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귀납적 차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반위상수학에서 귀납적 차원(歸納的次元, 영어: inductive dimension)은 어떤 기하학적 대상의 경계의 차원이 전체의 차원보다 1만큼 더 작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위상 공간 위에 정의되는 두 개의 차원 개념이다. 대부분의 경우, 르베그 덮개 차원의 상한과 하한을 정의한다.

정의

[편집]

위상 공간 작은 귀납적 차원(영어: small inductive dimension)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소의 정수 이다.

  • 임의의 열린 근방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 근방 가 존재한다.

위상 공간 큰 귀납적 차원(영어: large inductive dimension)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소의 정수 이다.

  • 임의의 닫힌집합 열린 근방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 근방 가 존재한다.

공집합의 경우, 아무런 점이 없으므로 자명하게 이다.

성질

[편집]

서로 다른 차원들의 비교

[편집]

T1 공간 또는 정칙 공간 의 경우, 모든 점의 폐포가 점의 열린 근방에 다시 포함되므로,

이다.[1]:9, Proposition 2.7

임의의 위상 공간 에 대하여,

이다.[1]:18, Corollary 3.5 여기서 르베그 덮개 차원이다.

거리화 가능 공간 의 경우,

이다.[2]:219, Theorem 10

린델뢰프 공간 의 경우,

이다.[1]:27, Proposition 5.3

린델뢰프 완전 정규 공간 [1]:171 또는 완비 파라콤팩트(영어: completely paracompact) 완전 정규 공간 [3]:296, Theorem F2의 경우,

이다.

우리손 정리에 따르면, 제2 가산 정칙 공간 의 경우

이다.[4]:51, Theorem 1.7.7

부분 집합

[편집]

위상 공간 부분 집합 에 대하여,

이다.[1]:8, Proposition 2.3 만약 추가로 닫힌집합이거나,[1]:9, Proposition 2.6 완전 정규 공간이라면,[1]:21, Corollary 3.13

이다.

합집합

[편집]

완비 정규 공간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5]:2203, 2206 이를 작은·큰 귀납적 차원에 대한 우리손 부등식이라고 한다.

위상 공간 닫힌집합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5]:2203, (1) 만약 추가로 정규 공간이라면,

이다.[5]:2206

곱공간

[편집]

제2 가산 정칙 공간 의 경우, 귀납적 차원이 르베그 덮개 차원과 일치하므로

이다.

위상 공간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임의의 닫힌집합 에 대하여,
  • 임의의 닫힌집합 에 대하여,

그렇다면,

이다.[5]:2203, (2) 작은 귀납적 차원이 0 이하인 공간은 위 합집합 조건을 자명하게 만족시킨다. 그러나, 1차원 이상의 공간이 위 조건을 만족하기는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거리화 가능 공간이 존재하며,[1]:Chapter 20 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 존재한다.[1]:Chapter 14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다.[1]:12, Exercise 2.27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다.

위상 공간들의 집합 곱공간

에 대하여, 만약 모든 에 대하여 이라면, 이다.[1]:12, Exercise 2.28

스톤-체흐 콤팩트화

[편집]

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 및 그 스톤-체흐 콤팩트화 에 대하여,

이다.[4]:137, Theorem 2.2.10

0차원

[편집]

경계공집합필요충분조건열린닫힌집합인 것이다. 따라서,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열린닫힌집합들로 구성된 기저를 갖는다.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0, Proposition 2.9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들이 성립한다.

  • 만약 이라면, 완비 정칙 공간이다.
  • 만약 이며, 콜모고로프 공간이라면, 완전 분리 공간이자 티호노프 공간이다.
  • 반대로, 만약 완전 분리 공간이자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라면, 이다.[6]:362, Theorem 6.2.9
  • 만약 이라면, 정규 공간이다.
  • 만약 이며, T1 공간이거나 정칙 공간이라면, 이다.
  • 반대로, 만약 이며, 린델뢰프 공간 이라면, 이다.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6]:362, Theorem 6.2.9

국소 콤팩트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 주어졌을 때, 는 항상 서로소 린델뢰프 열린닫힌집합들의 합집합이다. 따라서,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6]:362, Theorem 6.2.10

  • 완전 분리 공간이다.

작은 귀납적 차원이 0인 위상 공간은 흔히 0차원 공간(零次元空間, 영어: zero-dimensional space)이라고 한다. 르베그 덮개 차원이 0인 위상 공간은 흔히 강한 0차원 공간(强-零次元空間, 영어: strongly zero-dimensional space)이라고 부른다. 일부 문헌은 0차원 공간의 정의에서 T1 조건을 추가로 가정하고, 강한 0차원 공간의 정의에 티호노프 조건을 추가한다.

매장

[편집]

T1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6]:363, Theorem 6.2.16[7]:323, §f-6

이 경우, 곱공간으로의 매장은 다음과 같이 잡을 수 있다.

모든 0차원 제2 가산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실수들의 집합과 위상 동형이다. 구체적으로, 제2 가산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분해 가능 거리화 가능 공간)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4]:20, Theorem 1.3.15

  • 칸토어 집합 부분 집합위상 동형이다.
  • 무리수 집합 부분 집합위상 동형이다.

실수들의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둘 이상의 점을 갖는)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다.

뇌벨링-폰트랴긴 정리에 따르면, 제2 가산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사실, 모든 차원 이하의 제2 가산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차원 유클리드 공간 매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산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4]:95, Theorem 1.11.5

  • 부분 집합위상 동형이다.

[편집]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동치이다.

유클리드 공간, 단체, 초구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통상적인 차원과 일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차원 다양체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 및 르베그 덮개 차원이다.

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이다.

조르겐프라이 직선 조르겐프라이 평면 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0이다.[8]:2 조르겐프라이 직선르베그 덮개 차원은 0이지만, 조르겐프라이 평면르베그 덮개 차원은 무한하다.[8]:2, Theorem 1

이산 공간과 모든 비이산 공간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 및 르베그 덮개 차원은 0 이하이다. 시에르핀스키 공간르베그 덮개 차원과 큰 귀납적 차원은 0이지만, (정칙 공간이 아니므로) 작은 귀납적 차원은 무한하다.

거리화 가능 공간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

증명:

임의의 점 열린 근방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을 잡자. 이므로,

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다.

순서 위상을 가한 전순서 집합 의 작은 귀납적 차원은 1 이하이다.[1]:12, Exercise 2.24

각주

[편집]
  1. Charalambous, Michael G. (2019). 《Dimension theory. A selection of theorems and counterexamples》. Atlantis Studies in Mathematics (영어) 7. Cham: Springer. doi:10.1007/978-3-030-22232-1. ISBN 978-3-030-22231-4. ISSN 1875-7634. MR 3970309. Zbl 1471.54001. 
  2. Ostrand, Phillip A. (1971). “Covering dimension in general spaces”. 《General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 (3): 209–221. doi:10.1016/0016-660X(71)90093-6. ISSN 0016-660X. MR 0288741. Zbl 0232.54044. 
  3. Chatyrko, Vitalij A.; Hattori, Yasunao (2003). “Around the equality towards a unifying theorem”.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31 (3): 295–302. doi:10.1016/S0166-8641(02)00358-9. ISSN 0166-8641. MR 1983085. Zbl 1030.54023.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21) (도움말)
  4. Engelking, Ryszard (1995). 《Theory of dimensions finite and infinite》. Sigma Series in Pure Mathematics (영어) 10. Heldermann Verlag: Lemgo. ISBN 3-88538-010-2. MR 1363947. Zbl 0872.54002. 
  5. Chatyrko, Vitalij A.; Hattori, Yasunao (2008). “Addition and product theorems for ind”.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55 (17–18): 2202–2210. doi:10.1016/j.topol.2007.05.028. ISSN 0166-8641. MR 2458005. Zbl 1161.54017. 
  6. Engelking, Ryszard (1989). 《General topology》. Sigma Series in Pure Mathematics (영어) 6 개정 완결판. Berlin: Heldermann Verlag. ISBN 3-88538-006-4. MR 1039321. Zbl 0684.54001. 
  7. Hart, Klaas Pieter; Nagata, Jun-iti; Vaughan, Jerry E., 편집. (2004). 《Encyclopedia of general topology》 (영어). Amsterdam: Elsevier. ISBN 0-444-50355-2. MR 2049453. Zbl 1059.54001. 
  8. Sipacheva, Ol'ga (2021). “The covering dimension of the Sorgenfrey plane” (영어). arXiv:2110.08867. doi:10.48550/arXiv.2110.08867.  arXiv 인용에서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외부 링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