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등쪽어깨신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등쪽어깨신경
앞에서 본 오른쪽 팔신경얼기. 등쪽어깨신경은 'Dorsalis scapulae'로 그림의 왼쪽에 위에서 두 번째로 표시되어 있다.
정보
기원팔신경얼기의 C5
분포 구조큰마름근, 작은마름근, 어깨올림근
식별자
라틴어nervus dorsalis scapulae
영어dorsal scapular nerve
TA98A14.2.03.011
TA26409
FMA65279

등쪽어깨신경(dorsal scapular nerve) 또는 견갑배신경(肩胛背神經)은 팔신경얼기의 가지로, 큰마름근, 작은마름근, 어깨올림근에 분포한다. 신경은 어깨뼈척주 쪽, 즉 안쪽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등쪽어깨신경 증후군은 날개어깨뼈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고 움직임을 제한시킨다.

구조

[편집]

등쪽어깨신경은 팔신경얼기가 기원이며 보통 팔신경얼기 뿌리(척수신경 C5앞가지)에서 시작된다.[1][2][3] C5를 떠난 후 등쪽어깨신경은 보통 중간목갈비근을 관통하고, 어깨올림근과 마름근의 깊은 쪽에서 계속된다.[1]

등쪽어깨동맥이 동반하여 주행한다.[4]

기능

[편집]

등쪽어깨신경은 마름근으로 가는 운동신경 성분을 운반한다. 이로 인해 어깨뼈척주를 향해 안쪽으로 당겨진다. 또한 어깨올림근에도 운동신경으로서 분포한다. 어깨올림근은 어깨뼈를 올리는 작용을 한다.[2][3] 이 작용은 어깨뼈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5]

임상적 중요성

[편집]

등쪽어깨신경 손상은 손상된 쪽의 어깨뼈가 정상 상태의 어깨뼈보다 정중선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하고 있을 때 시진을 통해 보통 판단할 수 있다. 환자는 어깨를 뒤쪽으로 당기는 게 불가능할 수 있다. 등쪽어깨신경만이 손상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고, 목갈비근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보통 보고된다.[6]

빗장위(supraclavicular) 신경 차단 시에는 일반적으로 마취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수술 뒤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7]

등쪽어깨신경 증후군

[편집]

등쪽어깨신경 증후군(dorsal scapular nerve syndrome) 또는 견갑배신경 증후군신경 압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날개어깨뼈가 가장 흔한 증상이다. 어깨 통증도 나타날 수 있다. 신경이 분포하는 큰마름근, 작은마름근, 어깨올림근은 쇠약해진다. 움직임의 범위 역시 제한될 수 있다. 치료는 주로 보존요법을 시행한다.[8]

추가 이미지

[편집]

각주

[편집]
  1. Tubbs, R. Shane; Goodrich, Dylan; Watanabe, Koichi; Loukas, Marios (2015년 1월 1일),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편집., “Chapter 43 - Anatomic Landmarks for Selected Nerves of the Head, Neck, and Upper and Lower Limbs”, 《Nerves and Nerve Injuries》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575–588쪽, doi:10.1016/b978-0-12-410390-0.00045-7, ISBN 978-0-12-410390-0, 2020년 11월 2일에 확인함 
  2. Felten, David L.; O'Banion, M. Kerry; Maida, Mary Summo (2016), “Peripheral Nervous System”, 《Netter's Atlas of Neuroscience》 (영어) (Elsevier), 153–231쪽, doi:10.1016/b978-0-323-26511-9.00009-6, ISBN 978-0-323-26511-9, 2020년 11월 2일에 확인함 
  3. Ma, Yun-tao (2011년 1월 1일), Ma, Yun-tao, 편집., “CHAPTER 8 - Neuroanatomy of Acu-Reflex Points”, 《Acupuncture for Sports and Trauma Rehabilitation》 (영어) (Saint Louis: Churchill Livingstone), 88–131쪽, doi:10.1016/b978-1-4377-0927-8.00008-7, ISBN 978-1-4377-0927-8, 2020년 11월 2일에 확인함 
  4. Chang, Ke-Vin; Lin, Chih-Peng; Lin, Chia-Shiang; Wu, Wei-Ting; Karmakar, Manoj K; Özçakar, Levent (2017년 1월 4일). “Sonographic tracking of trunk nerves: essential for ultrasound-guided pain management and research”. 《Journal of Pain Research》 10: 79–88. doi:10.2147/JPR.S123828. ISSN 1178-7090. PMC 5222601. PMID 28115867. 
  5. Loftus, Brian; Athni, Sudhir; Cherches, Igor (2010년 1월 1일). 〈Chapter 2 - Clinical Neuroanatomy〉. 《Neurology Secrets》 (영어) 5판. Mosby. 18–54쪽. doi:10.1016/b978-0-323-05712-7.00002-7. ISBN 978-0-323-05712-7. 
  6. Akuthota, Venu; Herring, Stanley A. (2009년 5월 28일). 《Nerve and Vascular Injuries in Sports Medicin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0387766003 – Google Books 경유. 
  7. Williams, Brain A.; Neumann, Krystof J.; Goel, Shiv K.; Wu, Christopher L. (2008). 〈14 - Postoperative Pain and Other Acute Pain Syndromes〉. 《Raj's Practical Management of Pain》 (영어) 4판. Mosby. 299–334쪽. doi:10.1016/B978-032304184-3.50017-0. ISBN 978-0-323-04184-3. 
  8. Rea, Paul (2015년 1월 1일). 〈Chapter 2 - Upper Limb Nerve Supply〉. 《Essential Clinically Applied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the Limbs》 (영어). Academic Press. 41–100쪽. doi:10.1016/B978-0-12-803062-2.00002-4. ISBN 978-0-12-803062-2. 

외부 링크

[편집]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