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쇼와 난카이 지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쇼와 난카이 지진
쓰나미가 휩쓸고 지나간 도쿠시마현 무기정의 마을
쇼와 난카이 지진은(는) 일본 안에 위치해 있다
쇼와 난카이 지진
본진
UTC 시각1946-12-20 19:19:10
ISC 지진번호898698
USGS-ANSSComCat
현지일1946년 12월 21일
현지시간오전 4시 19분 (JST)[2]
규모   일본 기상청 규모 (Mj)[2] 8.0
모멘트 규모 Mw 8.1-8.4
최대 진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진도 6 : 구마노시
진원 깊이24[2] km
진앙일본 기이반도 해역[2]
북위 33° 00′ 동경 135° 36′ / 북위 33.0° 동경 135.6°  / 33.0; 135.6[1]
종류해구형지진[3], 역단층형 지진
여진
최대여진1948년 4월 18일 규모 M7.0 최대진도4 지진[4]
피해
피해 지역일본 태평양 연안
지진해일최대 4-6 m 쓰나미 관측
사상자1,362명 사망, 2,632명 부상, 102명 실종[5]

쇼와 난카이 지진(昭和南海地震 (しょうわなんかいじしん) 쇼와난카이지신[*])은 1946년 12월 21일 4시 19분 시오노미사키곶 남쪽 앞바다 78km 지점에서 일어난 일본 기상청 규모 Mj8.0(모멘트 규모 Mw8.4)의 지진이다.[2] 1946년 난카이 지진(1946年南海地震)이나 일본에선 짧게 난카이 지진(南海地震)이라고도 한다.[6] 필리핀해판유라시아판 아래로 침강하면서 만들어진 난카이 해곡을 따라 일어난 전형적인 해구형지진이다.[3] 이 지진으로 서남일본 지역이 쓰나미의 피해를 입었다.

난카이 해곡에선 주기적으로 거대지진이 일어나고 있으며,[7] 안세이 난카이 지진이 일어난 지 92년 만에 일어난 지진이다. 또한 난카이 지진 2년 전인 1944년엔 쇼와 도난카이 지진이 일어났다. 도난카이 지진이 일어난 후 이마무라 아키쓰네는 "호에이 지진안세이 도카이/난카이 지진은 도카이에서 난카이까지 광범위한 단층이 있었으나 (1944년의 지진은) 도카이도 방면만 단층이 생겨 난카이 지역 단층도 주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이에 주목한 사람은 없었다.[8][9]

1940년대 일본에는 1943년 돗토리 지진, 1945년 미카와 지진 등 사망자 1,000명인 지진이 잇달아 일어나 이를 묶어 태평양 전쟁 종전 전후 4대 지진이라 부른다.[10]

진도

[편집]
일본 각지의 관측소에서 관측한 진도를 표시한 지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진도4 이상을 느낀 지역은 다음과 같다.[2]

진도 지방 관측소
6 (위탁관측소) 사이다이지오쿠구마노고제쓰다시모타카세노네・하하지마섬(오키노시마섬)
5 호쿠리쿠 지방 후쿠이시
도카이 지방 기후시쓰시오와세시
긴키 지방 히코네시스모토시가시하라시와카야마시구시모토정
주고쿠 지방 사카이미나토시
시코쿠 지방 도쿠시마시다카마쓰시다도쓰정무로토시고치시스쿠모시
규슈 지방 오이타시
4 간토 지방 구마가야시
고신 지방 고후시스와시이다시
호쿠리쿠 지방 조에쓰시쓰루가시
도카이 지방 나고야시가메야마시이가시
긴키 지방 미야즈시교토시오사카시고베시
주고쿠 지방 돗토리시요나고시마쓰에시하마다시오키노시마정오카야마시후쿠야마시
시코쿠 지방 마쓰야마시우와지마시
규슈 지방 운젠시미나미아소촌구마모토시히토요시시미야자키시

고치 기상소에 기록된 진동 시간은 약 9분이었으나 매우 심하게 흔들린 시간은 약 1-2분 정도이다. 하지만 실제 지진을 경험한 사람의 증언에 따르면 9분간 강하게 흔들렸다는 말이 나와 이는 지진에 대한 공포심으로 길게 느낀 것으로 추정한다.[11] 고치에서 느낀 초기 지진 미동은 18.2초이다.[12]

일본 중앙기상대가 관측한 최대 진동은 진도5(강진)으로, 시코쿠에서부터 기이반도, 도카이 지방, 호쿠리쿠 지방, 사카이미나토, 오이타 지방 등 광범위한 범위에서 강한 진동을 느꼈다. 홋카이도모리정에선 진도1(미진)을, 우라카와정에선 진도3(약진)을 기록했다. 또한 위탁관측소의 기록에선 시코쿠에서 아와지섬, 기이반도 일부에서 진도6(열진)을 느꼈다고 보고했다.[13][14]

지진의 특징

[편집]

규모

[편집]

일본 기상청 규모(Mj)는 8.0을 기록하였다.[2] 약 20초 주기의 표면파 규모는 Ms8.2이며,[15][16] 모멘트 규모(Mw)는 8.1에서[16] 최대 8.4로 추정된다.[17][18] 쇼와 난카이 지진의 규모는 다른 시대의 난카이 지진과 비교했을 때 규모가 작은 편이다.[19]

지진 단층의 매개변수는 길이 L=120km, 폭 W=80km, 미끄럼량 D=3.1m[3] 또는 L=150km, W=70km, D=6.0m(도사만)과 L=150km, W=70km, D=3.0m(기이 수도) 2개로 나눠진다는 설[17]이 있다. 지진 모멘트 M0은 1.5×1021N·m[3]나 4.7×1021N·m,[17] 5.3×1021N·m[18] 등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진 모멘트 값이 추정치마다 최대 3배 정도 다르지만, 히로 카나모리의 최소추정치[3]는 1944년 도난카이 지진과 같은 추정치로 지상에서 지각변동 측정 결과 30-50% 정도 큰 단층으로 추정된다고 밝혔고 마사타카 안도의 추정치[17]는 해구 진원역은 고각도의 단층이 생겨 주단층의 지진 모멘트가 30% 정도 적을 수 있다는 오차 범위가 큰 추정치라 밝혔다.

진원기구 분석

[편집]
쇼와 난카이 지진의 주요 단층 모델

쇼와 난카이 지진은 단순 판 경계간 지진이 아닌 분기단층(splay fault)이 미끄러져 일어난 복합지진으로, 판 경계의 파괴는 기이반도 해역에서 시작하여 무로토곶 동쪽 해역에서 끝났으나 무로토곶 서쪽의 분기단층이 연속해서 계속 미끄러졌다.[17] 무로토곶 해역에서 단층 파괴가 바뀐 지점에선 1999년 지질 조사를 통해 높이 약 3km, 폭 50km 정도로 침강한 해산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20]

지진 파형을 기반으로 한 추정에선 최초 시오노미사키곶 남쪽 50km 해역 지점에서 사건1(규모 M6 정도)이 일어난 후 북북서쪽으로 단층 파괴가 전달되며 16초후 기이 수도 해역에서 판 경계간 미끄럼인 사건2(규모 M8.0 정도)가 일어나 서쪽으로 파괴가 전달되어 53초 후 도사만에 있는 분기단층이 미끄러지는 사건3(규모 M8.0 정도)가 일어났다 추정한다.[21] 하지만 관측한 쓰나미를 바탕으로 추정한 파원역의 관측 정밀도가 낮아 정확한 진원을 찾기가 어렵고, 여진 분포를 통한 진원역 분석과는 차이가 꽤 난다는 비판도 있다.[22]

단층 파괴가 시작된 진원은 1944년 도난카이 지진의 진원과 인접해 있고 이 진원에서 난카이 지진은 서쪽으로, 도난카이 지진은 동쪽으로 단층이 파괴되어 간 것으로 추정된다.[23]

여진

[편집]

쇼와 난카이 지진의 최대여진은 본진 약 1년 5개월 후인 1948년 4월 18일 와카야마현 남부 해역에서 일어난 규모 M7.0의 지진이다.[24] 최대여진으로 효고현 스모토시, 와카야마현 구시모토정,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시에서 최대진도 4의 진동을 느꼈다.[4]

전조 현상

[편집]

전진

[편집]

본진 약 2시간 전인 12월 21일 2시 8분 시오노미사키곶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규모 M6 가량의 지진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이 지진이 쇼와 난카이 지진의 전진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일본 기상청의 지진조사원부 감사 결과 본진 하루 뒤인 12월 22일 2시 8분에 일어난 지진의 기상관측원의 실수로 12월 21일에 중복 기재한 것이 밝혀졌다. 결국 쇼와 난카이 지진의 전진은 없다는 것으로 결론내렸다.[25]

지진 평온화 현상

[편집]

기무라 쇼조(木村昌三)는 1926년부터 1959년까지 지진 기록 재조사 결과 시코쿠, 와카야마현, 다바야마 지역에서 지진 활동이 줄어드는 것을 보였다며 이 가운데 시코쿠 서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전시체제 하에 관측 활동이 제한되거나 미비, 중단된 것이 원인이라 말했다.[26] 하지만 이후 연구에선 전시 체제 하 관측 활동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실제로 지진 활동이 줄어든 것일 수도 있다고 발표했다.[22]

전조 지각변동

[편집]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이 일어난 전후 시즈오카현 가케가와시 인근에서 시행하던 수준 측량에서 지진 이틀 전부터 전조 지각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관측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쇼와 난카이 지진때에도 고치현 토사시미즈가 지진이 일어나기 하루 전부터 융기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나[27] 종전 직후의 혼란기로 관측을 지속적으로 하지 못하는 등 데이터가 부족하여 전조 지각변동이 있었는지 여부는 단정지을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28]

조수 높이 변동

[편집]

본진 직전에는 고치현 스사키시 스사키만, 우사정 우사만 항구에 정박한 어선이 접안이 불가능할 정도로 해수면이 낮아졌다는 증언이 있으며[29][30] 1개월 전부터 지진 발생 전날까지 0.3m 정도 융기했을 것이라 추정한다.[29] 모리미쓰 교수는 조수 높이 변화량이 3.5m라 추정하고 있으나[30] 이 정도의 조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다.[31] 한편 지진 직전 우라도만개펄이 펼쳐져 있었다거나 지진 1주일 전부터 지하수 수위가 저하되는 등 지각변동을 보여주는 기록도 있으며 데이터는 충분하지 않으나 간노우라, 고치, 구레, 스쿠모 등 지진이 찾아온 지역의 장기 수준 측량 결과 지진 전후 급격한 융기와 같은 지각변동을 보여주었다.[32][33] 반면 해수면 변동의 원인이 해일 때문이라는 주장을 하는 연구자도 있다.[30]

우물 수위 변동

[편집]

일부 우물에선 본진이 일어나기 일주일 전부터 수위가 낮아졌다거나, 지진 당일엔 우물에 안개가 끼어 있었다는 증언이 있다.[30] 반면 우물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는 증언도 있다.[30]

지진 이후 지각변동

[편집]

무로토 및 기이반도 남쪽 지역이 융기하며 그에 대한 영향으로 시오노미사키곶이 0.7m, 무로토미사키곶이 1.27m, 아시즈리미사키곶이 0.6m 융기하였으며 스자키, 간노우라는 1m 침강하였다. 고치 인근 평야 15km2이 해수면 아래로 내려가 침강하여 물이 다 빠질때까지 보름이 걸렸다. 야마구치현 미네시에선 아키요시다이 산기슭의 고토천을 따라 저지대 지역에 지름 1-11m, 깊이 1-5m의 돌리네가 150개 생겼다.[34] 또한 지진 후 도고 온천은 38일간 물이 용출되지 않았고 난카이시라하마 온천도 비슷하게 일시적으로 물이 나오질 않았다.[35]

피해

[편집]

다른 시대에 일어난 난카이 지진과 비교했을 때 피해 규모는 작았을 것으로 추정된다.[36] 서일본과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피해가 일어났으며 고치현, 도쿠시마현, 와카야마현을 중심으로 사망자 1,330명, 실종자 113명의 인적 피해를 입었으며 건물 11,591채 완전 붕괴, 23,487채 반파, 1,451채가 유실, 2,598채가 화재로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또한 시즈오카현에서 규슈에 달하는 지역에 쓰나미가 덮쳤으며 고치현, 미에현, 도쿠시마현 연안엔 최대 4-6m의 쓰나미가 덮쳤다.

도도부현별 피해 상황[5]
도도부현 사망자 부상자 실종자 완전붕괴 반파 유실 침수 소실 주요 피해 지역
나가노현 2 4
기후현 13 42 547 751 1 오가키시
시즈오카현 2 296
아이치현 10 19 175 198 1 이치노미야시
미에현 71 35 136 110 23 1,435
시가현 3 1 8 2 카타타
오사카부 32 46 261 217 552 7,080 시조나와테시, 기시와다시
효고현 49 59 640 602 786 3 아와지섬
나라현 6 36 20 다와라모토정
와카야마현 187 846 74 964 2,427 386 11,815 2,399 신구시
돗토리현 2 3 22 13 유미가하마
시마네현 9 14 139 308 이즈모키쓰키
오카야마현 51 187 1,092 3,757 고지마만 등 간척지
히로시마현 3 49 74 1 후쿠야마시 등 간척지
야마구치현 2
도쿠시마현 181 217 19 1,329 1,138 582 4,578 고마쓰시마시
가가와현 52 273 608 2,409 1 사카이데시, 다카마쓰시 매립지
에히메현 26 32 586 831 330 군주
고치현 670 836 9 4,865 9,073 566 5,608 196 고치시 게치, 나카무라시
후쿠오카현 6 6
사가현 5 5
나가사키현 2
구마모토현 2 1 9 6
오이타현 4 9 25 16 쓰루자키
미야자키현 1 3 1,165
총 합 1,362 2,632 102 11,506 21,972 2,109 33,093 2,602
인적 피해/물적 피해의 수치는 문헌마다 다르다. 완전붕괴와 반파된 건물은 지진 피해와 쓰나미의 피해를 구분하지 않았다.

고치시는 제2차 세계 대전의 공습 피해를 입고 막 복구하던 곳에 다시 피해를 입었다. 고치시 대부분의 건물이 붕괴되었으며 동부 게치 지역에서 지진 피해가 매우 컸다.[5] 고치현 스사키시는 사망자 및 실종자 61명, 건물 완전 붕괴 198채의 피해를 입었다. 이리노(현 구로시오정)은 가옥붕괴율이 70%에 달한 곳도 있었다. 나카무라시시만토강을 지나는 철교 상판 9판 중 6판이 붕괴되었다. 나카무라시 시내에서 지진 피해가 가장 심한 곳은 가옥붕괴율이 80%에 달했는데 이곳은 안세이 난카이 지진 및 호에이 지진 때에도 지진 피해가 가장 컸던 곳이었다.[37]

가가와현 다카마쓰시는 사망자 52명, 부상자 273명, 건물 완전 붕괴 608채, 반파 2,409채의 피해를 입었다.[38] 와카야마현에선 사망자 및 실종자 269명, 부상자 562명, 건물 완전 붕괴 969채, 유실 325채, 소실 2,399채의 피해를 입었다. 특히 신구시에선 지진 직후 화재가 일어나 16시간 동안 시내를 태우는 대형 화재로 진화하여 소실 2,398채, 완전 붕괴 600채, 반파 1,408채의 피해를 입었다.[39]

오사카부와 효고현에서도 붕괴한 가옥이 수 채 있었는데, 피해 거의 대부분은 내진 설계가 미흡한 노후주택이었다.[5]

오카야마현에선 남부의 고지마만 및 가사오카 등의 간척지에서 지진 진동에 따른 액상화현상 피해가 컸고 건물 다수가 붕괴되는 피해를 입었다.[40] 고지마만 인근 후지토와 오쿠군 등 간척지 지역은 안세이 난카이 지진과 호에이 지진 당시에도 가옥이 붕괴하거나 액상화 현상으로 논밭이 침수되는 피해가 있었다.[41]

도카이 지역에서도 붕괴한 주택이 있으며, 돗토리현에선 사카이미나토항, 유미가하라반도 지역의 마을 피해가 컸으며[42] 시마네현에서는 이즈모 대사시마네반도 해역 연약지반의 피해가 컸다.

쓰나미 피해

[편집]
일본 도쿠시마현 무기정의 쇼와 난카이 지진 기념비(왼쪽)과 안세이 난카이 지진 기념비(오른쪽). 가운데에는 쇼와 난카이 지진 당시 최고 쓰나미 높이였던 4.53 m를 표시한 막대가 있다.

쓰나미의 파원역은 난카이 해곡을 따라 250km 길이로 해저 지형이 융기하여 지진 해일이 일어났으며,[43] 기이 수도 연안에 2-4m, 분고 수도 연안에 1-1.5m의 쓰나미가 덮쳤으며[43] 1m 이상의 쓰나미가 덮친 곳은 보소반도에서 규슈까지의 광범위한 지역이었다. 또한 하와이와 미국 캘리포니아주, 페루 연안에도 쓰나미가 도달한 기록이 있다.[44] 구시모토정에선 최대 6.57m의 쓰나미가 덮쳤으며, 미에현 가타촌에선 3.59m, 도쿠시마현 아사카와촌에선 4.88m, 도사만에선 5.2m를 기록하였다. 구시모토정은 지진이 일어난 지 약 10분 후 2.5-5.5m의 제1파가 덮쳤으며 미에현 가타만은 약 20분 후, 이즈반도 남부 지역과 도쿠시마현은 약 40분 후에 덮쳤다.

쓰나미의 높이는 안세이 난카이 지진과 호에이 지진때보단 낮았지만 큰 피해를 가져왔다. 지진 후 쓰나미 제1파는 안세이나 호에이 때보다 더 빨리 덮쳤다. 지진이 일어난지 채 10분도 되지 않아 해일이 내습하여 대피할 시간이 부족하였다.[12] 스사키시 및 도사시우사 등 연안 지역엔 쓰나미에 밀려온 배가 육지 위로 올라왔으며 오사카항은 지진 2시간 후에 80cm의 쓰나미가 도달하여 해수면이 상승하였다. 내륙 해안도시에도 쓰나미가 덮쳐, 사카이시 1.5m, 구레, 카사오카, 스모토, 우베에선 1m의 쓰나미를 관측하였다.[45] 기이 수도와 분고 수도 안으로 들어간 쓰나미는 약 3시간 후 히우치나다에서 모여 파고가 커졌다. 내륙 해안도시의 쓰나미는 급격한 해수면 변동이 없었으며 폭풍 해일과 같은 변화로 마을에 큰 홍수는 입지 않았으나 곳곳에서 급격한 조류를 관측하였다. 사카이, 시모쓰, 우와지마에서의 험조소 관측 기록에선 쓰나미 초기 파형은 끌어당기는 파도였다.[4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日本地震学会 「日本付近の主な被害地震年代表 Archived 2021년 5월 24일 - 웨이백 머신
  2.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18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3. Hiroo Kanamori (1972년).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1944 Tonankai and the 1946 Nankaido earthquakes”.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5: 129-139. doi:10.1016/0031-9201(72)90082-9. 2018년 9월 29일에 확인함. 
  4.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18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5. 中央気象台 編 (1946년). “昭和二一年一二月二一日南海道大地震調査概報” (일본어). 中央気象台. doi:10.11501/1140446.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6. “過去の地震津波災害”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18년 9월 29일에 확인함. 
  7. 古村孝志 (2015년). “南海トラフ地震の"新しい"地震像” (PDF). 《南海トラフ広域地震防災研究プロジェクト研究交流会》 (일본어).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8. 今村 明恒 (1944년). “遠州沖大地震所感”. 《地震 第1輯》 (일본어) (著者情報) 16 (11-12): 299-303. doi:10.14834/zisin1929.16.299. 2018년 9월 29일에 확인함. 
  9. “1944 東南海地震・1945 三河地震” (일본어). 일본 내각부. 2007년 3월. 2012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29일에 확인함. 
  10. “戦中戦後の歴史に埋もれた「昭和の4連続超巨大地震」” (일본어). naver.jp. 2018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1. 間城龍男 (1995년 1월). 《宝永大地震 -土佐最大の被害地震-》 (일본어). あさひ謄写堂. 
  12. 高知県南海大震災誌編纂委員会 編 (1949년). 《南海大震災誌》 (일본어). 高知県. doi:10.11501/3032382.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3. 《月別全国地震調査原稿》. 中央気象台. 1944년 12월. 
  14. “2 歴史地震の震度分布” (PDF) (일본어). 일본 내각부.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5. 宇津徳治 (1990년 5월). 《世界の被害地震の表(古代から1989年まで)》 (일본어).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6. Hiroo Kanamori (1977년 7월 10일). “The Energy Release in Great Earthquakes” (PD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2 (20): 2981-2987. doi:10.1029/JB082i020p02981.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7. Masataka Ando (1982년 7월). “A fault model of the 1946 Nankaido earthquake derived from tsunami data”.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28 (4): 320-336. doi:10.1016/0031-9201(82)90089-9.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8. Yuichiro Tanioka; Kenji Satake (2001년).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6 Nankai earthquake and aseismic slips caused by the earthquake”. 《Earth, Planets and Space》 53 (4): 235-241. doi:10.1186/BF03352380.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9. 木村 昌三 (2001년). “1946年南海地震に関係する四国における地震活動の特徴”. 《地学雑誌》 (일본어) 110 (4). doi:10.5026/jgeography.110.4_581.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20. “日本地震学会広報誌第51号(2005年9月)PDF版なゐふる51号” (PDF) (일본어). 日本地震学会. 2005년 9월. 2015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21. 橋本 徹夫; 菊地 正幸 (2002년). “地震記象から見た1946年南海地震の震源過程”. 《地学雑誌》 (일본어) 111 (1): 118-125. doi:10.5026/jgeography.111.118.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22. 木村 昌三; 岡野 健之助 (1998년). “余震分布から推定される1946年南海地震の震源域”. 《地震 第2輯》 (일본어) 50 (4): 461-470. doi:10.4294/zisin1948.50.4_461.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23. 中村操; 古村孝志; 早川俊彦; 馬場俊孝 (2007년). “[講演要旨] 東南海地震・南海地震の関東での揺れの再現” (PDF). 《歴史地震》 (일본어) 22: 208.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24. “南海トラフ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について 別表” (PDF) (일본어).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3년 5월 24일.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25. 宇津 徳治 (1994년). “1946年南海地震の前震とされている地震について”. 《地震 第2輯》 47 (2): 183. doi:10.4294/zisin1948.47.2_183.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26. 木村 昌三; 岡野 健之助 (1995년). “1946年南海地震直前の南海地域における地震活動の低下”. 《地震 第2輯》 (일본어) 48 (2): 213-221. doi:10.4294/zisin1948.48.2_213.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27. “潮位記録から推定される1946年南海地震直前の地殻上下変動(気象研)” (PDF) (일본어). 地震予知連絡会.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28. 小林 昭夫; 真砂 礼宏; 吉田 明夫 (2002년). “1946年南海地震直前の浦神の潮位変化”. 《測地学会誌》 (일본어) 48 (1): 1-12. doi:10.11366/sokuchi1954.48.1.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29. 梅田 康弘; 板場 智史 (2013년). “1946 年南海地震前の四国太平洋沿岸の上下変動曲線”. 《地質調査研究報告》 (일본어) 64 (7-8): 201-211. doi:10.9795/bullgsj.64.201.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30. 梅田 康弘; 板場 智史 (2014년). “1946 年南海地震前に四国太平洋沿岸部で目撃された井戸水及び海水位の変化”. 《地質調査研究報告》 (일본어) 65 (11-12): 129-144. doi:10.9795/bullgsj.65.129.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31. 重富國宏; 梅田康弘; 尾上謙介; 浅田照行; 細善信; 近藤和男; 辰己賢一 (2005년 4월). “資料・証言にみる南海地震前の井水涸れ及び異常潮位” (PDF). 《京都大学防災研究所年報》 (일본어) 48.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32. “9-9 1946南海地震前の四国太平洋沿岸の上下変動” (PDF) (일본어).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0년.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33. 梅田康弘; 板場智史 (2011년). “1946年南海地震前の四国太平洋沿岸の上下変動” (PDF). 《地質調査研究報告》 (일본어) 62 (5-6): 243-257.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34. 浜田清吉, 1957. 秋吉台のカルスト地形. 秋吉台学術調査報告書. 山口県教育委員会
  35. 寒川旭 『揺れる大地 日本列島の地震史』 同朋舎出版、1997年
  36. 都司嘉宣. “3.津波災害の歴史から現代を見る-南海地震の津波災害-” (일본어). 消防化学総合. 2012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37. 都司嘉宣『歴史地震の話 ―語り継がれた南海地震』高知新聞企業、2012年
  38. “東南海・南海地震について” (일본어). 다카마쓰시 시청. 2012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39. 宮野 道雄; 望月 利男 (1991년). “1. 1946年南海地震の被害追跡調査 : 和歌山県新宮市の延焼大火発生地区における人的被害と人間行動”. 《地域安全学会論文報告集》 (일본어).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40. “岡山県南部における南海地震の記録” (PDF) (일본어). 岡山県備前県民局. 2007년.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41. 小林久磨雄編『邑久郡誌』邑久郡教育会、1973年
  42. “第81回県史だより” (일본어). 돗토리 현청.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43. 羽鳥 徳太郎 (1988년). “瀬戸内海・豊後水道沿岸における宝永 (1707)・安政 (1854)・昭和 (1946) 南海道津波の挙動”. 《地震 第2輯》 (일본어) 41 (2): 215-221. doi:10.4294/zisin1948.41.2_215.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44. “Tsunami Runup Search - sorted by Date, Country, Location name”. NOAA.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45. “瀬戸内海の歴史南海地震津波について” (PDF) (일본어). 歴史地震研究会 歴史地震. 2003년. 2018년 1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2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