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간자
양자역학과 양자장론에서 순간자(瞬間子, 영어: instanton 인스턴톤[*]) 또는 잠깐알은 윅 회전을 가한 이론의, 유한한 작용을 가진 고전해이다.[1][2][3] 이는 윅 회전을 한 유클리드 시공간에서 국소화되어 있어, 유클리드 시공간에서 입자처럼 간주할 수 있다. (물론 이는 민코프스키 시공간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순간자의 존재는 섭동 이론에는 나타나지 않는 터널 효과를 나타낸다. WKB 근사에 의한 터널 효과를 다룰 때나, 양-밀스 이론(양자 색역학)에 등장한다. 초대칭 게이지 이론과도 관련이 있다.
역사
[편집]알렉산드르 벨라빈(러시아어: Алекса́ндр Абрамо́вич Бела́вин), 알렉산드르 마르코비치 폴랴코프, 알베르트 시바르츠, 유리 스테파노비치 튭킨(러시아어: Юрий Степанович Тюпкин)이 순간자수가 1인 순간자를 최초로 발견하였다.[4] 이들은 유사입자(영어: pseudoparticle)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1]:271 헤라르뒤스 엇호프트가 이러한 해들을 어떤 시간 간격에만 존재했다가 사라진다는 의미로 "순간자"(영어: instanton)라고 이름붙였다.[1]:271
양자역학에서의 순간자
[편집]양자역학에서, 순간자는 두 고전적 안정 상태 사이의 터널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떤 퍼텐셜 가 두 개의 극소점 를 갖는다고 하고, 으로 놓자. 고전적으로는 이 두 점 모두 안정적인 상태지만, 양자역학적으로 두 상태 사이 터널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WKB 근사에 따라, 질량이 이며 에너지가 인 입자가 에서 로 터널 효과를 겪을 확률 진폭은 다음에 비례한다.
이는 순간자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윅 회전을 통해, 다음과 같은 유클리드 작용을 정의하자.
즉, 이는 퍼텐셜 속에서 움직이는 입자를 나타낸다. 이 경우, 에너지 보존에 따라 (총 에너지가 0인 경우)
다. 에서 로 가는, 유클리드 작용의 해를 순간자라고 하며, 그 작용은
이다. 따라서,
임을 알 수 있다. 즉, 터널 효과의 확률 진폭은 순간자의 작용 로 계산된다.
양-밀스 이론의 순간자
[편집]순간자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4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양-밀스 이론에서 작용을 국소적으로 최소화시키는 상태들이다. 이들은 보고몰니-프라사드-소머필드 부등식(영어: Bogomol’nyi–Prasad–Sommerfield bound, BPS 부등식)을 충족시킨다.[5][6]
4차원 유클리드 공간 위에, 게이지 군 를 가진 양-밀스 이론을 생각하자. 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게이지 장세기이고, 는 리 대수 의 기저이다. 리 대수의 기저는
가 되게 규격화한다.
이 이론에서, 작용이 유한한 상태들을 생각하자. 작용이 유한하므로, 원점에서 무한히 먼 곳에서는 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게이지 퍼텐셜 는 위상수학적으로 자명하지 않을 수 있다. 즉,
- ()
의 꼴의 퍼텐셜은 장세기가 0이다. 4차원 유클리드 공간 의 무한대는 이므로, 무한대에서 게이지 퍼텐셜은 연속함수
를 정의한다. 서로 호모토픽한 게이지 퍼텐셜들은 물리적으로 같은 상태를 나타내지만, 호모토픽하지 않은 상태들은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유한 작용 상태들은 게이지 군 의 3차 호모토피 군에 의하여 분류된다.
흔히 쓰이는 게이지 군의 경우,
- ()
- ( 또는 )
이다. 이 경우, 무한대에서의 게이지 퍼텐셜의 호모토피류는 정수에 의하여 분류된다. 이 수를 순간자수(영어: instanton number)라고 하며, 대략 순간자의 수를 나타낸다. 만약 순간자수가 음수라면, 이는 반순간자(영어: anti-instanton)가 존재함을 뜻한다. 의 경우, 순간자수 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의 단위 수직 벡터이며, 는 (유클리드 계량 부호수) 레비치비타 기호다.
4차원 리만 다양체 에서, 2차 미분형식들은 호지 쌍대에 따라
가 존재한다. 또한, 유클리드 계량 부호수에서는 2차 미분형식에 대하여
이므로, 호지 쌍대 연산자 의 고윳값은 이다. 따라서, 2차 미분형식들의 공간은 고윳값에 따라
으로 분해된다. 여기서 의 원소는 자기쌍대(영어: self-dual), 의 원소는 반자기쌍대(영어: anti-self-dual)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2차 미분형식 가 주어지면,
으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리 대수 값을 갖는) 2차 미분형식들의 공간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적 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양-밀스 작용은
가 된다.
장세기를 자기쌍대 및 반자기쌍대 성분으로 분해하자.
그렇다면
이다. 여기서 는 순간자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순간자수 를 가진 상태의 작용은 다음과 같은 BPS 부등식을 만족시킨다.
이 부등식을 등식으로 만드는 게이지 퍼텐셜들을 순간자라고 한다. 이들은
- 또는 ,
즉
를 만족시킨다. 이런 상태들은 자동적으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을 만족시키므로, 작용을 최소화시킴을 알 수 있다.
각주
[편집]- ↑ 가 나 다 Coleman, Sidney (1985). 〈Uses of Instantons〉. 《Aspects of Symmetr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5–350쪽. Bibcode:1988assy.book.....C. doi:10.1017/CBO9780511565045.008. ISBN 9780521267069.
- ↑ Rajaraman, R. (1987). 《Solitons and Instantons》. Amsterdam: North Holland. ISBN 0-444-87047-4.
- ↑ Weinberg, Erick J. (2012년 10월). 《Classical Solutions in Quantum Field Theory: Solitons and Instantons in High Energy Physics》. Cambridge Monographs o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1139017787. ISBN 978-0-5211-1463-9.
- ↑ Belavin, A. A.; A. M. Polyakov, A. S. Schwartz, Yu. S. Tyupkin (1975). “Pseudoparticle solutions of the Yang-Mills equations”. 《Physics Letters B》 (영어) 59: 85–87. Bibcode:1975PhLB...59...85B. doi:10.1016/0370-2693(75)90163-X.
- ↑ Bogomol’nyi, E. B. (1976). 《Soviet Journal of Nuclear Physics》 24: 449.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Prasad, M. K.; Charles H. Sommerfield (1975년 9월 22일). “Exact classical solution for the ’t Hooft monopole and the Julia–Zee dyon”. 《Physical Review Letters》 (영어) 35 (12): 760–762. doi:10.1103/PhysRevLett.35.760. ISSN 0031-9007.
- Forkel, Hilmar (2000년 8월). “A primer on instantons in QCD” (영어). arXiv:hep-ph/0009136. Bibcode:2000hep.ph....9136F.
- Schäfer, Thomas; E. V. Shuryak (1998년 4월). “Instantons in QCD”. 《Reviews of Modern Physics》 (영어) 70 (2): 323–426. arXiv:hep-ph/9610451. Bibcode:1998RvMP...70..323S. doi:10.1103/RevModPhys.70.323.
- Belitsky, A.V.; Stefan Vandoren, Peter van Nieuwenhuizen (2000). “Yang-Mills- and D-instantons”.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 (영어) 17 (17): 3521–3570. arXiv:hep-th/0004186. Bibcode:2000CQGra..17.3521B. doi:10.1088/0264-9381/17/17/305.
- 't Hooft, Gerard (1999년 9월). “Monopoles, Instantons and Confinement” (영어). arXiv:hep-th/0010225. Bibcode:2000hep.th...10225.
- Bianchi, Massimo; Stefano Kovacs, Giancarlo Rossi (2008). 〈Instantons and supersymmetry〉. 《String Theory and Fundamental Interactions. Gabriele Veneziano and Theoretical Physic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Lecture Notes in Physics (영어) 737. Springer. 303–470쪽. arXiv:hep-th/0703142. Bibcode:2008LNP...737..303B. doi:10.1007/978-3-540-74233-3_14. ISBN 978-3-540-74232-6. ISSN 0075-8450.
- Prasad, M. K. (1980년 6월). “Instantons and monopoles in Yang-Mills gauge field theories”. 《Physica D: Nonlinear Phenomena》 (영어) 1 (2): 167–191. Bibcode:1980PhyD....1..167P. doi:10.1016/0167-2789(80)90010-X.
- Forger, Michael (1979년 12월). “Gauge theories, instantons and algebraic geometry” (PDF). 《Reports o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6 (3): 359–384. doi:10.1016/0034-4877(79)90071-5. ISSN 0034-4877. Zbl 0448.53049. 2008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19일에 확인함.
- Vaĭnshteĭn, A. I.; Valentin I. Zakharov, Viktor A. Novikov, Mikhail A. Shifman (1982). “ABC of instantons” (PDF). 《Soviet Physics Uspekhi》 (영어) 25 (4): 195. doi:10.1070/PU1982v025n04ABEH004533.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Byun, Yanghyun (2010년 8월 4일). “An Introduction to ASD instantons and holomorphic Structures”. KAIST 대수구조 및 응용 연구센터.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 (윈도우 미디어 비디오)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9일에 확인함.
- 이원종 (2004년 12월). “Confinement and Lattice QCD” (PDF). 《물리학과 첨단기술》 13 (12): 10–12. ISSN 1225-2336.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