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십이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선심에서 넘어옴)

12심(十二心)은 '마음마음작용' 즉 '심법심소법'이 항상 상응하여 작용하는 관계에 있으므로, 마음마음작용이 함께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心) 즉 마음이라 할 때, 그것에 다음 목록과 같은 12가지의 구분 또는 (相)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12유형의 마음 또는 마음의 12유형을 말한다. 12심은 《구사론》 제7권 등에 나오는 유형 구분이다.[1]

  1. 욕계(欲界)의 선심(善心)
  2. 욕계(欲界)의 불선심(不善心)
  3. 욕계(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4. 욕계(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5. 색계(色界)의 선심(善心)
  6. 색계(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7. 색계(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8. 무색계(無色界)의 선심(善心)
  9. 무색계(無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10. 무색계(無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11. 불계(不界)의 학무루심(學無漏心)
  12. 불계(不界)의 무학무루심(無學無漏心)

구사론》을 포함한 불교 일반에 따르면, 색계무색계에는 불선심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번뇌 가운데 불선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 유부무기만 존재한다.[1] 번뇌불선()과 유부무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번뇌잡염이라고도 한다. 무부무기번뇌(잡염)가 아니며 또한 (善)도 아니며 무루도 아니다.

12심

[편집]
  1. 욕계(欲界)의 선심(善心): 욕계선한 마음
  2. 욕계(欲界)의 불선심(不善心): 욕계악한 마음
  3. 욕계(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욕계유부무기마음
  4. 욕계(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욕계무부무기마음
  5. 색계(色界)의 선심(善心): 색계선한 마음
  6. 색계(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색계유부무기마음
  7. 색계(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색계무부무기마음
  8. 무색계(無色界)의 선심(善心): 무색계선한 마음
  9. 무색계(無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무색계유부무기마음
  10. 무색계(無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무색계무부무기마음
  11. 불계(不界)의 학무루심(學無漏心): 유학(有學)의 성자무루심(無漏心): 예류향에서 아라한향까지의 성자출세간마음
  12. 불계(不界)의 무학무루심(無學無漏心): 무학(無學)의 성자무루심(無漏心): 아라한 즉 '아라한과성자'의 출세간마음

선심 · 불선심 · 유부무기심 · 무부무기심 · 무루심

[편집]

부파불교

[편집]

부파불교설일체유부마음작용의 구분 즉 심소의 구분에 따르면, 선심 · 불선심 · 유부무기심 · 무부무기심 · 무루심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대승불교

[편집]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마음작용의 구분 즉 심소의 구분에 따르면, 선심 · 불선심 · 유부무기심 · 무부무기심 · 무루심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참고 문헌

[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1. 佛門網, "十二心". 2013년 4월 30일에 확인
    "十二心: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dvādaśa cittāni, dvādaśa-vidhasya vijñānasya.
    頁數: P.365 - P.368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俱舍論七卷八頁云:前已總說諸心心所、前能為後等無間緣。未決定說,何心無間,有幾心生?復從幾心,有何心起?今當定說。謂且略說:有十二心。云何十二?頌曰:欲界有四心。善惡覆無覆。色無色除惡。無漏有二心。論曰:且於欲界,有四種心。謂善、不善、有覆無記、無覆無記。色無色界,各有三心。謂除不善。餘如上說。如是十種,說有漏心。若無漏心;唯有二種。謂學無學。合成十二。"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佛門網"[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29682E58D81E4BA8CE5BF83 十二心]". 2013년 4월 30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