 3.21 배이며 나이는 약 2억 6000만 년이다.[6]
궁수자리 델타에는 희미한 안시 동반성 셋이 존재한다.[14]
- 주성으로부터 26 각초 거리에 있는 14등급 항성
- 40 각초 거리에 있는 15등급 항성
- 58 각초 거리에 있는 13등급 항성
명명법
[편집]궁수자리 델타(δ Sgr)는 이 항성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인 카우스 메디아 Kaus Media, 카우스 메리디오날리스 Kaus Meridionalis, 메디아 Media는 아랍어 قوس ('카우스', 활)와 라틴어 media ('메디아', 가운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공식화 및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다.[15] WGSN은 2016년 7월 1차로 카우스 메디아 Kaus Media 명칭을 고시했다.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 이 별은 타니 알 와리다 Thani al Waridah 로 표기되어 있으며 그 뜻은 '와리다 중 두 번째'이다.[16]
중화권에서 카우스 메디아는 기(箕)에 소속되어 있다. 기는 카우스 메디아 외에 궁수자리 감마, 엡실론, 에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카우스 메디아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기수2(箕宿二)이다.[17]
카우스 메디아는 궁수자리 감마, 엡실론, 제타, 람다, 시그마, 타우, 피와 함께 '찻주전자 별자리'를 구성한다.[18]
힌두 점성술에서 이 별은 '푸르바샤다 나크샤트라' Purvashada Nakshatra 로 불리기도 했다.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del Sgr -- Star in double system”,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라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 ↑ Elgarøy, Øystein; Engvold, Oddbjørn; Lund, Niels (March 1999), “The Wilson-Bappu effect of the MgII K line - dependence on stellar temperature, activity and metallicity”, 《Astronomy and Astrophysics》 343: 222–228, Bibcode:1999A&A...343..222E
- ↑ Evans, D. S. (June 20–24, 1966), Batten, Alan Henry; Heard, John Frederick, 편집.,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University of Toron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30: 57, Bibcode:1967IAUS...30...57E
- ↑ 가 나 다 라 Luck, R. Earle (2015), “Abundances in the Local Region. I. G and K Giants”, 《The Astronomical Journal》 150 (3): 88, arXiv:1507.01466, Bibcode:2015AJ....150...88L, doi:10.1088/0004-6256/150/3/88.
- ↑ 가 나 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_3. Declinations -40_ƒ0 to -26_ƒ0》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3, Bibcode:1982mcts.book.....H
- ↑ Pasinetti Fracassini, L. E.; 외. (February 2001), “Catalogue of Apparent Diameters and Absolute Radii of Stars (CAD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Thi판 367: 521–524, arXiv:astro-ph/0012289, Bibcode:2001A&A...367..521P, doi:10.1051/0004-6361:20000451.
- ↑ 가 나 Luck, R. Earle; Challener, Sharon L. (December 1995), “Chemical Abundances for Very Strong-Lined Giants”, 《Astronomical Journal》 110: 2968, Bibcode:1995AJ....110.2968L, doi:10.1086/117741.
- ↑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 ↑ Gomez, A. E.; 외. (1997), “Absolute magnitudes and kinematics of barium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19: 881, Bibcode:1997A&A...319..881G.
- ↑ Dommanget, J.; Nys, O. (1994). “Catalogue des composantes d'etoiles doubles et multiples (CCDM) premiere edition - Catalogue of the components of double and multiple stars (CCDM) first edition”. 《Com. de l'Observ. Royal de Belgique》 115: 1. Bibcode:1994CoORB.115....1D.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35.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 ↑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11 日 Archived 2011년 5월 22일 - 웨이백 머신
- ↑ “Teapot”. constellation-guide.com. 2017년 5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영어) Kaus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