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삼론현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론현의》(三論玄義)는 수나라(隋: 581~618)의 삼론종(三論宗)을 대성(大成)한 가상대사(嘉祥大師) 길장(吉藏: 549~623)의 저서로, 597년경에 저술되었다고 한다.[1]중론》(中論)·백론》(百論)·십이문론》(十二門論)의 삼론의 요점을 모은 책이다. 불교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개요

[편집]

길장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420~589)의 삼론 연구를 계승하여 조직화하고 대성한 승려로, 《삼론현의》는 삼론에 대한 체계적 저술이다.[1] 삼론인도 중관불교(中觀佛敎)의 대표적 논서인 용수(龍樹)의 《중론》(中論)과 《십이문론》(十二門論) 그리고 용수의 제자인 제바(提婆)의 《백론》(百論)의 세 가지 논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 세 가지 논에 입각해 성립된 종파가 삼론종(三論宗)이다.[1]

내용

[편집]

《삼론현의》는 파사(破邪: 사악함을 깨뜨림)가 현정(顯正: 진실을 나타냄)으로 된다는 것을 기본적인 입장 및 특색으로 하고 있다.[1]

제1편의 〈통서대귀(通序大歸)〉는 파사와 현정으로 나뉘어 있다.[1] 파사에서는 외도(外道)의 가르침, 논장(論藏)을 받드는 비담종(毘曇宗)의 학설, 권대승(權大乘: 대승 중의 예비적인 것)으로 지목되는 성실종(成實宗) 학설 등을 비판한다.[1] 현정에 있어서는 삼론종의 시조(始祖) 용수(龍樹)의 출현 이유와, 삼론종이 선양하는 진리의 올바른 관찰을 역설하고 있다.[1]

제2편의 〈별석중품(別釋衆品)〉은 중도(中道) · 이제(二諦) · 무득정관(無得正觀) 등과 같은 삼론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를 설명하여 보이고 있는데, 삼론의 입장에서 본 불교 개론이라 할 수 있다.[1]

각주

[편집]

참고 문헌

[편집]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