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셀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셀라
궁수자리. 아셀라는 ζ이다.
궁수자리. 아셀라는 ζ이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궁수자리 제타(ζ Sgr)
플램스티드 명명법 궁수자리 38
밝은 별 목록 HR 7194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76687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87600
소천성표 CPD-30 5798
히파르코스 목록 HIP 93506
다른 이름 CCDM J19026-2953AB, GC 26161, IDS 18562-3001 AB, PPM 269230, WDS J19026-2953AB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궁수자리
적경(α) 19h 02m 36.73024s[1]
적위(δ) –29° 52′ 48.2279″[1]
겉보기등급(m) +2.59[2] (3.27/3.48)[3]
절대등급(M) 1.11/1.32[3]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22 km/s[4]
적경 고유운동 +10.79 밀리초각/년[1]
적위 고유운동 +21.11 밀리초각/년[1]
연주시차 36.98 ± 0.87 밀리초각[1]
거리 88 ± 2 광년(27.0 ± 0.6 파섹)
성질
나이 5억 ~ 7억 1000만 년[3]
분광형 A2.5 Va[5]
U-B 색지수 +0.05[2]
B-V 색지수 +0.08[2]
추가 사항
질량 5.26 ± 0.37 M[3]
표면온도 8,799 K[6]
표면 중력 (log g) 3.90[6]
자전 속도 77 km/s[7]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아셀라(Ascella) 또는 궁수자리 제타(ζ Sgr)는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삼중성계이다. 궁수자리에서 세 번째로 밝으며 시차 수치에 따르면 태양으로부터 약 88 광년 떨어져 있다.[1]

계를 이루는 구성원들을 세분하면, 궁수자리 제타 A('아셀라' 명칭이 공식적으로 부여됨)[8][9]B쌍성을 이루고 있으며 반성 C는 이들로부터 떨어져 있다.

명칭

[편집]

전통적으로 불러오던 이름 아셀라(Ascella)는 '겨드랑이'를 뜻하는 후기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서 이 별은 '탈라스 알 사디라'(Thalath al Sadirah)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되돌아오는 타조 중 세 번째'라는 의미이다.[10] 국제천문연맹(IAU)은 2016년 항성의 고유 명칭을 관리하고 공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결성했다.[11] WGSN은 고유 명칭을 다중성계 전체가 아니라 구성원에 붙이는 방침을 내렸다.[12] 2016년 9월 12일 아셀라(Ascella) 명칭은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으며 현재 IAU 승인 항성명 목록에 실려 있다.[9]

아셀라는 궁수자리 감마, 궁수자리 델타, 궁수자리 엡실론, 궁수자리 람다, 궁수자리 시그마, 궁수자리 타우, 궁수자리 파이와 함께 '찻주전자' 별자리를 구성한다.[13]

궁수자리 제타(ζ Sgr)는 이 계를 바이어 명명법에 의해 표기한 것이다. 구성원들을 궁수자리 A, B, C로 로마자 대문자를 붙여 구별하는 것은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에서 다중성계를 표기할 때 사용한 관례로, 이후 IAU가 도입했다.[14]

중화권에서 아셀라는 두수(斗宿)에 속해 있다. 두수는 아셀라, 궁수자리 파이, 궁수자리 람다, 궁수자리 뮤, 궁수자리 시그마, 궁수자리 타우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아셀라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두수6(斗宿六, 두수에서 여섯 번째)이다.[15]

속성

[편집]

아셀라의 구성원들은 모두 합쳐 겉보기등급 +2.59로 빛난다.[2] 아셀라는 태양계로부터 22 km s−1속도로 멀어지고 있으며[4] 지금으로부터 약 100만 ~ 140만 년 전에는 태양으로부터 7.5 ± 1.8 광년(2.30 ± 0.55 파섹)까지 접근했었다.[16]

아셀라의 구성원 A와 B는 서로를 약 21일에 1회 공전하고 있으며 궤도의 이심률은 0.211이다. A와 B를 합친 쌍성계의 질량은 태양의 5.26 ± 0.37 배이며[3] 이 둘이 섞인 분광형은 A2.5 Va이다. A는 분광형 A2의 거성으로 겉보기 등급은 +3.27이고, B는 분광형 A4의 준거성으로 겉보기 등급은 +3.48이다. 두 구성원은 서로 평균 13.4 천문단위 떨어져 있다.[17]

이 쌍성은 다시 10등급 밝기의 희미한 반성 C를 거느리고 있다. C는 A-B로부터 75 초각 떨어져 있다.

각주

[편집]
  1.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2.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Bibcode:1966CoLPL...4...99J. 
  3. De Rosa, Robert J.; 외. (2011), “The VAST Survey -- II. Orbital motion monitoring of A-type star multipl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2: 2765–2785, arXiv:1112.3666, Bibcode:2012MNRAS.422.2765D, doi:10.1111/j.1365-2966.2011.20397.x 
  4. Wilson, R. E.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Carnegie Institute of Washington D.C. Bibcode:1953GCRV..C......0W. 
  5. “* zet Sg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2월 18일에 확인함. 
  6. Gray, R. O.; 외. (October 2003), “Contributions to the Nearby Stars (NStars) Project: Spectroscopy of Stars Earlier than M0 within 40 Parsecs: The Northern Sample. I.”, 《The Astronomical Journal》 126 (4): 2048–2059, arXiv:astro-ph/0308182, Bibcode:2003AJ....126.2048G, doi:10.1086/378365 
  7. Royer, F.; Zorec, J.; Gómez, A. E. (February 2007),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II. Velocity distribution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63 (2): 671–682, arXiv:astro-ph/0610785, Bibcode:2007A&A...463..671R, doi:10.1051/0004-6361:20065224 
  8. Davis, George A. (1944). “The pronunciations, derivations, and meanings of a selected list of star names”. 《Popular Astronomy》 52: 8–30. 
  9.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0.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430.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11.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2.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PDF). 5쪽.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13. “Teapot”. constellation-guide.com. 2017년 5월 13일에 확인함. 
  14. Hessman, F. V.; Dhillon, V. S.; Winget, D. E.; Schreiber, M. R.; Horne, K.; Marsh, T. R.; Guenther, E.; Schwope, A.; Heber, U. (2010).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arXiv:1012.0707 [astro-ph.SR]. 
  15.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12 日 Archived 2011년 7월 16일 - 웨이백 머신
  16. Dybczyński, P. A. (April 2006), “Simulating observable comets. III. Real stellar perturbers of the Oort cloud and their output”, 《Astronomy and Astrophysics》 449 (3): 1233–1242, Bibcode:2006A&A...449.1233D, doi:10.1051/0004-6361:20054284 
  17. Kaler, James B., “ASCELLA (Zeta Sagittarii)”,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2월 18일에 확인함 

좌표: 하늘 지도 19h 02m 36.73024s, −29° 52′ 48.2279″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