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도널드슨 불변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널드슨 이론에서 넘어옴)

위상수학에서 도널드슨 불변량(Donaldson不變量, 영어: Donaldson invariant)은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불변량의 하나로, 게이지 이론순간자 모듈라이 공간의 성질을 나타낸다.[1][2][3][4][5][6][7] 도널드슨 불변량은 더 계산하기 쉬운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과 동치인 것으로 추측된다. 도널드슨 불변량을 연구하는 위상수학의 분야를 도널드슨 이론(Donaldson理論, 영어: Donaldson theory)이라고 한다.

정의

[편집]

도널드슨 불변량은 4차원 연결 단일 연결 매끄러운 다양체 의 불변량이며, 대수적 위상수학 또는 초대칭 위상 양자장론을 통해 정의할 수 있다.

수학적 정의

[편집]

푸앵카레 쌍대성합곱을 사용해 2차 코호몰로지 위에 다음과 같은 교차 형식(영어: intersection form)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류다. 이 형식의 양의 고윳값의 수를 , 음의 고윳값의 수를 이라고 하자. 물론

의 2차 베티 수이다. 앞으로, 이라고 가정하자.

에 임의의 리만 계량 SU(2) 벡터다발 을 부여하자. 이 경우, 의 SU(2) 양-밀스 순간자들의 모듈라이 공간 를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오비폴드를 이루고, 그 차원은 다음과 같다.[5]:(2), (3)

으로 주어진다. (만약 이 수가 음수라면 공집합이다.) 여기서 의 2차 천 수이고, 베티 수이다. (게이지 군이 SU(2)이므로, 1차 천 특성류는 항상 0이다.)

위에 존재하는 모든 주접속들(의 게이지 변환에 대한 동치류들)의 모듈라이 공간이라고 하자. 이는 무한 차원 공간이다. 이 경우, 전자는 후자의 자연스러운 부분공간을 이룬다.

는 물론 리만 계량 에 의존하지만, 이라면 호몰로지류 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리만 계량에 의존하지 않지만, 의 미분 구조에 의존한다. 즉, 이는 위상동형(위상다양체로서 동형)이지만 미분동형(매끄러운 다양체로서 동형)이지 않은 다양체들을 구분할 수 있다.

스펙트럼 열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군 준동형을 정의할 수 있다.

은 4차원 연결 단일 연결 매끄러운 다양체라고 가정하였으므로, 의 (유리수 계수) 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임의로 잡은 기저다. 그렇다면 다음을 보일 수 있다.

  • 코호몰로지에 의하여 다항식환 와 표준적(canonical)으로 동형이다. 여기서 에 대응하는 생성원이다.

이제, 도널드슨 다항식(Donaldson多項式, 영어: Donaldson polynomial) 은 다음과 같은 사상이다.

물리학적 정의

[편집]

4차원 다양체 의 도널드슨 다항식 불변량은 위에 존재하는 초대칭 게이지 이론상관 함수로 정의할 수 있다.

위에 임의의 리만 계량을 부여하고, 그 위에 게이지 군이 콤팩트 반단순 리 군 초대칭 양-밀스 이론을 생각하자. 이 이론은 로런츠 대칭R대칭을 갖는데, 로런츠 군

는 4차원 스핀 군이고, R대칭군은 SU(2)R이다. 이제 새 로런츠 부분군 의 대각 성분으로 정의하여, 위상 뒤틀림(영어: topological twist)을 가한다. 그렇다면 이론의 장들은 다음과 같다.

기호 설명 뒤틀기 전 군 표현 SU(2)left×SU(2)right×SU(2)R×U(1)R 뒤튼 뒤 군 표현 SU(2)left×SU(2)right×U(1)R 뒤튼 뒤 설명
왼쪽 초전하 (½, 0, ½)−1 (½, ½)−1
오른쪽 초전하 (0, ½, ½)+1 (0,0)+1 BRST 연산자
(0, 1)+1
게이지 보손 (½, ½, 0)0 (½,½)0 게이지 보손
왼손 게이지노 (½, 0, ½)+1 (½,½)+1 유령
오른손 게이지노 (0, ½, ½)−1 (0,1)−1 반유령 ( 제약에 대응)
(0,0)−1 반유령
스게이지노(영어: sgaugino) (0, 0, 0)+2 (0,0)+2 (게이지 변환 매개변수)
반스게이지노(영어: antisgaugino) (0, 0, 0)−2 (0,0)−2 유령

따라서, 뒤튼 뒤에는 두 개의 스칼라장과 두 개의 벡터장만이 존재한다. 이 경우, , 에 대한 초다중항을 이룬다. 제약에 대응하며, 는 게이지 변환의 매개변수에 대응한다.

이제, 초대칭 연산자 BRST 대칭으로 생각하여, 모든 관측가능량을 에 의한 코호몰로지에 닫혀 있게 한다. 그렇다면 이 이론은 위튼형 위상 양자장론을 이룬다.

이제, 다음과 같은 게이지 불변, -닫힌 연산자를 생각하자.

이제 다음과 같은 일련의 연산자들을 정의할 수 있다.

코호몰로지류이다. 따라서, 임의의 호몰로지류 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상관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는 CP 위반항이므로,

는 단순히 순간자수(게이지 주다발의 2차 천 특성류)이다. 따라서 의 삽입은 상관 함수를 특별히 변화시키지 않는다. 2차 호몰로지 류 및 0차 호몰로지 류 를 사용하여, 상관 함수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도널드슨 다항식이라고 하며, 이는 위상수학으로 정의한 도널드슨 다항식과 일치함을 보일 수 있다.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류

[편집]

게이지 군 SU(2)일 경우를 생각하자.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가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단순형 다양체(영어: manifold of simple type)라고 하자.

여기서 이며, 를 차수 4, 를 차수 2로 하여 센 다항식의 차수이다.

이 경우, 도널드슨 불변량은 다음과 같은 생성 함수로 완전히 결정된다.

이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형태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인 2차 코호몰로지 원소들을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류(영어: Kronheimer–Mrowka basic class)라고 하며, 이러한 기본류들의 수는 유한하다. 이 들은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과 같다고 추측된다.

역사

[편집]

사이먼 도널드슨이 1983년에 도입하였다.[8] 이후 에드워드 위튼이 1994년에 이를 초대칭 게이지 이론위상 양자장론으로 정의할 수 있음을 보였다.[9]

피터 크론하이머와 토머스 므로카(영어: Thomasz S. Mrowka)가 1994년에 도널드슨 불변량을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류에 대한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였다.[10][11] 같은 해에 에드워드 위튼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기반으로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을 도입하였으며, 이들의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류와의 관계를 제시하였다.[12][1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Donaldson, Simon K.; Kronheimer, P. B. (1997년 8월 28일). 《The geometry of four-manifolds》. Oxford Mathematical Monographs (영어). Oxford: Clarendon Press. ISBN 978-0-19-850269-2. 
  2. Freed, Daniel S.; Uhlenbeck, Karen K. (1991). 《Instantons and four-manifolds》. Mathematical Sciences Research Institute Publications (영어) 1 2판.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3-9703-8. ISBN 978-1-4613-9705-2. ISSN 0940-4740. Zbl 0559.57001. 
  3. Scorpan, Alexandru (2005). 《The wild world of 4-manifolds》 (영어). Providenc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3749-8. Zbl 1075.57001. 
  4. Dijkgraaf, Robbert (1996년 2월). “Lectures on four-manifolds and topological gauge theories”. 《Nuclear Physics B Proceedings Supplements》 (영어) 45 (2–3): 29–45. doi:10.1016/0920-5632(95)00627-3. ISSN 0920-5632. Zbl 0957.57504. 
  5. Iga, Kevin (2002년 12월 10일). “What do topologists want from Seiberg–Witten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Physics A》 (영어) 17 (30): 4463–4514. arXiv:hep-th/0207271. Bibcode:2002IJMPA..17.4463I. doi:10.1142/S0217751X0201217X. ISSN 0217-751X. MR 1941517. Zbl 1038.81057. 
  6. Kotschick, D. (1995년 3월). “Gauge theory is dead!—long live gauge theory!” (PDF).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2 (3): 335–338. ISSN 0002-9920. Zbl 0816.53047. 
  7. Dijkgraaf, Robbert (1996년 2월). “Lectures on four-manifolds and topological gauge theories”. 《Nuclear Physics B - Proceedings Supplements》 (영어) 45 (2–3): 29–45. doi:10.1016/0920-5632(95)00627-3. 
  8. Donaldson, Simon K. (1983). “An application of gauge theory to four dimensional topology”.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18 (2): 279–315. ISSN 0022-040X. MR 710056. Zbl 0507.57010. 
  9. Witten, Edward (1994년 10월). “Supersymmetric Yang–Mills theory on a four-manifold”. 《Journal of Mathematical Physics》 (영어) 35 (10): 5101–5135. arXiv:hep-th/9403195. Bibcode:1994JMP....35.5101W. doi:10.1063/1.530745. ISSN 0022-2488. 
  10. Kronheimer, P. B.; Mrowka, Tomasz S. (1994년 4월). “Recurrence relations and asymptotics for four-manifold invariants”.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30 (2): 215–221. doi:10.1090/S0273-0979-1994-00492-6. ISSN 0273-0979. MR 1246469. 
  11. Kronheimer, P. B.; Mrowka, Tomasz S. (1995). “Embedded surfaces and the structure of Donaldson’s polynomial invariants” (PDF).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41 (3): 573–734. ISSN 0022-040X. MR 1338483. Zbl 0842.57022. 
  12. Witten, Edward (1994). “Monopoles and Four-Manifolds”. 《Mathematical Research Letters》 (영어) 1 (6): 769-796. arXiv:hep-th/9411102. doi:10.4310/MRL.1994.v1.n6.a13. ISSN 1073-2780. 
  13. Moore, Gregory; Witten, Edward (1998). “Integration over the u-plane in Donaldson theory”. 《Advances in Theoretical and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 (2): 298-387. arXiv:hep-th/9709193. Bibcode:1997hep.th....9193M. ISSN 1095-0761. Zbl 0899.57021. 

외부 링크

[편집]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