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적 위상수학 에서 오일러 특성류 (Euler特性類, 영어 : Euler characteristic class )는 유향 실수 벡터 다발 에 의하여 정의되는 특성류 이다. 거칠게 말해 벡터 다발이 얼마나 ‘뒤틀려 있는지’를 나타낸다. 다양체 의 접다발 의 오일러 특성류는 오일러 지표 와 같다.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유클리드 공간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을 올로 하는
X
{\displaystyle X}
위의 벡터 다발
E
{\displaystyle E}
와 사영
π
:
E
→
X
{\displaystyle \pi \colon E\to X}
E
{\displaystyle E}
위에 정의된 방향 . 다시 말해 각
x
∈
X
{\displaystyle x\in X}
에 대하여 정수 계수 상대 코호몰로지 류
H
n
(
E
x
,
E
x
∖
{
0
}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n}(E_{x},E_{x}\setminus \{0\};\mathbb {Z} )}
를 부여하며 이 대응은 연속적이다.
E
∖
X
=
⋃
x
∈
X
(
E
x
∖
{
0
E
x
}
)
{\displaystyle E\setminus X=\bigcup _{x\in X}(E_{x}\setminus \{0_{E_{x}}\})}
로 정의하면, 방향으로부터 톰 동형 [ 1] :97, §9
ϕ
:
H
∙
(
X
;
Z
)
→
H
∙
+
n
(
E
,
E
∖
X
;
Z
)
{\displaystyle \phi \colon \operatorname {H} ^{\bullet }(X;\mathbb {Z} )\to \operatorname {H} ^{\bullet +n}(E,E\setminus X;\mathbb {Z} )}
ϕ
:
x
↦
(
π
∗
x
)
⌣
u
{\displaystyle \phi \colon x\mapsto (\pi ^{*}x)\smile u}
가 존재하므로 정수 계수 상대 코호몰로지 류
u
∈
H
n
(
E
,
E
∖
X
;
Z
)
{\displaystyle u\in \operatorname {H} ^{n}(E,E\setminus X;\mathbb {Z} )}
를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사상
C
∙
(
X
)
↪
C
∙
(
E
)
↠
C
∙
(
E
)
/
C
∙
(
E
∖
X
)
{\displaystyle C_{\bullet }(X)\hookrightarrow C_{\bullet }(E)\twoheadrightarrow C_{\bullet }(E)/C_{\bullet }{(E\setminus X)}}
에 의한 코호몰로지끼리의 사상
H
n
(
E
,
E
∖
X
;
Z
)
→
q
∗
H
n
(
E
)
→
π
−
1
∗
H
n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n}(E,E\setminus X;\mathbb {Z} ){\overset {q^{*}}{\to }}\operatorname {H} ^{n}(E){\overset {{\pi ^{-1}}^{*}}{\to }}\operatorname {H} ^{n}(X)}
가 존재하는데, 이를 통해 코호몰로지류
π
−
1
∗
q
∗
u
∈
H
n
(
X
;
Z
)
{\displaystyle {\pi ^{-1}}^{*}q^{*}u\in \operatorname {H} ^{n}(X;\mathbb {Z} )}
를 만들 수 있으며 이를
E
{\displaystyle E}
의 오일러 특성류
e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e} (E)}
로 정의한다.[ 1] :98, §9
오일러 특성류는 다른 특성류 와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공리적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함자성 : 임의의 두 유향 실수 벡터 다발
E
↠
X
{\displaystyle E\twoheadrightarrow X}
,
E
↠
Y
{\displaystyle E\twoheadrightarrow Y}
및 향을 보존하는 연속 올다발 사상
F
→
E
{\displaystyle F\to E}
에 대하여,
e
(
F
)
=
(
f
↾
Y
)
∗
e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e} (F)=(f\upharpoonright Y)^{*}\operatorname {e} (E)}
.
합에 대한 분해: 임의의 두 유향 실수 벡터 다발
E
↠
X
{\displaystyle E\twoheadrightarrow X}
,
E
↠
X
{\displaystyle E\twoheadrightarrow X}
에 대하여,
e
(
E
⊕
F
)
=
e
(
E
)
⌣
e
(
F
)
{\displaystyle \operatorname {e} (E\oplus F)=\operatorname {e} (E)\smile \operatorname {e} (F)}
.
만약
E
{\displaystyle E}
에 반대 방향을 부여한 것을
E
¯
{\displaystyle {\bar {E}}}
라고 한다면,
e
(
E
¯
)
=
−
e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e} ({\bar {E}})=-\operatorname {e} (E)}
또한, 오일러 특성류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만약
E
{\displaystyle E}
가 어디서도 0이 아닌 단면 을 갖는다면,
e
(
E
)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e} (E)=0}
즉, 오일러 특성류는 실수 벡터 다발 이 어디서도 0이 아닌 단면 을 갖는 것의 방해물이다. 그러나 오일러 특성류는 어디서도 0이 아닌 단면 의 존재의 필수 조건 이지만 충분 조건 이 아니다.[ 2] :Example 23.16
표준적 몫환 준동형
(
+
2
Z
)
:
Z
→
Z
/
2
Z
=
F
2
{\displaystyle (+2\mathbb {Z} )\colon \mathbb {Z} \to \mathbb {Z} /{2\mathbb {Z} }=\mathbb {F} _{2}}
으로 유도되는 사상
(
+
2
Z
)
∗
:
H
∙
(
X
;
Z
)
→
H
∙
(
X
;
F
2
)
{\displaystyle (+2\mathbb {Z} )_{*}\colon \operatorname {H} ^{\bullet }(X;\mathbb {Z} )\to \operatorname {H} ^{\bullet }(X;\mathbb {F} _{2})}
아래, 오일러 특성류의 상 은 최고차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이다.
(
+
2
Z
)
∗
e
(
E
)
=
w
n
(
E
)
{\displaystyle (+2\mathbb {Z} )_{*}\operatorname {e} (E)=\operatorname {w} _{n}(E)}
임의의
k
{\displaystyle k}
차원 복소수 벡터 다발
E
{\displaystyle E}
는
2
n
{\displaystyle 2n}
차원 유향 실수 벡터 다발로 여길 수 있다. 이 경우, 오일러 특성류는 최고차 천 특성류 와 같다.
e
(
E
)
=
c
n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e} (E)=\operatorname {c} _{n}(E)}
2
n
{\displaystyle 2n}
차원 유향 벡터 다발
E
{\displaystyle E}
의 오일러 특성류의 제곱은 최고차 폰트랴긴 특성류 와 같다.
e
(
E
)
⌣
e
(
E
)
=
p
n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e} (E)\smile \operatorname {e} (E)=\operatorname {p} _{n}(E)}
M
{\displaystyle M}
이
n
{\displaystyle n}
차원 연결 유향 매끄러운 다양체 라고 하자. 그렇다면, 그 접다발
T
M
{\displaystyle \operatorname {T} M}
은 유향 실수 매끄러운 벡터 다발 이다. 그 오일러 특성류와 기본류
[
M
]
∈
H
n
(
M
;
Z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H} _{n}(M;\mathbb {Z} )}
의 교곱 은
H
0
(
M
;
Z
)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H} _{0}(M;\mathbb {Z} )\cong \mathbb {Z} }
의 원소이며 그 값은 오일러 지표 와 같다.
[
M
]
⌢
e
(
T
M
)
=
χ
(
M
)
{\displaystyle [M]\frown \operatorname {e} (\mathrm {T} M)=\chi (M)}
다시 말해 오일러 특성류는 오일러 지표의 일반화라 할 수 있다.
르네 톰
르네 톰 은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를 일반화한 특성류가 오일러 지표 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출처 필요 ] .[ 3] 그 이후 ‘오일러 특성류’라는 이름이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