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고리문어속
파란고리문어 | ||
---|---|---|
파란고리문어(Hapalochlaena lunulata)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연체동물문 | |
강: | 두족강 | |
목: | 문어목 | |
과: | 문어과 | |
속: | 파란고리문어속 (Hapalochlaena) Robson, 1929 | |
종 | ||
|
파란고리문어(Blue Ringed Octopus) 또는 푸른점문어는 남태평양의 따뜻한 물에 사는 문어인데, 주로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고 산다. 이 동물은 테트로도톡신이란 독이 있으며, 이 독성물질은 다른 바다생물인 복어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사람이 만약 이 독성물질에 전염된다면 두통, 복통, 호흡곤란, 입술과 혀가 마비되는 마비 증세를 일으키게 되고 심한 경우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푸른점문어는 문어 종류에서는 작은 종에 속한다. 한편, 이 동물은 항상 먹이를 잡을 때 먹물을 뿜어 잡는다. 원피스에서 등장하는 신 어인 해적단의 효조가 이 동물에서 모티브를 따온 인어다.
분류
[편집]이 속은 1929년 영국 동물학자 가이 코번 롭슨에 의해 기술되었다. 확인된 4종의 하팔로클레나가 있으며, 6종의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설명되지 않은 종이 연구되고 있다.
- 푸른고리문어 ( Hapalochlaena lunulata )
- 남방푸른고리문어 또는 작은 파란고리문어 ( Hapalochlaena maculosa )
- 파란 줄 문어 ( Hapalochlaena fasciata )
- Hapalochlaena nierstraszi는 1938년 벵골 만에서 발견된 단일 표본으로부터 1938년에 기록 및 기술되었으며 , 두 번째 표본은 2013년에 포착 및 기술되었다.
생활
[편집]파란고리문어는 대부분의 시간을 틈새에 숨어 지내면서 피부 색소 세포로 효과적인 위장 패턴을 보여준다 . 모든 문어와 마찬가지로 모양을 쉽게 바꿀 수 있어 자신보다 훨씬 작은 틈새에 들어갈 수 있다. 이는 은신처 입구 밖에 돌을 쌓는 행동과 함께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먹이
[편집]파란고리문어는 종종 물고기와 갑각류를 먹는다. 먹이에게 달려들어 팔로 잡아 입 쪽으로 잡아당긴다. 뿔 달린 부리로 질긴 게나 새우의 외골격을 뚫고 독을 내뿜는다. 독은 움직임에 필요한 근육을 마비시켜 효과적으로 먹이를 죽인다.
분포
[편집]일반적으로 일본의 오가사와라 제도, 류큐 열도 이남[1]의 태평양에서 호주까지 서쪽 태평양 열대 지역,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얕은 바다의 암초, 산호초, 모래 바닥에 서식한다. 그러나 해수 온도의 상승으로 분포 북방 한계가 북쪽으로 계속 가서 1999년에는 오사카에서의 포획이 기록되어 있다.[2]
2009년에 들어서는 규슈 북부의 후쿠오카 현, 사가현, 나가사키 현, 오이타 현에서 많은 목격되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은 경계를 요하고 있다.[3] 또한 동해와 하마나호의 포획이나 목격도 보고되고 있다.[4][5]
대한민국에서는 2012년 제주 북부 연안에서 발견되었고[6], 2014년 5월 30일 애월읍 인근의 5m 수심 암초에서 발견되었으며[7], 2015년 6월 10일 제주 북서부 협재해수욕장 인근 갯바위에서 발견되었다.[8][9] 2017년 6월 7일에는 내륙인 거제시 일운면 구조라해수욕장 방파제 인근에서도 발견되었다.[10]
특징
[편집]몸길이는 10cm 정도의 작은 문어이다. 다른 문어처럼 몸 색깔을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주변의 바위와 해초로 위장하지만, 자극을 받으면 파란색 원과 선 무늬가 있는 밝은 노란색으로 변한다. 이 때문에 '파란고리문어'라는 이름이 붙었다. 다른 문어처럼 육식성으로 게와 새우를 먹이로 하지만, 잡을 수 있다면 어류도 먹는다. 또한 야생에서 관찰된 것은 아니지만, 실험실에서는 동족끼리도 서로 잡아먹는다. 인간이 만지거나 접근하는 경우는 물어뜯을 수도 있다. 수컷과 암컷이 만나면 수컷은 암컷의 외투막을 잡고 정자낭을 전달하는 교접 팔을 외투막 위강에 여러 번 삽입한다. 교미는 암컷에 충분히 정자낭이 들어갈 때까지 계속된다. 가을이 끝날무렵 암컷은 일생에 한 번만 5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알을 낳자마자 암컷은 촉수로 붙잡는다. 이 상태가 6개월 계속되며, 이 기간동안 암컷은 식량을 먹지 않고 알이 부화되면 암컷은 체력을 탕진하여 수명을 끝내지만, 유생은 다음 해에 성장하여 짝짓기를 할 수 있게 된다.
아래처럼 방어, 공격, 먹이 포획에 독을 이용하도록 진화되어 있다. 파란고리문어의 빨판은 작고 가냘프며, 수미에 저장하는 먹물 주머니도 퇴화되어 있다. 수영은 서투르며, 대부분 해저를 천천히 기어 다닌다. 강력한 사냥감을 제압하거나, 먹물을 토해내서 적으로부터 도망칠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위험이 닥치거나, 흥분하면, 선명한 파란색 고리 문양의 경고색을 발함으로써 독이 있는 생물임을 알리고 외적을 위협한다.
독성
[편집]파란고리문어는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성인 인간 26명을 몇 분 안에 죽일 수 있는 독을 가지고 있다. 물어도 종종 통증이 없으며 많은 희생자들이 호흡 억제 와 마비가 시작될 때까지 자신이 중독 되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파란고리문어 독의 해독제는 없다.
독
[편집]테트로도톡신, 히스타민, 트립타민, 옥토파민, 타우린, 아세틸콜린, 도파민을 함유한 독을 생산한다. 독은 메스꺼움, 호흡 정지, 심부전, 중증 및 때로는 완전한 마비, 실명을 유발할 수 있으며 치료하지 않으면 몇 분 안에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로막의 마비로 인한 질식으로 인해 사망한다.
독은 문어의 후부 침샘에서 생성된다. 타액선은 세뇨관 외분비 구조를 가지며 장의 혈액 공간에 위치한다.
파란 고리 문어의 주요 신경독 성분은 원래 마큘로톡신으로 알려졌으나 나중에 테트로도톡신과 동일한 화합물로 밝혀졌다. 테트로도톡신은 나트륨 채널을 차단하여 노출 후 몇 분 안에 운동 마비와 호흡 정지를 유발한다. 문어 자체의 나트륨 채널은 테트로도톡신에 저항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테트로도톡신은 문어의 침샘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된다.
독에 당하려면 직접적인 접촉이 있어야 한다. 위험에 직면했을 때, 문어의 첫 번째 본능은 도망가는 것이다. 위협이 지속되면 문어는 방어 자세를 취하고 파란색 고리를 표시한다. 문어가 구석에 있을 때 만지면 공격자를 물고 독을 퍼뜨릴 수 있다.
푸른 고리 문어에 의한 기록된 사망자 수의 추정치는 7명에서 16명까지 다양하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적어도 11명은 사망했다고 주장한다.
테트로도톡신은 신체의 거의 모든 기관에서 발견할 수 있으나 문어의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어미는 알에 신경독을 주입하여 알이 부화하기 전에 스스로 독을 생성하도록 한다.
효과
[편집]테트로도톡신은 심각하고 종종 전신 마비를 일으킨다. 테트로도톡식은 중독자가 주변 환경을 인식할 수는 있지만 움직일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마비 때문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고통을 표현할 수도 없다.
증상의 정도는 다양하며 어린 아이는 몸집이 작기 때문에 가장 위험하다.
치료
[편집]응급 처치는 마비로 인해 피해자의 호흡 근육이 무력화되면 상처에 압력을 가하고 인공 호흡을 하는 것이다. 독은 주로 마비를 통해 죽이기 때문에 현저한 청색증과 저혈압이 발생 하기 전에 인공 호흡을 시작하고 유지하면 희생자를 구하는 경우가 많다 . 의료 지원이 도착할 때까지 호흡 지원을 하면 피해자의 생존 가능성이 높아진다. 확실한 병원 치료는 몸에서 독소가 제거될 때까지 환자를 인공 호흡기에 배치하는 것이다. 처음 24시간 동안 살아남은 피해자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회복된다.
보존
[편집]현재 푸른 고리 문어 개체군 정보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라 최소 관심 대상으로 등재되어 있다. 생물학적 탐사, 서식지 분열, 황폐화, 남획, 인간 교란과 같은 위협과 수족관 거래를 위한 종 수집은 개체 수에 위협이 될 수 있다. Hapalochlaena는 해양 보존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문어 속은 서식지 생물 다양성의 안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해양 먹이 사슬의 균형을 확장한다. 다양한 종의 푸른 고리 문어가 개체 수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푸른 고리 문어가 생성하는 테트로도톡신에 대한 향후 연구는 새로운 의학적 발견을 가져올 수 있다.
종
[편집]- 파란고리문어 (Hapalochlaena lunulata)
- 남방파란고리문어 또는 작은파란고리문어 (Hapalochlaena maculosa)
- 파란선문어 (Hapalochlaena fasciata)
각주
[편집]- ↑ 上里博、海洋危険生物による皮膚障害(III) 西日本皮膚科 Vol.75 (2013) No.2 p.154-163, doi 10.2336/nishinihonhifu.75.154
- ↑ 有山啓之、『大阪湾で採集されたヒョウモンダコ』 南紀生物 41(1), 23-26, 1999-06
- ↑ “猛毒タコ九州北上、かまれると死ぬことも 読売新聞 2010년 7월 22일 2010년 7월 23일 확인”. 2010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7일에 확인함.
- ↑ ヒョウモンダコ 「殺人ダコ」日本海北上 温暖化影響か Archived 2016년 2월 26일 - 웨이백 머신 毎日新聞 2016년 2월 22일 東京夕刊
- ↑ 浜名湖で猛毒のタコ相次いで見つかる Archived 2016년 12월 16일 - 웨이백 머신 - NHK NEWS WEB(12월 16일 13시 20분 갱신/2016년 12월 16일 확인)
- ↑ 제주연안 「파란고리문어」조심하세요![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국립수산과학원, 2012년 11월 28일 보도자료
- ↑ 제주 연안, 맹독성‘ 파란고리문어’ 또다시 출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국립수산과학원, 2014년 6월 22일 보도자료
- ↑ 아열대성 맹독문어 물림사고 처음으로 발생[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국립수산과학원, 2015년 6월 29일 보도자료
- ↑ 파란고리문어, YTN, 2014년 6월 24일자, 2016년 6월 7일 확인
- ↑ 거제 연안서 맹독성 '파란고리문어' 발견, 뉴시스, 최운용 기자, 2017년 6월 7일자
외부 링크
[편집]- 파란고리문어 (Hapalochlaena spec.)
- PBS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