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예수의 정신건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케 호모》, 안토넬로 다 메시나, 1473년

역사적 예수의 정신건강 상태에 대한 의문은 여러 심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그리고 작가들에 의해 탐구되어 왔다. 이 주제에 대한 여러 시도 이후, 예수의 정신건강(-精神健康)에 대해 광범위하고 철저하게 의문을 제기한 첫 번째 인물은 파리의 수석 의사이자 《예수의 광기》(La Folie de Jésus) 4권으로 된 저작의 저자인 프랑스 심리학자 샤를 비네-상글레였다.[1][2][3] 이러한 견해는 지지자와 반대자 모두를 가지고 있다.

예수의 정신건강 의문

[편집]

예수의 정신 상태에 대한 평가는 복음서에서 처음 등장한다. 마가복음은 예수의 가족들이 그를 "미쳤다"고 여겼다는 의견을 전한다. 일부 정신의학자, 종교학자, 그리고 작가들은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의 가족(마가복음 3:21),[4] 일부 추종자들(요한복음 7:20,[5] 요한복음 11:41-53 참조),[6] 그리고 동시대 사람들이 여러 시점에서 그를 망상에 빠졌거나, 귀신들렸거나, 혹은 미쳤다고 여겼다고 설명한다.[2][3][7][8][9][10]

이 소식을 들은 예수의 친척들은 예수를 붙들러 나섰다. 예수가 미쳤다는 소문이 돌고 있었기 때문이다. 예루살렘에서 내려온 율법학자들도 예수가 베엘제불에게 사로잡혔다느니 또는 마귀 두목의 힘을 빌려 마귀를 쫓아낸다느니 하고 떠들었다.

— 마가복음 3:21-22, 공동번역[11]

요한복음의 비난은 더욱 직접적이다:

이 말씀을 들은 유다인들 사이에서는 다시 논란이 일어났다. 많은 사람이 "그는 마귀가 들렸소. 그런 미친 사람의 말을 무엇 때문에 듣는 거요?" 하고 말하는가 하면 어떤 사람들은 "마귀 들린 사람이 어떻게 그런 말을 하겠소? 더구나 마귀가 어떻게 소경의 눈을 뜨게 할 수 있단 말이오?" 하고 말하였다.

— 요한복음 10:19-21, 공동번역[12]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강사인 저스틴 메깃은[13] 그의 논문 "예수왕의 광기: 왜 예수는 처형되었으나 그의 추종자들은 그렇지 않았는가?"(2007년)와[8] 저서 《예수왕의 광기》(2010년)에서[14] 빌라도와 다른 로마인들이 예수를 정신 나간 광인으로 여겼다고 제안한다.[8]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는 빌라도에게 왕위 참칭자로 소개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지만, 표준 로마 절차는 지도자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키려는 자들을 연좌로 기소하고 처형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예수가 일종의 왕위 참칭자로서 로마 당국에 의해 처형되었다고 제안하는 것은 그가 처형되었으나 그의 제자들은 그렇지 않았던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8] 18세기의 장 메슬리에(1664년~1729년)도 비슷한 생각을 가졌다. 그의 《유언》의 33장과 34장에서 그는 예수가 "실제로 미친 사람이자 광신자였다"(étoit véritablement un fou, un insensé, un fanatique)고 주장한다.[10][15]

예수의 정신 상태에 대한 도전은 19세기에 역사적 예수에 대한 첫 번째 탐구와 함께 계속되었다. 다비트 프리드리히 슈트라우스(《예수의 생애》, 1864년)는[16] 예수가 광신자였다고 주장했다.[2][3][17] 레뮤얼 K. 워시번(영어판)은 《예수는 정신이 나갔는가?》(1889년)라는 소책자에서 "예수는 신성하지 않고 정신이 나갔다"고 의견을 냈다.[18][19] 오스카 파니차(영어판)는 예수를 정신병리학적이고 편집증적인 사례로 소개했다.[20][21][22] 오스카 홀츠만(영어판)은 《예수는 황홀경 상태였는가?》(1903)에서 예수를 "황홀경 상태"로 표현했는데, 이는 그가 병리학적으로 강한 상상력의 흥분과 의지력으로 묘사했다.[23][24] 게오르크 로머(필명 조지 드 루스텐, 1905년)는 장 메슬리에와 유사하게 예수를 일반적으로 정신병을 앓고 있었다고 소급 진단하려 시도했다.[2][3][25] 에밀 라스무센(1905년)은 예수가 간질이나 편집증 중 하나였다고 판단했다. 그는 몇 가지 예를 들어 전형적인 병리학적 예언자("Prophetentypus")에 대한 설명을 발전시키고 이를 예수에게 적용했다.[2][3][26] 율리우스 바우만(1908년)은 예수의 행동에서 발견한 비정상성신경 과자극(Nervenüberreizung)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가설을 세웠다.[27] 그러나 이 주제가 광범위하고 가시적으로 논의된 것은 샤를 비네-상글레(프랑스어판)의 4권으로 된 저작 《예수의 광기》가 1908년부터 1915년까지 출판되면서부터였다. 비네-상글레는 예수가 종교적 편집증을 앓고 있었다고 진단했다:[10][28]

요약하자면, 정통 복음서에 묘사된 대로의 예수의 환각의 본질은 우리로 하여금 기독교 종교의 창시자가 종교적 편집증에 시달렸다고 결론 내리게 한다.

— (제2권, 393쪽)

이러한 견해는 뉴욕의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학자인 윌리엄 허쉬(독일어판)와 공유되었다.[29] 그는 1912년에 《종교와 문명: 한 정신과 의사의 결론》이라는 연구를 출판하여[30] 예수의 정신적으로 일탈된 행동들을 열거했다. 허쉬는 예수가 환각에 시달렸다는 비네-상글레의 의견에 동의했으며, "끊임없이 그리고 무한히 증가하는 그의 과대망상"을 지적했다.[31][2][3] 허쉬는 예수가 단지 "편집증 환자"였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그리스도는 모든 면에서 잘 알려진 정신 질환의 완전히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우리가 그에 대해 알고 있는 모든 것은 편집증의 임상적 양상과 너무나 정확히 일치하여, 정신 장애에 조금이라도 익숙한 사람이라면 이 진단의 정확성에 대해 조금의 의심도 품을 수 없을 정도이다.

— (103쪽)

허쉬에 따르면, 예수는 전형적인 편집증 환자로서 메시아의 도래에 관한 예언을 자신에게 적용했으며,[32] 모든 면에서 자신과 의견이 다른 사람들에 대해 깊은 증오심을 가지고 있었다.[33] 소비에트 정신과 의사 Y. V. 민츠(1927년)도 예수가 편집증을 앓고 있었다고 진단했다.[10][34][35] 1920년대 소비에트 연방의 문학은 슈트라우스, 르낭, 니체, 그리고 비네-상글레의 작품에서 나타난 예수의 탈신화화 전통을 따라 두 가지 주요 주제를 제시했다: 정신 질환과 기만. 이는 미하일 불가코프의 소설 《거장과 마르가리타》에 반영되어 있는데, 여기서 예수는 본디오 빌라도에 의해 무해한 광인으로 묘사된다. 소비에트 선전에서 예수의 존재를 부정하는 신화적 선택지가 우세를 차지한 것은 1920년대에서 1930년대로 넘어가는 시기에 이르러서였다.[36] 예수의 정신건강은 또한 영국의 정신과 의사 윌리엄 사전트와 라지 퍼소드,[37][38] 그리고 《심리학적 및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본 예수 생애의 몇 가지 특징》이라는 연구를 한 조르주 베르게와 같은 정신분석학적 성향의 여러 심리학자들에 의해서도 의문시되었다.[39][40]

합리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브와디스와프 비트비츠키(영어판)[41] 자신이 번역한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의 주석인 《마태와 마가에 따른 복음》(Dobra Nowina według Mateusza i Marka,[42] 실제로는 예수의 심리전기[43])에서 예수에게 주관주의,[44] 자신의 힘과 타인에 대한 우월감의 증가, 자기중심주의,[45]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복종시키려는 경향이 있었다고 주장했다.[46] 그는 또한 외부 세계와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었으며,[47] 해리성 정체성 장애도 있었는데,[48] 이는 그를 분열기질형 또는 심지어 정신분열증 유형(에른스트 크레치머유형학에 따르면)으로 만들었다고 보았다.[49][50][51]

미국의 신학자이자 종교 심리학자인 도널드 캡스(영어판)는 그의 저서 《예수: 심리학적 전기》(1989년, 2000년)에서[52] 예수를 자살 경향이 있는 유토피아-우울증적 성격(그는 다가올 하나님의 왕국을 고대했다)으로 진단했다.[53] 신약학자 앤드류 제이콥 매틸 주니어는 그의 논문 《당신의 교회가 당신이 읽기를 원하지 않는 책》(1993년)에서 "요한의 예수"(요한복음 6:29, 35, 38, 40, 47-58; 7:38; 8:12; 11:25-26; 14:6, 13-14에 묘사된)의 끊임없이 증가하는 과대망상에 주목하며[54] 다음과 같이 결론짓는다:

요한복음의 예수 묘사에 더 많은 신뢰를 둘수록 예수의 정신건강을 옹호하기가 더 어려워진다.[2][3][54][55]

영국의 정신과 의사 앤서니 스토(영어판)는 그의 마지막 저서 《진흙 발; 성인, 죄인, 그리고 광인들: 구루들에 대한 연구》(1996년)에서[56] 짐 존스데이비드 코레시 같은 미친 "메시아"들과 예수를 포함한 존경받는 종교 지도자들 사이에 심리학적 유사성이 있다고 제안했다.[57][a] 스토는 구루의 발전을 형성하는 정신병적 장애를 포함하는 전형적인 패턴을 추적한다.[60] 그의 연구는 예수를 여러 구루 중 하나로 보려는 시도이다. 스토는 예수를 종말론적 예언자로 보는 가설에 기울어 있는 대부분의 역사적 예수 학자들의 의견에 동의한다:

예수가 하나님의 악에 대한 최후의 정복이 임박했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운 미래에 지상에 세워질 것이라는 종말론적 견해를 공유했다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61]

스토는 예수와 다른 구루들 사이의 많은 유사점을 인정한다. 예를 들어, 광야에서의 금식 기간 동안 내적 갈등을 겪은 것이다. 스토에 따르면, 만약 예수가 정말로 자신을 하느님의 대리인으로 여기고 언젠가 하늘에서 내려와 통치할 것이라고 믿었다면, 그는 이전에 그가 망상에 사로잡힌 위대함의 광기를 가진 설교자로 묘사했던 구루들과 매우 유사했다. 그는 예수가 가정생활에서 이상적이지 않았다고 지적한다(마가복음 3:31-35,[62] 마가복음 13:12-13).[63] 구루들은 종종 가족 관계에 무관심하다. 스토에 따르면 다른 유사점으로는 예수가 하나님으로부터 특별한 계시를 받았다는 믿음과 엘리트주의적 경향, 즉 예수가 자신이 하나님에 의해 특별히 선택되었다고 믿었다는 점이 있다.[64]

미국의 신경내분비학 연구자 로버트 새폴스키는 그의 저서 《테스토스테론의 문제: 그리고 인간 곤경의 생물학에 관한 다른 에세이들》(1997년, 1998년)에[65] 포함된 에세이에서 예수와 다른 카리스마적 종교 지도자들에게서 분열형('반쯤 미친', 248쪽) 행동과 초자연적 사고의 발생을 제안한다:

물론, 과도할 수 있고, 우리의 역사는 메시아적 광신도들에 의해 영감을 받은 실패한 종교 운동들로 어둡게 얼룩져 있습니다. (...) 그러나 만약 당신이 초자연적 사고와 행동을 적절한 정도로,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하게 된다면, 사람들은 앞으로 오랫동안 당신의 생일에 휴일을 가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 (256쪽)

사폴스키는 이어서 "분열형 행동, 초자연적 사고, 그리고 비서구 및 서구 사회에서의 특정 종교적 믿음의 창시 사이에 그럴듯한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고 언급한다(256쪽). 그에 따르면 "주술사의 정신병리학이라는 개념은 주요 서구 종교의 뿌리를 이해하는 데에도 마찬가지로 쉽게 적용된다."(255쪽)

1998년~2000년, 폴란드 포즈난 출신의 레셰크 노박(1962년~)은[b] 자신의 종교적 사명 망상과 과대평가된 사고의 경험, 그리고 복음서에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예수의 정신 상태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한 연구를 저술했다. 그는 예수를 종말론적 예언자로 보는 관점에서[66] 간접적 자살의 가설을 고려하여 이를 수행했다.[67] 그는 "인류의 구원자"의 성격 특성 분석, 예수의 공적 활동 기간의 가능한 사건 경과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의 기적에 대한 자연주의적 설명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장들에서 이를 다룬다.[68]

2012년, 하버드 의학전문대학원정신과의, 행동심리학자, 신경학자, 신경정신과의로 구성된 팀은 종교적 망상과 과도한 종교성과 관련된 정신 장애의 새로운 진단 범주 개발을 제안하는 연구를 발표했다.[69] 그들은 아브라함, 모세, 예수, 바울[69] 같은 성경의 가장 중요한 인물들의 사고와 행동을 다양한 장애 군집과 진단 기준(DSM-IV-TR)을 사용하여 정신병적 스펙트럼과 관련된 정신 장애를 가진 환자들과 비교했다.[70] 그들은 이러한 성경 인물들이 "그들의 계시에 영감을 준 정신병적 증상을 가졌을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71] 이러한 증상에는 정신분열증, 분열정동 장애, 양극성 장애, 망상장애, 과대망상, 청각-시각 환각, 편집증, 게쉬빈트 증후군(특히 바울), 그리고 측두엽 간질(TLE)과 관련된 비정상적 경험 등이 포함된다. 저자들에 따르면, 예수의 경우에는 편집성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조현정동장애 등이 해당될 수 있었다.[7] 그들은 예수가 "대리 자살"(간접적 자살)을 통해 죽음을 추구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72]

예수의 정신건강 옹호

[편집]

예수의 정신 건강에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과 출판물, 특히 게오르그 로머, 샤를 비네-상글레, 윌리엄 허쉬의 저작들은 논쟁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대한 첫 번째 반박은 알베르트 슈바이처의 박사 학위 논문 《예수에 대한 정신의학적 연구: 설명과 비평》[73][2][3](Die psychiatrische Beurteilung Jesu: Darstellung und Kritik, 1913년)과[74][75][28][76] 미국 신학자 월터 E. 번디의 1922년 저서 《예수의 정신 건강》에서 이루어졌다. 번디는 예수의 정신 건강을 옹호하며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77][2][3]

예수에 대한 병적 기술은 신약성경 비평의 과정과 결론에 대한 무지와 정신의학 과학의 원리를 아마추어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기반해서만 가능하다.

— (268쪽)

이보다 앞서(1908년) 예수의 정신 건강은 다음과 같은 이들에 의해 옹호되었다: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의 변증학 교수인 독일 카톨릭 신학자 필립 크나이프(《정신의학의 영향 하의 현대 예수의 생애 연구》[78]) - 홀츠만, 로머, 라스무센, 바우만의 주장에 대항하여;[79] 독일 복음주의 신학자이자 목사인 헤르만 베르너(《예수의 정신 건강》[80]) - 홀츠만, 로머, 라스무센의 주장에 대항하여;[81] 그리고 (1910년) 함부르크 프리드리히스베르크 정신병원의 수석 의사인 독일 정신과 의사 하인리히 셰퍼(《정신의학적 조명에서의 예수: 논쟁》)[82] - 로머와 라스무센의 주장에 대항하여.[83]

예수의 정신 건강은 기독교 정신과 의사 올리비에 퀜틴 하이더,[84] 파블로 마르티네스, 앤드류 심스가 옹호하였다.[85][86] 조시 맥도웰과 리 스트로벨과 같은 기독교 변증가들도 예수의 정신 건강 옹호 주제를 다룬다.[87][88] 예수의 정신 건강 옹호는 1994년 11월 5일 발행된 이탈리아 예수회 잡지 《라 치빌타 카톨리카》의 사설에서도 다루어졌다.[89] "예수가 자신을 속였다면 어떨까?"(E se Gesù si fosse ingannato?)라는 제목의 질문에 대해 편집자들은 예수가 광신자나 과대망상증 환자가 아니라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매우 현실적인 사람이었다고 주장하며 부정적으로 답변했다. 따라서 그는 자신이 메시아이자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말하면서 스스로를 속이지 않았다는 것이다.[90]

미국의 성서학자 제임스 H. 찰스워스(영어판)는 그의 에세이 《예수 연구와 심리전기의 출현》(2002년)에서 예수의 심리전기를 쓰려는 이전의 시도들을 논의한다. 그는 최종 고찰에서, 초기(20세기 초에 만들어진) 정신적으로 불안정하고 편집증적이며 환각을 경험하는 예수의 이미지가 그를 창작자들의 병원에 있는 편집증 환자들과 비교하고 고대 자료에 프로이트 심리학을 적용한 결과라고 제안한다. 저자에 따르면, 예수의 의도는 역사적 연구를 사용하여 그의 장소와 시대의 맥락에서 검토되어야 한다.[91]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그의 책 《나사렛 예수: 요단강에서의 세례부터 변모까지》(2007년)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자유주의 학자들의 광범위한 흐름은 예수의 세례를 직업적 경험으로 해석해왔다. 갈릴리 지방에서 완전히 정상적인 삶을 살다가 세례 받는 순간에 충격적인 경험을 했다고 한다. 그때 그가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와 종교적 사명을 깨달았다고 한다. 더욱이 이 사명은 당시 이스라엘에서 지배적이었던 기대 모티프에서 비롯되었고, 요한에 의해 창의적으로 재형성되었으며, 세례 사건이 예수의 삶에 가져온 감정적 격변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본문에서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해석에 많은 학문적 박학이 동원되더라도, 이는 실제 본문 해석이라기보다는 '예수 소설'에 가깝다고 봐야 한다. 본문은 우리에게 예수의 내면 생활에 대한 창을 제공하지 않는다 - 예수는 우리의 심리화를 초월한다. (구아르디니, 《기독교의 본질》).[92]

C. S. 루이스루이스의 삼단논법으로 알려진 것에서 예수의 정신 건강을 고려한 것이 유명하다.(여기서 인용된 공식은 존 던컨의 것이다):

그리스도는 의식적인 사기로 인류를 속였거나, 그 자신이 미혹되고 자기기만에 빠졌거나, 아니면 그는 신성했다. 이 트릴레마에서 빠져나갈 방법은 없다. 이는 가차없다.

불가지론적 무신론자인 신약학자 바트 어만은 자신의 블로그에 다음과 같이 썼다:

그리고 그는 (내 생각에 그랬다고 본다) 미래 왕국에서 메시아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을 수 있다. 그것은 자신에 대한 꽤 고양된 견해였을 수 있지만, 나는 그것이 예수를 미치게 만든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를 비정상적으로 자신감 있는 종말론적 예언자로 만든다. 당시에 웅대한 비전을 가진 다른 이들도 있었다. 나는 그것이 그를 정신적으로 아프게 만든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를 1세기의 종말론적 유대인으로 만든다.[93]

같이 보기

[편집]

주해

[편집]
  1. 신경내분비학 연구자 로버트 사폴스키 역시 이와 유사한 견해를 제시한다.[58][59]
  2. 포즈난 출신의 폴란드 철학자이자 법학자인 레셰크 노박(1943년~2009년)과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각주

[편집]
  1. Binet-Sanglé, Charles (1908–1915). 《La folie de Jésus》 [The Madness of Jesus] (프랑스어) 1–4. Paris: A. Maloine. LCCN 08019439. OCLC 4560820. 
  2. Havis, Don (2010). 〈Was Jesus Crazy? An Inquiry into the Mental Health of Jesus Christ〉. 《Not Resigned: Selected Works (1950-2010)》. Bloomington, Indiana: Xlibris Corporation LLC. 143–158쪽. ISBN 978-1-4500-4754-8. 2024년 6월 8일에 확인함. 
  3. Havis, Don (April–June 2001). “An Inquiry into the Mental Health of Jesus: Was He Crazy?”. 《Secular Nation》 (Minneapolis: Atheist Alliance Inc.). ISSN 1530-308X.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4. Mark 3:21
  5. John 7:20
  6. John 11:41–53
  7. Murray, Cunningham & Price (2012), 414–415쪽.
  8. Meggitt, Justin J. (2007년 6월 1일). “The Madness of King Jesus: Why was Jesus Put to Death, but his Followers no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London: Sage Publications) 29 (4): 379–413. doi:10.1177/0142064X07078990. ISSN 0142-064X. S2CID 171007891. 
  9. Hirsch (1912), 135쪽.
  10. Kryvelev, Iosif Aronovich (1987). 〈Mentally Ill (according to J. Meslier, A. Binet-Sanglé and Ya. Mints)〉. 《Christ: Myth or Reality?》. Religious studies in the USSR; ser. 2. Moscow: "Social Sciences Today" Editorial Board. LCCN 87157196. OCLC 64860072. 2020년 4월 30일에 확인함. 
  11. Mark 3:21–22
  12. John 10:19–21
  13. “Dr Justin Meggitt – Faculty of Divinity”. 《University of Cambridge》. 2013년 7월 23일. 2020년 6월 13일에 확인함. 
  14. Meggitt, Justin J. (2010). 《The Madness of King Jesus: The Real Reasons for His Execution》. London: I.B. Tauris. ISBN 978-1-8488-5410-9. 
  15. Meslier, Jean (1864). 《Le Testament》 (프랑스어) 2. Amsterdam: A la Librairie Étrangère, Raison R.C. Meijer. 42–67쪽. LCCN 74194533. OCLC 9806959. OL 38622065M. 
  16. Strauss, David Friedrich (1864). 《Das Leben Jesu, für das deutsche Volk bearbeitet》. Leipzig: F.A. Brockhaus. LCCN 17022642. OCLC 459102643. OL 18817475M. 
  17. Bundy, Walter E. (1922). 《The Psychic Health of Jesus》.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4쪽. LCCN 22005555. OCLC 644667928. OL 25583375M. 
  18. Washburn, Lemuel K. (1889). 《Was Jesus insane?》. New York: The Truth Seeker Company. 20쪽. OCLC 38939887. 
  19. Bundy, Walter E. (1922). 《The Psychic Health of Jesus》.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27쪽. LCCN 22005555. OCLC 644667928. OL 25583375M. 
  20. Panizza, Oskar (1898). “Christus in psicho-patologischer Beleuchtung”. 《Zürcher Diskuszjonen》 (독일어) 5 (1): 1–8. OCLC 782007054. 
  21. Düsterberg, Rolf (1988). 《Die gedrukte Freiheit: Oskar Panizza und die Zürcher Diskussjonen》. Europäische Hochschulschriften; Reihe 1,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1098 (독일어). Frankfurt am Main: P. Lang. 40–91쪽. ISBN 3-8204-0288-8. 
  22. Müller, Jürgen (1990). 《Oskar Panizza: Versuch einer immamenten Interpretation》 (독일어). Würzburg. 248–256쪽. OCLC 923572143. 
  23. Holtzmann, Oskar (1903). 《War Jesus Ekstatiker?: eine Untersuchung zum Leben Jesu》. Tübingen: J. C.B. Mohr (Paul Siebeck). ISBN 1-332-63400-1. OCLC 902994315. OL 21869475M. 
  24. Bundy, Walter Ernest (1921). 〈Introduction〉. 《The psychic health of Jesus》. The Macmillan Company. XIV쪽. LCCN 22005555. OCLC 644667928. OL 25583375M. O. Holtzmann presented Jesus as through and through an ecstatic character 
  25. Lomer, Georg (1905). 《Jesus Christus vom Standpunkte des Psychiaters: eine kritische Studie für Fachleute und gebildete Laien》. Bamberg: Handels-Druckerei. OCLC 31247627. 
  26. Rasmussen, Emil (1905). 《Jesus, eine vergleichende psychologische Studie》 (독일어). Leipzig: Verlag Julius Zeitler. OCLC 14790352. OL 20020984W. 
  27. Baumann, Julius (1908). 《Die Gemütsart Jesu : nach jetziger wissenschaftlicher, insbesondere jetziger psychologischer Methode erkennbar gemacht》. Leipzig: Alfred Kröner. OCLC 1091268451. OL 27164474M. 
  28. Gettis, Alan (June 1987). “The Jesus delusion: A theoretical and phenomenological look”.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Springer) 26 (2): 131–136. doi:10.1007/BF01533683. ISSN 0022-4197. JSTOR 27505915. OCLC 4643399839. PMID 24301876. S2CID 29415793. 
  29. “DR. WILLIAM HIRSCH; Retired Psychiatrist Had Served on Staffs of Hospitals Here”. 《The New York Times》 (영어). 1937년 2월 16일. 2024년 1월 16일에 확인함. 
  30. Hirsch (1912).
  31. Hirsch (1912), 107쪽.
  32. Hirsch (1912), 127–128쪽.
  33. Hirsch (1912), 137쪽.
  34. Sirotkina, Irina (2002). 《Diagnosing Literary Genius: A Cultural History of Psychiatry in Russia, 1880–1930》.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69쪽. ISBN 978-0-8018-7689-9. 
  35. Минц, Я. В. (1927). 〈Иисус Христос – как тип душевнобольного〉 [Jesus Christ: A Sample of Mentally Ill]. 《Клинический архив гениальности и одарённости (эвропатологии)》 (러시아어) 3. Leningrad. 243–252쪽. 
  36. Дождикова, Надежда (2009). “Чем был недоволен Берлиоз? О романе М. А. Булгакова "Мастер и Маргарита" и "проблеме Христа". 《Нева》 (러시아어) (7). ISSN 0130-741X. 2018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7. Sargant, William (1974년 8월 22일). “The movement in psychiatry away from the philosophical”. 《The Times》: 14. ISSN 0140-0460. Perhaps, even earlier, Jesus Christ might simply have returned to his carpentry following the use of modern [psychiatric] treatments. 
  38. Persaud, Raj (1993년 4월 27일). “Health: A madman can look a lot like a messiah: There is no easy way for cult followers to tell if their leader is sane, says Raj Persaud”. 《The Independent》. 2018년 10월 25일에 확인함. Two thousand years ago Jesus received a crown of thorns. Today the Messianic have electro-convulsive therapy. 
  39. Berguer, Georges (1920). 《Quelques traits de la vie de Jésus: au point de vue psychologique et psychanalytique》 (프랑스어). Genève–Paris: Edition Atar. OCLC 417009760. 
  40. Berguer, Georges (1923). 《Some aspects of the life of Jesus from the psychological and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번역 Brooks, Eleanor Stimson; Brooks, Van Wyck. New York: Harcourt, Brace and Co. LCCN 23012901. OCLC 2628145. OL 6656731M. 
  41. Nowicki, Andrzej (1982). 《Witwicki》 (폴란드어). Warszawa: Wiedza Powszechna. 7–9쪽. ISBN 83-214-0301-8. 
  42. Witwicki (1958).
  43. Citlak, Amadeusz (2016). “The Lvov-Warsaw School: The forgotten tradition of historical psychology”. 《History of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 (2): 105–124. doi:10.1037/hop0000029. ISSN 1093-4510. OCLC 6029347169. PMID 27100926. S2CID 22112845. 
  44. Witwicki (1958), 319쪽.
  45. Witwicki (1958), 266, 379쪽.
  46. Szmyd, Jan (1996). 《Psychologiczny obraz religijności i mistyki: z badań psychologów polskich》 [Psychological picture of religiousness and mysticism: from the research of the Polish psychologists] (폴란드어). Kraków: Wydawn. Naukowe WSP. 197쪽. ISBN 978-8-3868-4154-7. 
  47. Witwicki (1958), 203, 281쪽.
  48. Witwicki (1958), 203쪽.
  49. Citlak, Amadeusz (2015). “Psychobiography of Jesus Christ in view of Władysław Witwicki's theory of cratism”. 《Journal for Perspectives of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Integration》 (Scientific Society KUL) 21 (1–2): 155–184. doi:10.2478/pepsi-2015-0007. ISSN 2300-0945. OCLC 998362074. S2CID 151801662. 2022년 9월 21일에 확인함. 
  50. Citlak, Amadeusz (2016). 《Relacje społeczne świata antycznego w świetle teorii kratyzmu. Psychologia historyczna w szkole lwowsko-warszawskiej》 [Social relations of the ancient world in the light of the theory of cratism. Historical psychology in the Lwów–Warsaw school] (폴란드어). Warszawa: Instytut Psychologii PAN. 61–62쪽. ISBN 978-83-939589-7-9. 
  51. Jarzyńska, Karina (2008년 4월 10일). “Jezus jako egocentryczny schizotymik” [Jesus as an egocentric schizotymic]. 《Racjonalista》 (폴란드어). Fundacja Wolnej Myśli. 2020년 7월 28일에 확인함. 
  52. Capps, Donald (2000). 《Jesus: A Psychological Biography》. St. Louis, Mo.: Chalice Press. ISBN 978-0-8272-1713-3. 
  53. Powell, Mark Allan (2018). 〈Psychological Studies of the Historical Jesus〉 (PDF). 《Introducing the New Testament (Supplement)》. Grand Rapids, Michigan: Baker Academic. ISBN 978-0-8010-9960-1. 
  54. “The Book Your Church Doesn't Want You To Read [PDF]”. 《VDOC.PUB》. 2023년 7월 2일에 확인함. 
  55. Mattill Jr. (1993), 122쪽.
  56. Storr, Anthony (1996). 《Feet of Clay; Saints, Sinners, and Madmen: A Study of Gurus》. New York: Free Press. ISBN 0-684-82818-9. 
  57. “Obituary: Anthony Storr”. 《The Telegraph》. 2001년 3월 21일. 2019년 8월 13일에 확인함. 
  58. Sapolsky, Robert (April 2003). “Belief and Biology”. 《Freedom from Religion Foundation》. 2023년 7월 27일에 확인함. You can only do post-hoc forensic psychiatry on Koresh and Jones, but Charles Manson is a diagnosed paranoid schizophrenic. But get it just right, and people are gonna get the day off from work on your birthday for millennia to come. 
  59. Dr. Robert Sapolsky's lecture about Biological Underpinnings of Religiosity - 유튜브
  60. Storr, Anthony (2015년 5월 19일). 《Feet Of Clay: The Power and Charisma of Gurus》. 《Storytel》 (Simon and Schuster). ISBN 9781501122088. 2022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1. Storr (1997), 142쪽.
  62. Mark 3:31–35
  63. Mark 13:12–13
  64. Storr (1997), 143–146쪽.
  65. Sapolsky, Robert M. (1998). 〈Circling the Blanket for God〉. 《The Trouble with Testosterone: and Other Essays on the Biology of the Human Predicament》. New York: A Touchstone Book, Simon & Schuster. 241–288쪽. ISBN 978-0-684-83409-2. 
  66. Nowak, Leszek. “Wielka pomyłka i rozczarowanie wczesnego chrześcijaństwa” [A great mistake and disappointment of early Christianity]. 《opracowanie.eu》 (폴란드어). 2016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7. Nowak, Leszek. “Prowokator” [Instigator]. 《opracowanie.eu》 (폴란드어). 2015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8. Nowak (2000).
  69. Murray, Cunningham & Price (2012), 410–426쪽.
  70. Murray, Cunningham & Price (2012), 411쪽.
  71. Murray, Cunningham & Price (2012), 424쪽.
  72. Murray, Cunningham & Price (2012), 415쪽.
  73. Schweitzer, Albert (1948). 《The Psychiatric Study of Jesus: Exposition and Criticism》. 번역 Joy, Charles R. Boston: Beacon Press. LCCN 48006488. OCLC 614572512. OL 6030284M. 
  74. Schweitzer, Albert (1913). 《Die psychiatrische Beurteilung Jesu: Darstellung und Kritik》 (독일어). Tübingen: J.C.B. Mohr (Paul Siebeck). LCCN 13021072. OCLC 5903262. OL 20952265W. 
  75. Schweitzer, Albert (1998). 《Out of My Life and Thoughts》. 번역 Lemke, Antje Bultmann.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8쪽. ISBN 978-0-8018-6097-3. 
  76. Seidel, Michael (January 2009). “Albert Schweitzer's MD thesis on Criticism of the medical pathographies on Jesus”. 《Würzburger medizinhistorische Mitteilungen》 (Königshausen & Neumann) 28 (1): 276–300. ISSN 0177-5227. PMID 20509445. 
  77. Bundy, Walter E. (1922). 《The Psychic Health of Jesus》.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LCCN 22005555. OCLC 644667928. OL 25583375M. 
  78. Kneib, Philipp (1908). 《Moderne Leben-Jesu-Forschung unter dem Einflusse der Psychiatrie》 [Modern Quest for the historical Jesus Under the Influence of Psychiatry] (독일어). Meinz: Verlag von Kirchheim & Co. OCLC 936445547. 
  79. Bundy, Walter E. (1922). 《The Psychic Health of Jesus》.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115116쪽. LCCN 22005555. OCLC 644667928. OL 25583375M. 
  80. Werner, Hermann (1908). 《Die psychische Gesundheit Jesu》 [The Mental Health of Jesus] (독일어). Berlin: Edwin Runge. OCLC 874419014. OL 28410083M. 
  81. Bundy, Walter E. (1922). 《The Psychic Health of Jesus》.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113115쪽. LCCN 22005555. OCLC 644667928. OL 25583375M. 
  82. Schaefer, Heinrich (1910). 《Jesus in psychiatrischer Beleuchtung: eine Kontroverse》 [Jesus in Psychiatric Illumination: A Controversy] (독일어). Berlin: Ernst Hofmann & Co. OCLC 3534777. OL 27210095M. 
  83. Bundy, Walter E. (1922). 《The Psychic Health of Jesus》.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116119, 277쪽. LCCN 22005555. OCLC 644667928. OL 25583375M. 
  84. Hyder, Olivier Quentin (1977년 12월 1일). “On the Mental Health of Jesus Christ”. 《Journal of Psychology & Theology》 (Biola University) 5 (1): 3–12. doi:10.1177/009164717700500101. ISSN 0091-6471. OCLC 7318879878. S2CID 149626975. 
  85. Martinez, Pablo; Sims, Andrew (2018). 《Mad or God? Jesus: The healthiest mind of all》. London: InterVarsity Press. ISBN 978-1-783-59606-5. 
  86. Sims, Andrew (2018년 7월 17일). “Mad or God? A senior psychiatrist on the mental health of Jesus”. 《Christian News on Christian Today》. Christian Today. 2018년 8월 23일에 확인함. 
  87. McDowell, Josh (1977). 〈Lord, Liar, or Lunatic?〉. 《More Than a Carpenter》. Wheaton, Illinois: Living Books. 22–32쪽. ISBN 978-0-8423-4552-1. 
  88. Strobel, Lee (1998). 〈The Psychological Evidence. Was Jesus Crazy When He Claimed to Be the Son of God?〉. 《The Case for Christ》.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144–154쪽. ISBN 978-0-3102-0930-0. 2023년 9월 8일에 확인함. 
  89. “E se Gesù si fosse ingannato?”. 《La Civiltà Cattolica》 (이탈리아어) 3465: 213–225. 1994년 11월 5일. ISSN 0009-8167.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90. Moynihan, Robert (December 1994). “Was Jesus Deceived?”. 《Inside the Vatican》. ISSN 1068-8579.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91. Charlesworth, James H. (2002). 〈Jesus Research and the Appearance of Psychobiography〉. Madsen, Truman G.; Parry, Donald W.; Peterson, Daniel C.; Ricks, Stephen D. 《Revelation, Reason, and Faith: Essays in Honor of Truman G. Madsen》. Provo, Utah: Foundation for Ancient Research and Mormon Studies, Neal A. Maxwell Institute for Religious Scholarship. ISBN 0934893713. 
  92. Pope Benedict XVI (2007). 《Jesus of Nazareth: From the Baptism in the Jordan to the Transfiguration》. 번역 Walker, Adrian J. New York: Doubleday. 23–24쪽. ISBN 978-0-3855-2434-6. 
  93. Ehrman, Bart D. “Were Jesus' Followers Crazy? Was He? Mailbag June 4, 2016”. 《The Bart Ehrman Blog》. 2019년 2월 5일에 확인함. 

참고문헌

[편집]

더 읽어보기

[편집]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