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강아지
땅강아지 | |
---|---|
중국 저장성에서 촬영된 땅강아지.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아강: | 유시아강 |
하강: | 신시하강 |
목: | 메뚜기목 |
과: | 땅강아지과 |
속: | 땅강아지속 |
종: | 땅강아지 |
학명 | |
Gryllotalpa orientalis | |
Burmeister, 1838[1] | |
보전상태 | |
미평가(NE): 아직 평가가 이루어진 바 없음 [2]
|
땅강아지(학명: Gryllotalpa orientalis)[3]는 땅강아지과 땅강아지속의 곤충으로,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널리 발견된다. 하늘밥도둑, 강고(江蛄), 간단히 고(蛄)라고도 한다. 예전에 아프리카땅강아지(Gryllotalpa africana)와 혼동된 적이 있었으나 1980년대 이후로는 별도의 종으로 재분류되었다.[4] 작물의 뿌리를 갉아먹고, 땅 속에 굴을 파 식물의 뿌리가 들뜨게 해 말라죽게 하는 토양 해충이다.[5][6] 그러나 땅강아지는 장 기능과 관련된 질환에 다양하게 이용됨이 확인됐고, 특히 말려 가루를 내 복용하면 변비 치료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7][8][9]
특징
[편집]몸 전체가 미세한 털로 덮여 있어 땅 속에서도 흙이 묻어나지 않는다. 머리와 가슴이 일체형으로 경계가 불분명하며, 날개가 작아 퇴화된 것처럼 보이지만 문제없이 잘 날아다닌다. 앞다리는 땅을 잘 팔 수 있도록 불도저 날처럼 넓적하게 발달했다. 이 앞다리는 주로 땅을 팔 때 사용하지만 물에서 헤엄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5~7월에 산란하여 애벌레가 3령이 될 때까지 돌보는 모성애를 보인다. 밤에 불빛에 날아들기도 한다. 들판이나 풀숲, 산 등지에 흔하게 분포한다.[10] 수컷은 밤에 굴 속에서 '비이이이~'하는 울음소리를 내기도 한다.[11] 서울시 보호야생생물로 지정되어 있지만[12] 적당한 토양이 갖추어진 곳이라면 쉽게 볼 수 있다.[13]
방언
[편집]땅강아지는 땅개비, 도루래, 돌도래, 하늘강아지, 하늘밥도둑, 꿀도둑, 누고라고도 한다.[14]
각주
[편집]- ↑ 국립생물자원관. “땅강아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한민국 환경부.
- ↑ “Gryllotalpa orientalis — Overview”. 《Encyclopedia of Life》 (영어). 2012년 2월 28일에 확인함.
IUCN threat status: Not evaluated
- ↑ “땅강아지”.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12년 3월 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Mole Cricket Knowledgebase”. 2010년 6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땅강아지 기르기”. 킨섹트. 2012년 3월 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AgroAtlas
- ↑ [1]
- ↑ [2]
- ↑ [3]
- ↑ 이대암 (2011년 7월 30일). 《우리 곤충 200가지》. 모두북스. 286쪽. ISBN 9788999615900.
- ↑ 귀뚜라미 소리 : 한국 자생생물 소리도감 - 곤충 2-표지 국립생물자원관 소리도감,
- ↑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지정,관리”. 2015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김태우 (2011년 12월). 《한국 자생생물 소리도감-한국의 귀뚜라미 소리》. 국립생물자원관. 152쪽.
- ↑ 한국의 메뚜기, 땅강아지.
이 글은 곤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